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Anton Webern의 cantata no.2, op.31의 분석연구

Title
Anton Webern의 cantata no.2, op.31의 분석연구
Other Titles
(An) Analystic Study of Cantata No.2 op.31 by Anton Webern
Authors
김종미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Anton Weberncantata음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nton Webern은 20세기의 음열기법작곡가로서 그의 음악은 간결함과 극단적인 집중을 원칙으로 사용하였다. 그의 작품시기는 자유로운 무조성의 시기(1889∼1914), 음열음악을 추구하는 시기(1914~1927) 그리고 음열작품의 시기(1927∼1945)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의 작품 중 음열작품의 시기에 작곡된 곡이며, 작품번호가 있는 마지막 곡인 cantata no.2, op.31을 분석하여 Webern 작품의 특징을 알아 보고자 한다. 전체 6곡으로 구성된 op.31은 Webern 자신에 의해 "Missa breve"와 비교되었다. 그리고 Hildegard Jone의 시에 곡을 붙인 이 작품의 가사는 단음절적으로 되어 있고, 가곡의 형식은 1곡에서 5곡까지는 통절형식으로 작곡되었고, 6곡은 유절형식으로 쓰였다. 형식을 살펴보면 1·2·3·5곡은 3부형식으로 되어 있고, 4곡은 2부형식으로 구성되었고, 6곡은 가사에 따라 3개의 phrase로 구분된다. 성부의 구성을 보면, soprano·bass와 혼성4부합창의 성악성부와 기악성부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각 곡에 따라 성악성부의 구성을 달리 하였고 한 곡에서 성악성부와 기악성부의 대조를 보이나 곡 전체가 4성부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대위법적인 4성부 진행은 음열의 진행과도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이 작품에 사용된 음열은 하나의 음열을 작품전체에 사용하였고, 1곡의 첫 부분에 제시된 original 음열을 retroqrad, inversion, retrograde inversion의 변형을 통해 이도된 음열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음열은 각 곡의 특성에 따라 수직화음으로 제시되거나, dyad 또는 trichord로 제시되었으며 5곡에서는 연속적인 수직화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도된 음열의 수평이동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Webern의 창작활동의 정정을 이룬 Cantata no.2, op.31의 분석을 통해 그의 음열의 활용, 대칭적인 리듬과 화음에 의한 구조적인 체계 그리고 대위법적인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Webern 음악의 특징을 알 수 있다.;Anton Webern, a composer of the serialism of the 20th Century, used the conciseness and extreme concentration principally in his music. The stages of his works are devided into three periods: the period of the towards atonal concision( 1889∼1914). the period of the towards serialism (1914∼1927) and the period of serial works( 1927∼1945). In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 though analyzing the Cantata no.2, op.31 which is the last song with opus in his works, and composed in the period of serial works. The op.31, consisted of six songs, is compared with the "Missa breve" by Webern himself. And the text of the work which is set the rhythm to the poem of Hildegard Jone, is formed of syllabic text setting. Form the point of the song form, it is composed of "through-composed song" from the first song to the fifth, and of "strophed-composed song" in the 6th songs. In searching for the form of this work, it is composed of ternary form of this work, it is composed of ternary form in the 1st. 2nd, 3rd and 5th songs, binfary form in the 4th song and the 6th song is devided into three phrases by its text. For the study of the composition of the sound parts, in the works composed of vocal part of soprano, bass and choral and of instrumental part, the composition of vocal part is differentiated in each song. And it is composed of four sound parts as a whole, though it is contrasted between the vocal part and the instrumental part even in a song. These contrapuntal progression of the four sound part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erial propagation. From the point of series used in this work, the just one series is used for the whole work. It is used the transposited serial from the original series exhibited at the primary part of the 1st song, through transfromation retrograde, inversion, retrograde inversion. These series are exhibited as a chord, dyad or tricho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ng. The continually vertical chord can be found in the 5th song, and it is presented as a phenomenon of parallel movement of chord moved series. As mentioned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webern's music, that is the structural system and the contrapuntal organization by the usuage of series, symetrical rhythms and chords, can be understood, through analyzing his work, which is a t the height of webern's composition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