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9 Download: 0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Title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Authors
박정욱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 소재 3개, 경기도 소재 3개, 충남 소재 3개, 강원도 소재 1개. 전남 소재 1개 정신전문병원과 대학병원 정신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11월 2일부터 11월 14까지 총 12일이었다. 연구 도구는 직무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배정이가 개발한 직무 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소진은 Pines, Aronson과 Kafery(1981)가 개발하고, 홍근표(1984)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등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29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직무 스트레스 중 가장 스트레스가 높았던 문항은 간호사고(예: 자살, 도주, acting out) (4.21점)였으며, 다음이 긴박한 상황에서 인력이 부족할 때 (4.09점), 남자직원이 없는 상황에서 난폭한 환자를 대해야 할 때와 자살 가능성이 높은 환자가 있는 상황에서 근무할 때가 (4.05점), 환자의 부적절한 요구로 끊임없이 시달릴 때 (3.89점) 순이었다. 영역별로는 인력부족 (3.86점), 환자와의 갈등 (3.42점), 권위적 행정자세 (3.39점), 동료와의 갈등 (3.37점), 과중한 업무 (3.33점), 타 분야 의료요원과의 갈등 (3.32점), 부적절한 보상 (3.29점), 상위직과의 갈등 (3.23점),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3.22점), 경직적인 근무 형태 (3.20점), 부적절한 근무 환경 (3.17점), 전문직 간호사 역할 갈등 (3.16점), 조무사와의 갈등 (2.89점), 물품 부족 (2.63)점 순이었다. 2.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소진 정도는 4점 척도에서 평균 2.04점이고, 가장 높게 나타난 3점 이상의 문항은 병원 및 간호 행정에 만족하지 못한다의 (3.13점)였고, 기분이 좋지 않다 (2.68점), 근무에 임하면 절로 일할 힘을 느끼지 못한다 (2.65점), 피곤하다 (2.55점) 순이었다. 3.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성별(F=4.499, P=.036), 결혼 상태(F=4.699, P=.032), 직장 소재지(F=2.682, P=.035)에 따라 그리고, 소진 정도는 성별(F=1.915, P=.0169)와 연령(F=3.443. P=.011), 직장소재지(F=3.388, P=.011)와 근무 형태(F=6.838, P=.000), 간호직 종사 예정 기간(F=16.352, P=.000), 성격특성 중 정보수집방법(F=3.946, P=.049)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178, p=.000).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이외의 다른 스트레스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 2. 정신과 병동 간호사인 경우 인력부족, 환자와의 갈등상황, 권위적 행정자세 영역에서 스트레스 요인이 많으므로 이를 근거로 하여 간호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3.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소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which is based on the collection of the nurses of the psychiatric hospitals.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the instruments were used by the The Stress Scale which is developed by Bai Joung-Yi(, and the level of the burnout was measured by using the question from of modification supplement by Hong(1984) which was developed by Pines, Aronson. and Kafry(1981). The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by utilizing the SPSS 12.0 program;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work stress in psychiatric nurses was 3.29. The highest level of the task was 4.21 due to suicide, runaway and acting out from the patients. The next level was caused by urgent situation without an assistance. By sectional, task stress was brought from the lack of professionals, problems from patients, conflict with supervisors, conflict with colleagues and overwork. 2. The level of the burnout was 2.04 in the average. Overall, the degree of the burnout was over 3.00 that the nurse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task performance hospital. 3. As a result of analyzing psychiatric nursing task stress was differed from the sex(F=4.499, P=.036), marital status(F=4.699, P=.032) and location of the job(F=2.682, P=.035). The degree of the burnout was differed from the sex(F=1.915, P=.0169), age(F=3.443, P=.011), location of the job(F=3.388, P=.011), work shift(F=6.838, P=.000), expecting period of nursing task(F=16.352, P=.000) and character of each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formation collection(F=3.946, P=.049). 4. As a result, work stress was correlated with the with level of burnout(r=0.178, p=0.000).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