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38-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고 핵가족화가 가속화되면서 아버지 역할이 변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경제적 역할이 강조되었으나 점차로 정서적 역할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아이를 양육하는 데 있어서도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게 되었다. 애착은 출생 후 1년 이내에 주로 형성되는 감정적인 관계로서 출생 후 수일 이내인 민감시기의 접촉과 상호작용은 애착적 결속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하며 이 시기에 형성된 결속은 영원히 지속되고, 이 과정의 성패는 부모로서의 능력을 결정짓는 결과를 초래한다 (Bowen, 1980). Greenberg & Morris (1974)는 첫 3일간 아버지와 신생아의 접촉은 애착을 형성하는데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차은주(1985)의 연구에서도 초기 접촉이 부성애착을 증진시킨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많은 기관에서는 신생아와 가족의 심리, 사회적인 요구보다는 신생아를 위한 신체적 요구에 따른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하여 신생아실은 폐쇠되어 있거나 방문을 제한하고 신체적 접근을 금하고 있다. 특히 미숙아의 경우는 출생 자체부터가 부모에게는 위기상황일 뿐 아니라 장기간 고도의 기술적인 치료와 간호를 요하게 되므로 부모와의 조기 접촉이 어려워진다. 또한 부모는 기대하지 않았던 아기의 상태와 여러 가지 치료기구, 과중한 경제적 부담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부모자녀관계 형성에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Schumitt & Kempe, 195). 이에 본 연구는 폐쇄되어 있는 신생아실의 현 실정에서 병원정책상 초기 접촉이 어려운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를 파악하고 부성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긍정적인 아버지-자녀관계 형성을 위한 간호증재를 제공하여 바람직한 아동의 성장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3개 대학부속병원에서 미숙아를 출산한 아버지 20명과 정상신생아를 출산한 아버지 30명을 임의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4년 2월 10일부터 4월 1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Greenberg & Morris (1974)의 아버지 애착의 7가지 특성에 근거하여 연구자가 사전조사를 거쳐 수정 보완한 후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α= 0.9395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는 획득 가능한 점수 범위인 35∼140점 중 평균 115.16으로 높은 애착정도를 나타내었다. 속성별로는 촉각적 인식의 범주에서 가장 높은 부성애착정도를 보였으나(평균 3.416), 신생아를 자극하는 등의 적극적 애착행위 표현은 주저함을 나타내어(평균 2.76) 신생아 아버지의 적극적인 접촉행위를 지지하는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2.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생아의 출생순위와 (F=6.889, p=0.002) 과거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경험 (F=4.599, p=0.015)이었고, 신생아 성, 분만형태, 임신계획여부는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3. 아버지가 신생아를 처음 본 시기 및 빈도는 부성애착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4. 미숙아 아버지와 정상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를 비교한 결과 정상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가(평균 117.90) 미숙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평균 111.05)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1.83, p=0.076). 한편 부성애착속성별로 촉각적 인식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t=-2.29, p=0.029), 미숙아 아버지에게 더욱 아기를 만져 볼 수 있는 용기와 자신감을 줌으로써 부성애착형성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이상의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2. 저체중 출생아뿐 아니라 중증 고위험신생아를 대상으로 부성애착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to neonat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aternal attachment. The main purpose was to make the base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parternal attach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fathers whose partners have delivered premature neonate and 30 fathers whose partners have delivered normal neonate in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Feb.10 to Apr.10 1994 by self report questionaires.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based on 7 kinds of characteristics of paternal attachment by Greenberg & Morris(1974), and developed by researcher.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wer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with S.P.S.S. progra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Fathers had the high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to neonate, but were afraid of active touch. 2. The factors that affect paternal attachment were delivery oder, past experience about own father except delivery pattern, pregnancy plan, sex of neonate. 3. There were no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ternal attachment and early visual contact, contact frequency of father-neonate. 4. In the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though normal neonate father showed somewhat higher result than premature neonate father,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t=-1.83, P=0.076). But in the character of tactail awarn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ence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help the premature neonate's father bring early tactile contact. Futher research about factors affecting paternal attachment to neonate and high risk neonate as well as low birth weight neonate is reg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6 A. 이론적 배경 = 6 1. 아버지 역할 = 6 2. 부성애착 (Paternal attachment) = 9 3. 애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3 B. 부성애착에 관련된 선행연구 = 14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설계 = 18 B. 연구대상 = 18 C.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18 D. 연구도구 = 19 E. 자료분석방법 = 20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1 B.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 = 21 C. 아버지가 신생아를 처음 본 시기 및 빈도와 부성애착정도 = 25 D. 미숙아 아버지와 정상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정도 비교 = 27 E.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 속성별 비교 = 28 Ⅴ. 결론 및 제언 = 31 참고문헌 = 33 부록 = 40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22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버지-
dc.subject신생아-
dc.subject애착-
dc.title아버지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정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to neonat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