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石珠-
dc.creator李石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4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42-
dc.description.abstract『좁은 문』 은 작가 앙드레 지드(Andre' Gide, 1869-1951)의 자전적 요소가 짙은 작품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연구는 정신과 육체의 갈등 속에서 이 양면성을 수용해내지 못하는 주인공의 고뇌를 통해 지드의 사상을 살펴보는 데 주력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그와 달리 『좁은 문』 의 등장 인물들 간의 관계를 통해서, 외면적으로 드러난 자아(自我)와 타자(他者)의 관계 속을 흐르는 심리 과정을 추적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의 도움을 받을 것이다. 특히 한 자아가 타인과 맺는 관계의 욕망을 근거로 하며, 이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대상을 추구하게 된다는 대상관계(對象關係)의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본 문제 제기의 출발점으로 삼을 것이나 특정한 한가지 이론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인간이 출생과 함께 모체(母體)로부터 분리될 때 경험하는 심적 외상(心的外傷)이 '결여(缺如)'로서 인간 내부에 자리 잡아 인간의 무의식과 그의 욕망의 근거가 되며, 이같은 상실(喪失)이 어떻게 대상관계에 작용하는가를 주인공 제롬과 알리사, 그리고 그들이 다른 등장 인물들과 맺는 관계를 통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제롬이 맺는 대상관계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그의 어머니상과 아버지상에 대해 살펴 볼 것이다. Ⅲ장에서는 자신의 상실을 보상받으려는 제롬의 노력, 다시 말해 어머니와의 일체감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욕망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제롬-알리사 및 제롬-쥘리에트의 관계를 통해 살펴 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욕망의 달성 과정에 초자아(超自我)로서 개입하는 '좁은 문'이라는 가치관이 어떻게 주체를 왜곡시켜 나가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결론에서 우리의 타자의 욕망을 통해 주체의 욕망이 드러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타자의 욕망이 주체의 욕망을 구성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La Porte e´troite est toujours conside´re´e comme une autobiographie d'Andre´ Gide. La plupart des e´tudes concernant cette oeuvre s'attachent a` chercher l'ide´e principale de l'auteur qu'incarnent les he´ros qui souffrent du conflit entre l'a^me et le corps. Notre recherche a pout but de de´montrer le parcours psychologique qui s'effectue dans la relation exte´riorise´e entre le moi et l'autre, par le biais de l'analyse des relations des he´ros. Pour ce travail, nous allons nous fonder sur le point de vue de la psychanalyse. Nous allons nous appuyer surtout sur la the´orie de la Relation d'objet, celle que le de´sir incite le sujet a` nouer des relations ave d'autrui, et que le sujet poursuit l'objet pour satisfaire ce de´sir. En analysant les relations existant entre les he´ros de la Porte e´troite. nous allons e´clairer d'abord le processus que le traumatisme que l'homme ressent a` sa naissance devient le sentiment du manque d'e^tre chez lui, ensuite celui que ce sentiment du manque, a` son tour, forme l'inconscient et le de´sir, et en conse´quence celui que ce manque influe grandement sur la relation d'objet. Dans la deuxie`me partie de notre e´tude, nous examinons l'imago maternelle et paternelle chez Je´ro^me, qui constitue la base fondamentale de la relation d'objet. Dans la troisie`me partie, nous analysons les relations entre Je´ro^me, Alissa, et Juliette pour ve´rifier que le de´sir succe`de a` l'effort de compenser le manque, c'est-a`-dire a` l'effort de se re´unir avec la me`re. Dans la quatrie`me partie, nous montrons comment l'ide´e de 'la Porte e´troite' en fonctionnant comme le sur-moi de´forme le sujet. En conclusion nous pouvons mettre en e´vidence le processus par lequel 'le de´sir de l'autre constitue le de´sir du suj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ⅱ Ⅰ. 서론 = 1 Ⅱ. 상실 = 5 1. 어머니상 (L'imago maternelle) = 5 2. 아버지상 (L'imago paternelle) = 22 Ⅲ. 상실에서 욕망으로 = 29 1. 잃어버린 어머니 : 알리사 = 30 2. 성적 욕망의 대상 : 쥘리에트 = 44 Ⅳ. 왜곡된 욕망 = 55 1. 초자아(超自我) : ‘좁은 문’ = 55 2. 부정(否定)된 자아 : 알리사의 가면(假面) = 62 Ⅴ. 결론 = 78 참고문헌 = 81 RESUME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96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좁은문-
dc.subject상실-
dc.subject욕망-
dc.title『좁은문 La Porte e´troite』"에 나타난 상실과 욕망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a relation entre l'objet perdu et le de´sir dans La Porte e´troit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