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범경-
dc.creator이범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2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03-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as the medical technology develops,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barely extend their life with such alternative therapies as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but because their life-long application and resultant physical fatigue and financial burden, quality of life of patients is very low. Quality of life of Patients differ depending on a variety of factors. Since dialysis aims not only to extend patients' life span but also to improve quality of life,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patients' physical, mental, social and economic well-being. Hope may well be an immanent strength to help patients to be effectively relieved of stress, despair and sense of loss caused during their treatments, and it is also the resource adding values to human existence and lif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dialysis patients' hope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hereby, determine the effects of hope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then, suggest the need to nurse's intervention to help patients harbor a hope during their treatmen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of patients of hope and quality of lif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Miller's(1988) scale translated,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Lee Mi-ja(1992) to measure patients' hope, and Bang Hwal-ran's(1991) scale modified by Kim Ok-soo(1993) to measure their life quality.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2.0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Sheffe's test and pha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ale patients subject to dialysis accounted for 61.7% of the sample. 31.7% of the patients were in their 50's of age, 27.3% in their 60's, and 11.3% were in their 70's or older. 79.7% of them were jobless. 22.5% of them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and 48.8% of them graduated from high school. 79.3% were married, and 36.1% were Christians and another 36.1% had no religion. 30.8% were earning less than a million wons every month, and 26.4% were earning between one and two millions. 84.6% of the patients were living with their family members, while 53.3% were paying 20% of the medical fees according to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61.2%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modialysis, while 38.8% of them were treated with peritoneal dialysis. 34.3% had been treated for 1~3 years, 49.3% for more than 3 years and 15.9% had been treated for less than a year. Diabetes accounted for 41.9% of the renal insufficiency. 2. Patients' hope and quality of life scored 2.67±.45 and 2.59±.36 on average, respectively, both of which are higher than the normal levels. 3. Patients' hop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gender(t=3.631, p<.001), job(t=3.482, p=.001), academic background(F=9.965, p<.001), religion(F=3.178, p=.015), monthly family income(F=3.988, p=.004), living alone or together(F=3.313, p=.038) and source disease(F=4.358, p=.005). 4. Patients' quality of lif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gender(t=4.141, p<.001), job(t=3.665, p<.001), academic background(F=49.249, p<.001), monthly family income(F=6.242, p=.000), living alone or together(F=43.823, p=.023) and source disease (F=2.757, p=.043). 5. Patient's hope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r=.722, p<.001), which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conducive to improvement of patients' hope and quality of life . 6. The variables affecting patients' life quality were hope, age and monthly family income, all of which explained about 56% of patients' life qua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alysis patients' hop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ir life quality. Accordingly, it is deemed necessary to explore the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their hope in diverse ways including the socio-economic aspects of their life.;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은 만성신부전증의 대체요법으로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기는 하지만 일생동안 계속 받아야 하는 치료법이므로 사회적 고립, 신체적 피로, 경제적 부담 등으로 인해서 환자들의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다.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투석치료가 단순히 환자의 생존기간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환자들의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위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영역에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희망은 환자가 치료 과정 중 야기되는 스트레스, 절망감, 상실감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재적임 힘이라 할 수 있으며, 인간존재와 삶에 가치를 주는 자원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투석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을 파악하여 희망이 삶의 질 개선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혀 투석환자 간호에서 희망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정기적으로 투석치료를 받는 혈액 및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희망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도구로 투석환자의 희망은 Miller(1988)가 개발한 도구를 이미자(1992)가 번역. 수정 보완한 도구로 사용하였고, 삶의 질은 방활란(1991)이 개발한 도구를 김옥수(1993)가 수정 보완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기술적 분석과 t-test, ANOVA, sheffe test 그리고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61.7%를 차지하였고, 연령은 주로 50대가 31.7%, 60대가 27.3%, 70대 이상 11.3%로 나타났고, 직업은 없는 경우가 79.7%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대졸이상 22.5%, 고졸45.8%, 결혼 상태는 기혼이 79.3%, 종교는 기독교가 36.1%, 무교가 36.1%로 나타났다. 가정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30.8%, 100-200만원이 26.4%로 나타났고, 동거형태는 가족과 동거 84.6%, 의료급여지급형태는 본인부담20%가 53.3%로 나타났다. 투석 유형은 혈액투석이 61.2%, 복막투석이 38.8%로 나타났고, 투석 기간은 1-3년이 34.3%, 3년 이상이 49.8%, 1년 미만이 15.9%로 나타났으며, 원인 질환은 당뇨인 경우가 41.9%로 나타났다. 2. 투석환자의 희망 정도는 평균 2.67±.45로 나타났고, 투석환자의 삶의 질은 평균 2.59±.36으로 나타나, 투석환자들이 지각하는 희망과 삶의 질 정도는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3. 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희망은 성별(t=3.631 p<.001), 직업(t=3.428 p=.001), 교육정도(F=9.965 p<.001), 종교(F=3.178 p=.015), 가족 월수입(F=3.988 p=.004), 동거형태(F=3.313 p=.038),원인 질환(F=4.358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성별(t=4.141 p<.001), 직업(t=3.665 p<.001), 교육정도(F=49.249 p<.001), 가정 월수입(F=6.242 p<.001), 동거형태(F=43.823 p=.023), 원인질환(F=2.757 p=.04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투석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은 유의한 순상관관계로 나타나(r=.722 p<.001), 투석환자의 희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질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6. 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희망, 연령, 가정 월수입으로 56%의 설명력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투석환자의 희망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 경제적인 부분을 포함한 다각적인 방법으로 투석환자의 희망을 고취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v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II. 문헌고찰 6 A. 희망 6 B. 삶의 질 10 C. 투석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의 관계 15 III. 연구 방법 18 A. 연구 설계 18 B. 연구 대상 18 C. 연구 도구 19 D. 자료 수집 방법 21 E. 자료 분석 방법 21 IV. 연구 결과 및 논의 22 A. 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 22 B. 투석환자의 희망 정도와 삶의 질정도 27 C. 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희망과 삶의 질 35 D. 투석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44 E. 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6 V. 결론 및 제언 48 A. 결론 49 B. 제언 51 참고문헌 52 부록 60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06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투석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hope and quality of life in dialysis patients-
dc.creator.othernameLee, Bum Kyung-
dc.format.pagev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