View : 508 Download: 0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구성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Title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구성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Other Titles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 of Successful Aging for the low-income Elderly
Authors
박수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for the low-income elderly and to disclos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between usual elderly and low-income elderly. This study also hoped to know the elder's cognition for the successful aging and to find an effective back-up system for community care service as an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view. In this study, 220 elderly, aged 65 and over, living in Seoul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e survey was done with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about successful ag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irect contact with an social welfare center and it took twenty days, from the 25th, October to the 16th, November, year 2006. In the literature reviews,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successful aging. Construct validity was validated through factor analysis. Communalities for the factor analysis was 46%, and the factor loading for each factor was .4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 First, significant factors were 4 factors and 39 items were selected. The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that the low-income elderly perceived in the interviews were 'Positive attitudes in life', 'Children's success and Possibility of further development', 'Relations with others', and 'Self control'. And the final successful aging for the low-income elderly consisted 20 items for Positive attitude in life, 9 items for Children's success and Possibility of further development, 6 items for Relations with others, 4 items for Self control. Second, four 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were similarly important components between elderly and low-income elderly. But the two components ; 'Positive attitudes in life' and 'Self control', were more important to the low-income elderly than usual elderly. Third, the average of low-income elderly's successful aging level was somewhat low. Among the four dimensions, 'Relations with others'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by low-income elderly and was perceived importantly in the order of 'Self control', 'Positive attitudes in life', 'Children's success and Possibility of further development'. Particularly, I found that man showed relatively higher successful aging than woma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some idea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 First,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judice about concept of successful aging was excluded. Many studies about successful aging were instituted for the middle-class or high-income elderly. because 'the success' is understanded 'the sucess in social position/status' in spite of original conception. But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is similar between usual elderly and low-income elderly. So, we can use the term "Successful Aging" , not related to social economic status. Second, according to this study, 'Relations with others'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by low-income elderly. So, 'relations with others' service is required for the low-income elderly. For example, non-public supports should be increased more extensively. Particularly, it is believed that the use of neighbors or local residents is effective in terms of closeness, their common interests, their life, and offers of everlasting service. Third, according to this study, 'Children' items were the 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analyze those items. Because in this study,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were over 90% and they were denied to respond to their children associated questions even though they had their children. Besides, in truth, line items level about children was somewhat low(because their children were poor as well as elderly). That is, children associated questions are not significant factors for the low-income elderly in their life. So, individual program about low-income elderly should be planed first, and then should be helped for their poor children. Fourth, man showed relatively higher successful aging than woman. That is, the necessity of individual program is required. Fifth, more active social care for the elderly who lost their partner is required. Particularly, the intervention of the female who lost her husband is necessary. Becaus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female who lost her husband was over 80%. Not only their lowered income after the loss of spouse but also low degree of participation in society tends to diminish their life satisfaction rather than male. Therefore, we need to provide more political considerations for them as well as both public and non-public support as explained before.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further research and improvement of program development in social welfare centers.;본 연구는 크게 3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구성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해 파악된 결과를 중심으로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구성요인별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각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수준을 알아보며,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인 노후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으로서 서비스 및 지원체계에 보완되어야 할 측면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서울시 내 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이며, 수급권자 또는 복지관에서 일반 저소득층으로 판단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기관은 서울시에 소재한 일반종합 및 노인복지관이며, 서울시 내 복지관을 임의표본추출하여 총 7개 노인복지관과 1개 일반종합사회복지관을 설정하였다. 조사방법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다. 즉, 노인복지관 담당자를 통해 저소득 재가노인명단 및 약도를 전달받아, 전화연락을 통해 대상자에게 사전방문허락을 받은 뒤, 조사원이 직접 재가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법과 각 복지관에서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저소득 재가노인 자조모임, 프로그램 시 대상자의 사전동의를 얻은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10월 25일부터 11월 16일까지 약 20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설문작성은 실제로 직접 기입한 노인 2명을 제외, 대다수의 노인은 글을 읽지 못하거나 내용에 대한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조사원이 1:1 직접 면접식 질문을 실시하였다.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구성요인에 대한 실증적 타당도 검증을 위해 구성타당도 중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4요인의 전체 설명력은 46.204%로 나타났고, 각 항목의 요인부하량은 0.4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의 수는 다양하게 지정하여 반복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들 중 4개 요인모형에 있어서 가장 이론적인 해석이 가능하였다.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요인1은 ‘긍정적인 삶의 태도’, 9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요인2는 ‘자녀성공과 가능성’, 6개 문항으로 구성된 ‘타인과의 관계’, 그리고 4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통제감’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구성요소는 일반노인의 성공적 노후 구성요소와 유사한 특징을 지녔다. 그러나 ‘긍정적인 삶의 태도’와 ‘통제감’ 요소의 경우, 일반노인에 비해 저소득재가노인에게 있어 두드러지는 특징이라고 보여 진다. 즉, 아직까지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삶의 태도’나 ‘통제감’ 부분이 중요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에 비해, 본 연구의 대상인 저소득재가노인에게는 중요한 요소로서 밝혀졌다. 셋째,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구성요소의 평균은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보통 수준의 평점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보면, 타인관의 관계, 통제감, 긍정적인 삶의 태도, 자녀성공과 발전가능성 순으로 나타나 타인과의 관계가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다소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인 노후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으로서 서비스 및 지원체계에 보완되어야 할 측면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 노후’ 개념의 편견을 배제하여야 한다. 실제로 많은 연구들은 ’성공적 노후‘ 용어 자체가 갖는 편견(‘성공한’, ‘성취한’ 등으로 인식)으로 인하여 대부분 중산층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반노인의 성공적 노후관련 연구에서 드러난 요소는 문항구성의 차이점만을 가질 뿐, 저소득노인에게도 해당하여, ‘성공적 노후’라는 개념이 경제적 계층에 상관없이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냈으며, 개념 자체가 갖는 편견을 배제하였다고 사료된다. 둘째, 저소득 재가노인의 ‘타인과의 관계’ 중심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타인과의 관계를 가장 중요시하는 저소득재가노인에게 비공식적 사회 지지망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특히 사별 등의 이유로 혼자 사는 노인이 대부분인 것을 고려하였을 경우, 더욱 주변 이웃, 친구 등을 대상으로 연결망을 만들어 주고 서비스 개입방향 설정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는 반대로 대인과의 관계에서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관심과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셋째, 저소득 재가노인에게는 노인 개인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 체계가 우선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자녀가 있는 경우에 자녀와의 연결망을 지원하거나, 자녀 역시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그들에 대한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약 90%가 수급권자였고, 실제 조사시행 시 ‘(자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없다, 자녀에 대해 말할 수 없다, 말하기 싫다’ 등으로 응답을 회피한 대상이 절반이상임을 드러내었다. 즉, 자녀와 관련한 항목이 성공적 노후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드러났으나, 어느 정도의 한계점을 지녔다. 실제로 자녀항목과 관련하여 성공적 노후 수준도 낮게 드러나, 자녀가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기 어려우며, 큰 의미 있는 요소는 아니었다고 보여진다. 넷째, 전체적으로 저소득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후는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저소득 재가노인의 남녀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 및 서비스 지원의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섯째, 배우자를 사별한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따르면 남편을 사별하고, 혼자 살고 있는 여성노인이 약80%에 이르렀는데, 이들은 배우자를 사망함으로 인해 소득이 감소되는 부분이 많으며, 남성노인보다 사회활동의 참여정도도 낮고 삶에 대한 만족도도 낮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관심과 공식적 및 비공식적 지지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