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영실-
dc.creator전영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1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14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tional conditions and self-esteem by the intermediation of estimation of occupation and especially white colors and blue colors are selected as subject of this study. Occupational conditions seem to be very important for the determination of self-esteem in terms that it has not only a close relation to social status but most of adults experience it through their life in place of work. The reason for selecting white colors and blue colors as subject of study is to examine the self-esteem of white colors and blue colors who are two group in most increased tendency,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ccupational conditions on the assumption that these two group are different not only in social status but also in occupational condition.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put on clerical works and industrial workers of large companies, a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proved that occupational conditions not only exerts the direct influence on self-esteem but influences on self-esteem through parameter of the recognized estimation of occupation by others. Second, it is revealed that, compared to industrial workers, clerical worker have relatively good occupational conditions and accordingly, self-esteem and the recognized estimation of occupation by others are high. Third, for clerical workers and industrial workers alike, in occupation, the intrinsic conditions related to work, exerts much greater influences on estimation of occupation self-esteem than the extrinsic condition. It means that employees of company in our society put emphasis on the intrinsic aspect of work when they estimate occupation. Fourth, as personal character, sex, age, status in organization, education and income are prov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e light that it studied the concrete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by focusing on the specific level of occupational conditions among various social factors, and that white colors and blue colors of the largely classified occupational group are selected as subject of study and it will be pointed out as limit of this study that the study of white colors and blue colors are limited to clerical workers and industrial workers of large enterprises.;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조건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직업에 대한 평가를 매개로 하여 밝혀 보고자 한 것이며, 이를 특히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작업 조건은 직업의 사회적 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이 되는 직장생활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것이므로 자아존중감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되리라 생각된다. 또한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를 선정한 이유는 이 두 집단이 직업집단 가운데 가장 큰 증가추세에 있는 집단들로서, 이 두 집단이 직업의 사회적 지위에서 뿐만 아니라 직업조건에 있어서도 차이가 날 것이라고 보고 직업조건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의 자아존중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를 위해 대기업 사무직과 생산직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조건을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업에 대한 인지된 타인의 평가라는 매개변수를 통하여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사무직은 생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좋은 직업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직업에 대한 인지된 타인의 평가 및 자아존중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사무직, 생산직종사자 모두 직업에 있어서 일 자체와 관련된 조건이 그 외의 부수적 조건보다 직업에 대한 평가 및 자아존중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나라 기업체 종사자들이 직업을 판단할 때 일 자체와 관련된 측면을 보다 중요시 여기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네째, 개인적 특성으로서 성, 연령, 조직에서의 지위, 교육정도, 소득은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논문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회적 요인들 중 직업조건이라는 특정차원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체화하여 연구한 점과 가장 크게 분류되는 직업집단인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를 대상으로 비교연구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의 연구를 대기업 사무직과 생산직에 한정시켰으므로 일반화의 문제가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문제 제기 = 1 Ⅱ. 이론적 배경 = 7 1. 자아존중감의 개념 및 중요성 = 7 2. 직업에 대한 평가에 관한 논의 = 12 3. 직업조건들에 관한 논의 = 16 4. 직업조건과 직업에 대한 평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21 1) 직업조건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21 2) 직업에 대한 평가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26 Ⅲ. 연구의 범위 및 가설 = 31 Ⅳ. 조사방법 = 34 1. 직업조건들의 측정 = 34 2. 직업에 대한 평가의 측정 = 36 3. 자아존중감의 측정 = 38 4. 조사대상자의 선정 및 조사실시 = 40 5. 분석방법 = 41 Ⅴ. 조사결과 및 분석 = 42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42 2. 가설검증 및 결과분석 = 47 Ⅵ. 맺음말 = 60 참고문헌 = 67 설문지 = 75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137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직업조건-
dc.subject자아존중감-
dc.subject상관관계-
dc.subject화이트칼라-
dc.subject블루칼라-
dc.subject직업인-
dc.title직업조건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 직업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correlation study of occupational conditions and self-esteem-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