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자영-
dc.creator손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1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105-
dc.description.abstract본고에서는 모더니즘 혹은 심리주의 작품이라는 한정된 연구 방법론에 국한 되어 있는 최명익 작품에 대한 평가를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호학의 입장에서 논의 해 보았다. 최명익의 소설은 1930년대 후반 세대론의 중심이었던 작가의 위상과는 달리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는 ‘로방의 타인 의식’ 혹은 시대적 상황과의 연계 하에서의 연구 등으로 문학 외적 상황과의 연구에 치중되어 왔다. 그리고 최근의 연구 역시 작품의 세부적인 서사적 특질의 분석에만 치우쳐 전반적인 작품에 대한 규명으로 나아가지 못한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기존의 편견 된 방법론에서 벗어나 작품을 독립된 하나의 기호로 보고 그 기호체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호학적 시각에서 보면 작품이란 의미가 부여된 하나의 기호체계이며, 언표적 행위와 함께 그 과정을 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텍스트의 표층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이 주는 정보성에 따라 텍스트의 심층의 의미로 그 분석이 확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분석의 확장을 통하여 문학 작품이 가지는 불변의 핵 요소를 밝혀 최명익의 광복 이전의 소설 작품의 문학 세계에 대한 특징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본 고의 분석은 이러한 의미 생성의 구조적인 시각 아래에서 광복 이전 최명익 텍스트의 유의미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최명익 소설 텍스트의 표층의 의미구조 분석으로 다음 세 가지로 고찰해 보았다. A에서는 서사기호학적 측면으로 표면의 스토리 층위에서 각 텍스트의 구조와 진행 양상의 분석을 통하여 행위자간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때 숄즈(Scholes)의 사건의 수식과 행위의 도식을 중심으로 「비오는 날」과 「심문」의 인물들이 중심 대상이 되었는데, 각각의 인물들은 수신자와 발신자의 소통의 측면에서 메시지의 부재 혹은 수신자의 발신자에 의한 대상화 등을 통한 소통의 단절을 보여주었다. B에서는 앞선 A의 소통의 단절적 인물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텍스트 상에서 드러나는 행위어 ‘보다’의 사용을 통하여 이야기의 진행과 행위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최명익 텍스트에서 행위어 ‘보다’는 욕망의 발현인 동시에 ‘소통하다’로의 전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보다’ →‘소통하다’로의 행위어 전개를 통하여 최명익 소설의 소통과 단절의 의미를 밝혀 보았다. 그리고 C에서는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命名을 분석해 보았다. 텍스트에서 기호로서의 命名이 나타내는 의미와 기법적인 측면의 분석이 중심이 되었는데, 최명익 소설 텍스트 속의 행위주들 중 여성 인물들의 명명에 있어 남성 인물들과는 다른 구성을 보이고 있었다. 즉 명명의 종류 중 정보 전달체로 서사 속에 드러나 있는 그 의미의 층위에서 여성 행위주들의 명명은 부정성과 긍정성이 역전 되어 표현됨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의미의 역설적 구도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Ⅲ장에서는 최명익 소설 텍스트의 심층의 의미구조 분석으로 우선 A에서는 행위자와 공간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광복 이전 최명익의 소설 텍스트 7작품을 해체 공간, 재생 공간, 회귀 공간으로 분할하였으며, 의식은 개방, 폐쇄, 좌절 의식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이때 각각의 의식과 텍스트의 공간성은 개방의식과 해체 공간, 폐쇄의식과 재생 공간 그리고 좌절 의식과 회귀 공간으로 방향성에 있어 대립적 성격을 보이고 있었다. B에서는 텍스트의 상징 언어와 그것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최명익 소설 텍스트 속의 상징 언어는 다음의 두 가지로 분류해 분석하였는데, 첫 째는 반복적 개념어의 의미 기능이다. 주제와의 긴밀성을 가지는 최명익 소설 속의 반복적 개념어 ‘불’과 ‘물’을 중심으로 야콥슨의 계합체와 통합체의 이론과 위르겐 링크(Juergen Link)의 문맥소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불’은 상하의 수직 운동을 하는 성질로 욕망의 상승과 하강의 간접 표현으로 행위주의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물’은 수직과 수평 운동을 동시에 하고 있으며, 순환과 생명의 이미지로 드러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최명익 텍스트 속에서 ‘땀’, ‘혈담’, ‘월경혈’, ‘각혈’ 등의 오염된 물 역시 깨끗한 물과 대립적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는 텍스트 속에 인물을 비유하는 단어로 자주 등장하고 있는 동물 상징 언어의 의미와 행위자의 관계를 퍼스의 상징 삼각형과 바르뜨(R. Barthes)의 기표와 기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옴두꺼비, 페어 등의 하나의 기호로 상정된 동물 상징 언어는 최명익의 텍스트 속에서 가리키는 대상체와 해석소의 의미에 있어 긍정과 부정 등의 대립적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기호에 다른 두 대상체가 각각 다른 해석소를 생성하고 있어 언술체계의 반어적 질서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최명익 텍스트의 표층과 심층 의미 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각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와 작용을 규명하여 작품의 총체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최명익 작품 속에서 /생명적/, /사회적/, /경제적/, /공간적/이라는 4개의 동위소를 바탕으로 /삶 Vs 죽음/, /권력자 Vs 비권력자/, /물질 Vs 비물질/, /도시 Vs 시골/의 대립항의 관계와 작용을 그레마스(A. J. Greimas)의 기호학적 사각형(Semiotic Square)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동위소의 분석을 통하여 최명익 소설의 가장 심층적 레벨의 통사적 층위에서 우리에게 주고 있는 언술적 측면인 역설적 결과의 도출을 밝히고자 하였다. 