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6 Download: 0

흉부타격 및 진동(chest percussion, chest vibration) 방법이 동맥혈 산소분압 및 분비물에 미치는 효과

Title
흉부타격 및 진동(chest percussion, chest vibration) 방법이 동맥혈 산소분압 및 분비물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윤원숙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흉부타격흉부진동동맥혈 산소분압분비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기관내 삽관, 기관절개관 등과 같은 인공기도를 보유한 환자의 경우는 대부분이 스스로 호흡하기가 곤란하고, 효과적으로 기침을 할 수 없으며, 전신근육도 쇠약해지는 등 기도내 분비물의 정체를 유도하는 여러가지 원인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로인한 호흡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관내 흡인(endotracheal suction)이 필요 불가결하다. 그러나 기관내 흡인은 그 목적과는 달리 저산소혈증, 심부정맥, 기관내 점막손상, 감염, 무기폐, 분비물의 재축적 등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 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임상실험 연구는 흉부타격 및 진동 (chest percussion, chest vibration)방법의 시행이 기관내 흡인후 동맥혈 산소분압과 제거되는 분비물의 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효과적인 기관내 흡인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1990년 9월 1일부터 11월 24일까지 일 군 병원의 중환자실과 신경외과에 입원한 환자중 대조군 8명과 실험군 8명으로 나누어 생리적 측정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shapiro(1978)와 Rarey (1981), Windsor등(1972)이 제시한 흉부타격 (chest percussion), 흉부진동(chest vibration)방법을 사용하였고, 동맥혈 산소분압 측정은 흉부타격 및 진동 시행전과 후에 혈액가스 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분비물량 측정은 수집용기에 따라하여 그 무게를 달고, 그 무게에서 용기와 생리식염수의 무게를 뺏다. 자료분석은 SPSS에 의해 t-test, paired t-test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 "기관내 흡인전 계획된 흉부 타격 및 진동을 시행한 군이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흡인후 동맥혈 산소분압이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t=-4.02, P=0.001) 제2가설 : "기관내 흡인전 계획된 흉부 타격 및 진동을 시행한 후의 분비물량이 흡인만 한 경우의 분비물량보다 많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t=-2.05, P=0.079) 이상의 결과로 흉부타격 및 진동방법이 기관내 흡인후 동맥별 산소분압의 하강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었다고 나타났으므로 간호사가 임상에서 기관내 흡인 시행전에 흡인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실제 임상실무에서 간호중재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각 상황에 알맞는 흉부타격 및 진동 방법을 개발하고 실용화 시켜야 할 것이다.;Endotracheal suc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nursing care of patients intubated and having a tracheostomy. However, endotracheal suction can also initiate potential complications. The various complications and consequences of suctioning includ hypoxemia, atelectasis, cardiac arrhythmias infection, damage of the cillia and epithelium of the tracheobronchial tree, retained secretion and even death.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potential hypoxemia and retaind secretion after endotracheal suction. The main study problem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hest percussion and chest vibration on PaO_(2) and the amount of secretion after endotracheal suction. Measurements were accomplished by comparing PaO_(2) before and 20 minutes after endotracheal suctioning and comparing weights of secretions after endotracheal suctioning between two group of patients one receiving chest percussion & chest vibration and on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16 neurosurgical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d neurosurgical ward of a military hospital in Seoul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24, 1990. Eight subjects for the control gruop and another eight for the experimental gruop were selected at random. The treatment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four specific therapies, chest percussion, chest vibration, cough stimulation and suction with 15L/min O_(2) supply. Data analysts was done by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chest percussion and chest vibration would have higher PaO_(2) levels after endotracheal suc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 -4.02, P= 0.001) Hypothesis 2, that "the weight of secretion after suctioning for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greater amounts of suctioned secretion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t=-2.05, P= 0.079)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hest percussion and chest vibra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hypoxemia for patients undergoing endotracheal suction. Further study is needed to be refine the methodology, for example, this research needs to be replicated with different populations of patients intubated and having a tracheostomy, specifically, patients who have pulmonary disea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