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상원-
dc.creator안상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0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03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김종삼과 박용래의 작품을 베르그송과 후설, 그리고 한스 마이어호프의 시간론을 가지고 살펴 시간의식을 드러내고, 시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0년대는 6.25 전쟁의 충격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시기이다. 이 시기에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종삼과 박용래는 인간의 내면을 시간의식을 통해 그려냈다. 이 두 시인은 50년대부터 산업화시대를 거쳐 8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같은 시간적 배경을 공유하였으며 각기 다른 시쓰기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Ⅱ 장에서는 김종삼의 시간의식을 환상 기법을 통해 설명하였다. 김종삼의 시의 시간의식은 불연속적이다. A항에서는 시적 자아가 세계상실을 경험하고 예술의 세계, 영원의 세계를 열망한다고 보았다. 시적 자아는 세계와의 불화하며, 권태와 침묵 · 그리고 병적인 자기인식과 자아방기의 태도를 드러낸다. B항에서는 환상을 시적 자아가 세계와 소통하는 수단으로 썼다고 보았다. 그가 바라는 세계와 현실 세계는 분리되어 있지만, 시적 자아는 꿈과 음악, 그리고 물 이미지를 통해 환상의 세계로 이동하고자 한다. 이 이동의 과정은 수직적이다. 물 이미지는 자아와 세계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이나, 환상의 세계로 안내하는 술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C 항에서는 부재의 시간, 불안과 공포의 시간에서 벗어나기 위한 김종삼의 시적 여정을 다루었다. 새로운 세계를 향한 열망, 그리고 파편화되고 병든 세계에 대한 거부는 새로운 것, 현실에는 없는 어떤 이상향(“라산스카”)을 향한 끊임없는 유랑으로 나타난다. 시적 자아는 죽음을 통한 구원을 희망하지만, 그 구원은 지연된다. III 장에서는 박용래의 시간의식을 반복 기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박용래의 시에 나타나는 시간의식은 연속적이다. 박용래 시에서의 반복은 과거의 시간을 현재화하는 방식을 통해 나타난다. A항에서는 그의 시에 나타난 유년세계와, 회감 기법을 다루었다. 박용래 시 속의 세계는 갈등이 무화되고 자아가 세계와 동화되는 행복의 세계이다. 자아와 세계는 화해를 이루며, 자기동일성을 회복하게 된다. B 항에서는 박용래 시에 드러나는 시간관의 특징 중 하나로, 계절과 기후와 그에 맞추어 변화하는 자연물, 특히 식물과 물의 영상을 통해 연속적인 시간의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의 시에서 시간을 인식하는 계기는 주기적인 자연의 일기현상과 계절표상, 식물표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물은 흐르거나 안개로 변화하며 수평적인 시간의식을 보여 준다. C 항에서는 자연공간에서 소멸과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자아가 한없이 긍정되는 공간에서 시적 자아는 치유를 경험하게 된다. 근원적인 두려움인 죽음의 논리 역시, 공포나 단절의 의미가 아닌 순환의 과정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두 시인의 시간의식의 양상과 시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고통과 부재, 허무의 50년대에 마주친 두 시인은 각기 다른 방법으로 대안세계와 시쓰기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 두 시인의 공통된 요소, 곧 반복적 어법과 부재 · 여백의식은 각기 다른 의미를 형성하며 시세계를 구현한다. 김종삼의 시가 “-없는”의 반복 서술을 통해 부재의 미학, 여백의 미학을 이야기하며 세상에 없는 것을 찾는 여정을 통해 ‘찾다/없다’의 반복적 시쓰기 양상을 드러냈다면, 박용래 시의 비움, 없음은 ‘빛’을 통한 다시 채움으로써 충격과 공포의 시간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로 불러 와 치유하며 고독감을 서정적으로 승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시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works by Kim Jong-sam and Park Yong-rae in terms of the time theories by Bergson, Husserl, and Hans Meyerhoff, to identify their consciousness of time, and to find the current implications. People were not free from the shocks of the Korean War in the 1950s. The two poets that started to write poems in that period used the consciousness of time to describe the internal sides of human beings. They shared the same periodical background from the 1950s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age to the early 1980s but differed in terms of their consciousness to write their poems. Chapter II explained Kim's consciousness of time in the fantasy technique. His consciousness of time revealed in his poems was discontinuous. Section A reviewed that the poetic ego experienced a loss of the world and had a yearning for the world of arts or eternity. The poetic ego was in disagreement with the world and adopted the attitudes of boredom, silence, ill self-consciousness, and self-defense. Section B argued that the poetic ego employed fantasy as the mean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lthough the world of his wish was separated from the actual world, the poetic ego tried to move to the world of fantasy by using the images of dream, music and water. The movement process took a vertical form. The images of water were based on the mirror to reflect the ego or world and liquor to guide him through the world of fantasy. Section C dealt with his poetic journey to escape from the time of absence, uneasiness, and fear. His desire for a new world and rejection of the fragmented and sick world was represented in his endless wandering towards something new or an ideal not found in the reality(”Lashanska”). The poetic ego hoped for relief through death only to see the relief delayed. Chapter III examined Park's consciousness of time through the repetition technique. The consciousness of time revealed in his poems was continuous. The repetitions in his works were presented in the way he turned the past into the present. Section A reviewed the world of childhood and reflection technique in his works. The world in his poems was the world of happiness where conflicts were resolved and the ego assimilated with the world. The ego and the world were in harmony and recovered the self-identicalness. Section B attempted to reveal his continuous consciousness of time in the nature changing according to the seasons and climates and especially the images of plants and water as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s of time. In his works, he noticed the passage of time by the periodical weather conditions, season changes and plants. Water represented the horizontal consciousness of time by flowing or evaporating as mists. Section C pointed out that destruction and reproduction took place in the natural space. The poetic ego experienced cure in the space where the ego was accepted with infinite positiveness. The fundamental fear for death was also perceived not as the meaning of frightfulness or severance but as the process of circulation. Chapter IV reviewed the patterns of the two poets' consciousness of time and their current implications. Meeting in the 1950s of pain, absence, and nihility, the two poets employed different methods to present alternative worlds and write poems. Their common denominators, which include the repetitive style and consciousness of absence and blank space, created different meanings and poetic worlds. As for the current implications, Kim's poems revealed the repetitive writing of 'finding/not existing' by talking about the aesthetics of absence and blank space through the repeating expressions of “without” and taking a journey to find something that didn't exist in the world. Meanwhile, Park's poems called in the time of shock and fear to the present by refilling absence and no existence with “light,” treated the time, and sublimated the solitude in lyrical wa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ⅲ Ⅰ. 서론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1 Ⅱ. 김종삼의 환상성과 불연속적 시간의식 20 A. 세계상실과 성/속의 이분화된 시간 21 B. 유폐된 시간의 수직적 변용 - 꿈 · 음악 · 무거운 물 이미지 38 C. 지연되는 죽음과 유랑의식 51 Ⅲ. 박용래의 반복성과 연속적 시간의식 61 A. 유년세계와 회감(回感)의 동화되는 시간 64 B. 순환하는 시간의 수평적 변용 - 식물 · 계절 · 가벼운 물 이미지 80 C. 긍정되는 죽음과 치유의식 91 Ⅳ. 시간의식의 양상과 시사적 의의 102 Ⅴ. 결론 110 참고문헌 115 Abstract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36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김종삼 · 박용래 시의 시간의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ime consciousness in Kim Jong-sam and Park Yong-rae's poetry-
dc.creator.othernameAhn, Sang won-
dc.format.pagev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