최명익 소설에서 역설적 결과의 가장 일반적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예단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언술로 인하여 /삶 Vs 죽음/, /권력자 Vs 비권력자/, /물질 Vs 비물질/, /도시 Vs 시골/ 등의 대립항들의 가치가 역설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즉 아름다움과 죽음이, 삶과 추함이 합접되고 있다. 이처럼 최명익의 텍스트에서 대립항들의 역전된 가치는 텍스트를 하나의 기호로 볼 때 독자와 텍스트간의 소통을 단절하는 요소가 되고 있는 동시에 독자에게 역설을 통한 강한 소통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최명익 만의 소통의 방식이 곧 그의 광복 이전 소설 텍스트가 갖는 유의미성이라 할 수 있다.;This study has discussed in a standpoint of semiotics, aiming at overcoming the appraisal on CHOI Myung-ik's works confined to the limited to methodology of studies which are modernism or psychologism works. The research on CHOI Myung-ik's novels has been put value on the external situation of literature, such as studies under the connection with 'social-awareness on the street' or historical situation, differently from the writer's position which was the center of the generation theory in the latter half of 1930s. In addition, the latest research also inclines toward only analyzing detailed narrative characteristic of works, not advancing into overall close examination of works. Consequently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the work as an independent sign and analyze its sign system, escaping from the existing biased methodology. At the viewpoint of Semiotics, the work is a sign system with meaning, containing its process along with locutionary act. Thus, as grasping the surface structure and meaning of text, in accordance with its information, the analysis of deep meaning of text is to be extended.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analysis,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the property of novel literature written by CHOI Myung-ik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by finding out the unchanging core factors of literature. This thesis attempted to find out the meaningfulness of CHOI Myung-ik's text before regaining independence, under the structural standpoint of meaning generation. ChapterⅡ analyzed the surface semantic structure of CHOI Myung-ik's text by the following three items. 'A'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actants, through analysis of each text structure and progress style on the surface story, in the aspect of narrative semiotics. Centering on Scholes' event attribution and act schema, the characters shown in「The Raining Day 」and 「Interrogation」became key subjects, and each character showed an absence of message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s between addressee and addresser, or the lack of understanding through objectification of addressee by addresser. 'B'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story progress and actant by using a verb, 'see' shown on the text, based on the property of characters that are lacking in understanding, described in foregoing 'A'. In CHOI Myung-ik's text, the verb 'see' showed revelation of desire and transference into 'communicate' simultaneously. Through this development of verb, 'see' → 'communicate',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discontinuation of CHOI Myung-ik's novel. And 'C' analyzed naming of the characters shown in the work. The analysis focused on the meaning of naming as a sign in the text, and the technical aspect. Amid the actants described in CHOI Myung-ik's novel, naming of female characters had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male characters. That is, on the level of the meaning exposed in narration as an information channel amid the kinds of naming, the naming of female actants showed a reversion of negative and positive. Consequently, it shows paradoxical structure of meaning. ChapterⅢ analyzed first the relations between actant and space in 'A', as in-depth analysis of semantic structure of CHOI Myung-ik's novel. Seven novels of CHOI Myung-ik published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have been divided into dismantling space, regeneration space, and regression space, and consciousness has been analyzed by opening, closing and frustration. Each consciousness and spatiality of text showed opposite character in orientation, such as opening consciousness and dismantling space, closing consciousness and regeneration space, and frustration and regression space. 