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少年」誌의 문체적 특성과 어휘적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少年」誌의 문체적 특성과 어휘적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 and Lexical Characteristic of the「So-nyeon」
Authors
이주나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paper is to provide analysis on the literary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by examining 「So-nyeon」, the well-known magazine of enlightenment literature. Analysis on 「So-nyeon」so far was limited to examine several issues including modernity of poetries, literary style of a new-style novel, changing patterns of literary style generally shown on magazines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creation of new terminologies due to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Till now there has been only few analysis on literary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of the age of enlightenment examining「So-nyeon」. This paper will expla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ge of enlightenment about Korean and individual features of 「So-nyeon」by the following process of analysis. In chapter Ⅱ,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ge of enlightenment is introduced and analysis on general features of literary style and vocabularies on the age of enlightenment of Korean is provided. By examining literary style and vocabularies on 「So-nyeon」, transition stage of Korean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disclosed from 「So-nyeon」 is briefly verified. On chapter Ⅲ, in order to inquire the difference in literary style among writings on different articles for various classes of reader, articles were categorized to literary, non-literary and other styles. For each category of article, patterns of literary style are classified to orthography, style, sentence structure examining literary styles commonly used in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As a result, literary articles and non-literary articles shown difference in the usage of literary style. In literary articles, even though it was mostly style of Korean or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 On the other hand, for non-literary articles with frequent rate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sage was found. The goal of practical articles to promote reader's understanding and to persuade them deemed to result in more usage of a Chinese characters, ideographs with capability to deliver meanings in an accurate and concise manner. Moreover, non-literary articles had shown a Chinese characters as functioning as independent lexeme and this is an evidence of transitional changes of literary style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which also affect the process of changes from a style of writing Chinese to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 and finally to a style of writing Korean shown in 「So-nyeon」. Other articles except literary and non-literary ones did not show any common patterns but several literary styles were mixed as other articles. In chapter Ⅳ, vocabularies used in 「So-nyeon」are classified by usage patterns due to different originations and word formations. Vocabularies classified by origination were divided to a native tongue,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 loan word from the West. Additionally, for word formation analysis, vocabularies were categorized to derived word and compound word. Usage of a derivative suffix were common in derived word and a mimetic word were used in various patterns for compound word. Another findings were the unique formation style of a native tongue and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For other vocabularies, word formation style of country name or personal name of an loan word from the West by mixture of heading or main characters is introduced and this deemed to be influenced by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contract phenomenon. In chapter Ⅴ, analysis is summarized and meaning of this thesis arranged.;본고는 개화기의 대표적인 계몽 잡지인 「少年」을 대상으로 하여 개화기 국어의 문체적 특성과 어휘적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少年」에 관해 연구가 되어 온 것은 시가류의 근대성, 신소설의 문체, 개화기 잡지류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문체의 변화, 서양 문물의 유입으로 인해 만들어진 신어 등을 단편적으로 소개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을 뿐 아직 「少年」을 중심으로 한 개화기 국어의 문체적 특성 및 어휘적 특성 전반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화기 국어의 일반적인 특성과 「少年」만이 지니는 개별적인 특성을 더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개화기의 시대적인 특성을 밝히고 개화기 국어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문체적 특성 및 어휘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少年」에 나타나는 문체적 특성 및 어휘적 특성 전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개화기 국어의 과도기적인 특성 및 「少年」에 나타나는 개별적인 특성을 간략하게 확인해 보았다. 이로 인해 개화기의 문체는 자료의 특성에 따라 국한혼용체와 한글체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개화기의 어휘는 일본계 한자어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구 외래어는 고유명사가 대부분이었는데 개화기 문헌에서 주로 중국이나 일본의 음역을 간접 차용했던 것과는 달리 「少年」에서는 서양의 음역을 직접 차용하였다. Ⅲ장에서는 게재된 기사의 종류나 독자층에 따라 문체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기사의 종류를 크게 문학, 비문학, 기타로 분류하고 문체의 유형을 표기 요소, 어휘 요소, 구문 요소로 나누어서 문학과 비문학에서 주로 쓰이는 문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학 관련 기사와 비문학 관련 기사는 문체의 쓰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문학 관련 기사는 대체로 한글체나 국한혼용체라 하여도 한자가 매우 적거나 알기 쉬운 한자어 국한혼용체가 사용되었고, 전문성이 높은 비문학 관련 기사들은 한자와 한문어의 사용이 많은 한자어 혹은 한문어 국한혼용체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것은 독자의 이해와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실용문의 특성상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고 간략하게 나타낼 수 있는 표의 문자인 한자를 더 많이 사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문학 관련 기사들은 현대 국어와는 달리 한자가 하나의 어휘소를 이루어 명사로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경우도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한문어의 사용과 더불어 「少年」의 문체가 기존의 한문체에서 국한혼용체로, 다시 한글체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개화기 문체의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기타는 문학과 비문학의 기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사들이 속하는 난(欄)인데 그 성격상 게재물의 공통적인 특성은 보이지 않지만 다른 기사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문체들이 혼용되어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少年」의 어휘를 기원에 따른 어휘 사용의 특성과 조어상의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기원에 따른 어휘는 고유어, 한자어, 서구 외래어로 나누었는데 먼저 고유어는 발생 시기에 따라 개화기 이전부터 사용된 전통 고유어와 개화기에 신문물의 유입과 함께 만들어진 신고유어로 구별하여 그 예들을 확인하였다. 한자어 역시 발생 시기에 따라 원래부터 쓰여 오던 전통 한자어와 원래의 고유어를 한자어의 음을 빌려 표기한 취음어, 개화기에 신문물의 유입과 함께 만들어진 중국 · 일본 한자어로 나누어서 각각의 경우를 예문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화기의 외래 한자어는 신문물의 유입과 함께 들어온 일본 한자어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한자 어휘가 국어의 조어 요소로써 차용되는 경우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구 외래어는 차용 방법 및 경로에 따라 어느 표기가 더 우세하게 나타나는지 표를 통해 알아보았는데 대부분의 영역에서 직접 음역어의 사용이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조어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어를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누었는데 파생어는 접미 파생어의 사용이 활발하였고 합성어는 의성의태어가 매우 다채롭게 쓰이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고유어와 한자어가 결합되는 독특한 조어 방식도 발견할 수 있었다. 기타에서는 서구 외래어의 국명이나 인명을 頭語나 말의 중심이 되는 글자를 따서 결합하는 조어 방식을 소개하였는데 이것은 한자어의 축약 현상이 서구 외래어에까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Ⅴ장은 결론으로 논의를 요약하고 본고의 의의를 점검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