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裵宣美-
dc.creator裵宣美-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72-
dc.description.abstractLa pre´sente e´tude vise a` e´lucider le proble`me de l'ambiguite´ du modal POUVOIR dans la perspective polyse´mique et a` appre´hender le m´canisme interprie´tatif total de POUVOIR lors des actes du langage. En considgrant l'ambiguite´ comme la pluralite´ des interpre´tations. on en a fait une description syntaxico-se´mantico-pragmatique. Ces jours-ci, beaucoup de linguistes qui recherchent le proble`me de l'ambiguite´ c'est-a`-dire un des phe´nome`nes repre´sentatifs des langues nature1 les, tentent une approche polyse´mique s'appuyant sur la pluralite´ du langage. Et leurs recherches sont ge´ne´ralement appre´cie´es. En apprgciant leurs riisultats, on a distingue´ trois nivaeux de l'ambigu'ite´: 1. niveau de se´mantisme de base qui unit les relations se´mantiques de POUVOIR par une valeur fondamentale 2. niveau d'ambiguite´ l(AMB 1 ) qui pre´sente l'ambiguite´ virtuelle selon le contexte linguistique 3. niveau d'amb'iguite´ 2(AMB 2) qui pre´sente l'ambiguite´ effective selon la situation extra-linguistique En se fondant sur la the´orie e´nonciative et la the´orie des actes du langage, on a essaye´ la description sur l'interpre´tation du modal POUVOIR au moyen de la structure syntaxique et des parame´tres e´nonciatifs pour le niveau d'AMB 1, au moyen de la valeur illocutoire due a` la relation avec le destinataire pour le niveau d'AMB 2. Et. a` chaque niveau, on a obtenu les re´sultats suivants. 1. Pour le niveau de se´mantisme de base, un noyau commun des valeurs du le modal POUVIOR est "le signe d'une virtualite´ de´croissante". 2. Pour le niveau d'AMB 1, la relation polyse´mique s'arrange par le degre´ du jugement de l'e´nonciateur sur les chances de re´alisation du proce`s. ▷그림삽입◁ 3. Pour le niveau d'AMB 2, la relation polyse´mique s'arrange par la capacite´ de 1'e´nonciateur ou celle du destinataire, sur les chances de re´alisation du proce´s. ▷그림삽입◁ Par ces analyses, on a constate´ le fait qu'il est ne´cessaire de faire la description a! la fois se´mantique et pragmatique pour appre´hender le me´canisme interpre´tatif total du modal POUVOIR. En conclusion, on peut pre´enter le re´sutat de cette e´tude comme suit: ▷그림삽입◁;본 연구의 목적은 pouvoir를 포함하고 있는 발화체들의 중의성(ambiguite´)의 문제를 다의(polyse´mie)로 보는 관점을 채택하여, 그것이 해석에 있어서의 중의성의 문제임을 밝히고, 통사-의미-화용적 기술을 통해 불어 양태동사 pouvoir의 총체적인 해석 메카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다. 근래 많은 학자들은 자연언어의 대표적 현상중 하나인 중의성의 문제에 대해 발화행위와 언어행위의 측면을 배제시키면서 언어를 코드와 동일시했던 기존의 동형이의적인 변형생성이론과 비한정으로 보는 기능주의의 관점의 연구를 거부한다. 이들은 언어연구에서 발화적 측면과 언어행위의 화용적 측면을 인정하면서 다의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연구방법은 일반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의적 관점의 성과를 인정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pouvoir의 여러 가치들의 의미적 관련성을 하나의 기본적 가치로 모아주는 기저 의미층위, 언어 문맥에 따른 잠재적 중의성을 나타내는 AMB(Ambiguite´) 1층위, 담화상황에서 실제적인 중의성을 나타내는 AMB 1층위에서는 통사구조와 발화적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하는 한편, AMB 2층위에서는 수신자와의 관계에서 야기되는 언표내적 가치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발화행위 이론과 언어행위 이론에 그 이론적 근거를 두고 pouvoir의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각 층위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기저 의미층위에서 pouvoir의 제 가치들을 하나의 공통핵으로 모아 주는 기저 의미관계는 “점감적 잠재성의 기호”이다. 둘째, AMB 1층위에서는 점감적 잠재성의 기호라는 하나의 기본적 가치에서 출발하여 통사구조와 발화적 매개변수를 통해 구축된 n개의 가치를 살펴보았는데, 이들은 사행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발화자의 판단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배열된다.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세째, AMB 2층위에서는 수신자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pouvoir의 언표내적 가치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들은 사행의 실현 가능성에 있어서 그 능력이 발화자에 기인하는 정도와 수신자에 기인하는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배열된다.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다의적 관점은 기존의 동형이의나 비한정의 관점에서의 연구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총괄적으로 pouvoir의 다양한 해석을 기술할 수 있고, 해석들간의 의미적 관련성도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이론적 타당성이 확인된다. 또한 pouvoir의 다양한 해석의 총체적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미적 기술뿐만 아니라 화용적 기술이 동시에 요구된다는 사실도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세 층위에서 밝혀진 pouvoir의 해석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중의성에 관한 기존 연구 = 5 B. 다의 현상으로서의 중의성 = 10 Ⅲ. pouvoir의 다양성 = 21 A. 통사-의미론적 분석에 따른 pouvoir의 제 가치 = 22 B. 기저 의미관계의 설정 = 27 Ⅳ. 통사구조와 pouvoir의 해석 = 34 A. 술부내적 pouvoir 와 술부외적 pouvoir = 34 B. 몇 가지 통사구조와 pouvoir의 해석 = 39 1. 의문문 = 39 2. 감탄문 = 43 3. 가정체계 = 45 Ⅴ. 발화적 매개변수와pouvoir의 해석 = 49 A. 주어인칭 = 50 B. SN주어의 한정관계 = 53 C. 사행 유형 (les types de proces) = 60 D. 시제 = 73 Ⅵ. 언표내적 가치와 pouvoir의 해석 = 85 A. 양태동사와 언표내적 가치 = 85 B. 언표내적 가치와 pouvoir의 해석 = 90 1. 언표내적 행위의 표지로서의 pouvoir의 해석 : 허가, 허가요구 = 92 1-1. Tu pouvoir V...(!) : 허가 (permission) = 92 1-2. Je pouvoir V. .? : 허가요구 (demande de permission) = 94 2. 언표내적 파생표지로서의 pouvoir의 해석 : 제의, 제안, 요구 = 96 2-1. Tu pouvoir V.. (!) 제의 (suggestion) = 96 2-2. Je pouvoir V.. (!) : 제안 (offre) = 99 2-3. Tu pouvoir V...? : 요구 (requete) = 101 Ⅶ. 결론 = 106 RESUME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405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불어-
dc.subject양태동사-
dc.subjectPouvoir-
dc.title불어 양태동사 Pouvoir의 해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TUDE SUR L'AMBIGUITE ET L'INTERPRETATION DU MODAL POUVOIR EN FRANCA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