'B' examined the symbolic language of text and its meaning facility. The symbolic languages in CHOI Myung-ik's novel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wo things. The first thing is the meaning facility of repeated concept word. Centering around the concept words, 'fire' and 'water', repeated in CHOI Myung-ik's novel, connecting closely to the subject, it analyzed based on Jacobson's paradigm and syntagma theory, and Juergen Link's klassem theory. 'Fire' has the nature of vertical movement, disclosing behaviorism as an indirect expression of rising and falling desire. 'Water performs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at the same time, showing image of circulation and life. However, polluted water depicted in CHOI Myung-ik's text, such as 'sweat', 'bloody phlegm', 'menstruation', and 'hemoptysis,' also showed an opposite image to clean water. And the second thing has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meaning of animal symbolic languages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figuring persons in the text and the behavior of actant, centering around Peirce's symbolic triangle and R. Barthes' significant and signifié. The animal symbolic languages assumed by one sign such as a warty and ugly toad and pair, show opposite structure such as affirmation and denial, in the meaning of object and interpretant described in CHOI Myung-ik's text. While on the other, two different objects per one sign generate each different interpretant, which shows an ironic order of statement system. The final chapter Ⅳ attempted to find out the general meaning of works, clarifying the relations and actions between each el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surface and deep semantic structure of CHOI Myung-ik's text. In CHOI Myung-ik's works, the relations and actions between binary opposition, /life Vs death/, /man of power Vs man without power/, /material Vs non-material/, /urban Vs rural/, based on four isotopies such as /physical/, /social/, /economic/, /spatial/, have been analyzed centering on A. J. Greimas' Semiotic Square. Through the analysis of isotopies, it attended to draw out a paradoxical outcome which was in the aspect of statement depicted at the syntactic level, the deepest level of CHOI Myung-ik's novel. The most general type of paradoxical result depicted in CHOI Myung-ik's novel is continually repeated prediction. The statement shows paradoxically the value of binary opposition such as /life Vs death/, /man of power Vs man without power/, /material Vs non-material/, /urban Vs rural/. That is, beauty and death, life and ugliness consolidate. The reversed value of binary oppositions in CHOI Myung-ik's text becomes factors discontinuing communications between readers and text, while considering text as a sign, and shows a strong will of communication through paradox to readers simultaneously. CHOI Myung-ik's style of communication can be said the meaningfulness of text of novel published before regaining independ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ⅲ Ⅰ. 서론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1 B. 연구 방법론 4 Ⅱ. 텍스트의 표층 의미 구조 9 A. 서사 진행 양상과 인물 관계 10 B. 행위어 ‘보다’를 통해 본 행위주와 의미구조 18 C. 행위주의 命名과 의미적 층위 28 Ⅲ. 텍스트의 심층 의미구조 38 A. 공간 구조와 의미 38 B. 텍스트의 상징 언어와 의미기능 68 Ⅳ. 기호학으로 본 최명익 소설의 총체적 의미 87 A. 대립적 의식의 유형화 88 B. 역설적 소통과 전망 96 V. 결론 99 참고문헌 102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89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최명익소설의 기호학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emiotic Analysis of the novels written by CHOI Myung-ik-
dc.creator.othernameSon, Ja Young-
dc.format.pagev,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