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松巖 權好文 詩歌의 연구

Title
松巖 權好文 詩歌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ong-am Kwon ho-mun's
Authors
崔善美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송암권호문시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權好文의 처사적 삶과 문학을 통일체로서 파악하고 그의 당대적 의의를 해명하기 위하여 쓰여졌다. 이 작업은 또한 강호가도 연구에 있어서 개별적인 특성을 변별해내야 할 심화 단계의 일단으로서 권호문의 강호가도적 위상과 특성을 밝혀내는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대한 자료를 포괄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실상에 바탕을 둔 논의를 통하여 권호문의 세계 인식과 시가 창작의 관련을 밝혀내려 하였다. Ⅱ장에서는 영남사림의 학문적, 문학적인 계통과 성격을 규명하여 권호문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영남사림의 처사적 전통 속에 권호문의 처사적 삶이 놓여있었고, 그 처사적 삶의 본질이 세상과 단절되기보다는 향촌교화라는 방식으로 治人을 이루려고 하였던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16세기의 시가창작이 재도적 문학관, 즉 述而不作과 예악사상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음을 밝혔으며, 이러만 이념의 틀 속에서 권호문은 독창적인 변용을 피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질과 처지가 달랐기 때문에 권호문은 퇴계의 溫柔敦厚한 교화적인 측면에 표현론적인 측면을 가미한 개성적인 시가관을 가지고 있었다. Ⅲ장에서는 권호문의 「閒居十八曲」과 「獨樂八曲」의 문학적인 성격을 권호문의 장르 인식을 통하여 밝혀내었다. 우선, 16세기의 경기체가가 장르 본질을 잃었기에 쇠퇴하였다는 기존논의에 대하여 영남사림들의 경기체가 인식을 살펴보고, 장르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주세붕의 경기체가가 장르개혁의 경직성을 보인다면, 권호문의 「獨樂八曲」은 좀더 성리학자의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자부심을 노래하였던 것을 볼 수 있었다. 권호문이 연시조와 경기체가 양 장르를 향유한 것으로 미루어 장르변별 인식을 통하여, 「閒居十八曲」은 경험적인 세계를 述志하였고, 「獨樂八曲」은 처사로서의 이상세계를 暢志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退溪의 「陶山十二曲」에서 자연은 道體, 理致의 발현으로서 진리를 상징하는 도구로 쓰인 반면, 권호문의 작품에서 보이는 자연은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개인적이고 경험적인 자연이었다. 따라서 자신의 사상과 감정이 집약되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높은 서정성을 획득하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그의 삶과 문학을 지탱하고 있는 권호문의 세계인식태도를 추출하여 의미를 밝혀내었다. 이것은 강호가도 연구에 있어 권호문의 위상과 특성을 변별해내는 가치부여의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자연과 사회에 대한 인식에 있어 격리된 공간인식은 보이지만 세계까지 단절된 것이 아니다. 그의 처사적인 삶의 본질은 獨善으로 자연을 즐기는 것 뿐만 아니라, 兼善의 뜻을 구하는 隱居求志는 점에서 隱見一道의 사상을 이해할 수 있었다. 권호문은 농암, 퇴계로 이어져온 영남의 강호가도를 계승하여 그들과는 또 다른 기질과 처지에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시가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서정적이고 개인적인 감정을 노래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또만 이것은 16세기의 가치관에서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당대의 가치관을 수용하고 독자적으로 변용하였던 개인적 특성으로 이해하여야 한다.;In this paper, Song-am Kwon ho-mun(松巖 權好文)‘s chursa-juck(處士的) life and literature is understood as unity, and his significance of his days is revealed. By doing so, in the study of Kangho-gado(江湖歌道),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can be differentiated. In chapter Ⅱ, by examining into the academic and literary lineage of Yongnam-sarim(嶺南士林), we seek into Kwon ho-mun(權好文)‘s phase. Kwon ho-mun(權好文)‘s chursa-juck(處士的) life is in the chursa-juck(處士的) tradition of yongnam-sarim(嶺南士林). In the substance, it is not broken with the outside world, but achieves chi-in(治人) in the way of village education. And I clarify that the writing of si-ga(詩歌) in the 6th century is in close relations with the view of Che-do-juck mun-hac-kyan(載道的 文學觀), that is sul-i-bu-jak(述而不作) and ye-ac-sa-sang(禮樂思想). In this paradigm, Kwon ho-mun(權好文) intends to give a creative variation. Kwon ho-mun(權好文) has his own view of si-ga(詩歌), which combine Toe-gye(退溪)‘s educational on-you-don-hu(溫柔敦厚) and expressional aspect. In chapter Ⅲ,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in the (「閒居十八曲」) and (「獨樂八曲」) through his generic thoughts are examined. First, it is shown that gyong-gi-che-ga(景幾體歌) of the 16th century is one of the si-ga(詩歌) revolution of the youngnam-sarim(嶺南士林). They test the possibilities of the gyong-gi-che-ga(景幾體歌) genre. And through his generic distinctive recognition, it is shown that Kwon ho-mun(權好文) recites experiential world in (「閒居十八曲」) and (「獨樂八曲」). In Toe-gye(退溪)‘s (「陶山十二曲」), nature is a symbol of truth, but in the works of Kwon ho-mun(權好文), it is personal and experiential. In chapter Ⅳ, Ⅰ extract and give meaning to Kwon ho-mun(權好文)'s world prospectives which maintain his life and literature. In this point his chursa-juck(處士的) life can be viewed as not only doc-sun(獨善) enjoying nature alone, but eun-gur-gu-ji (隱居求志) pursuing kyom-sun(兼善). Kwon ho-mun(權好文) succeeds to the yongnam-kangho-gado(嶺南江湖歌道) which starts from Nong-am(聲嚴) then Toe-gye(退溪). But in different disposition and situation, he has an original view of si-ga(詩歌), and recites lyrical and personal feeling. Also, this must be understood as not apart from the 16th century' view point, but as personal charisristics giving variation to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