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지원-
dc.creator민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58-
dc.description.abstract1951년 난민협약을 난민이 되기 위해서는 (1) 인종, 종교, 국적, 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견해를 이유로 (2) 박해를 받거나 받를 유려가 있는 공포가 있어야 하며 (3) 국적국이나 상주국 밖에서 (4) 본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받을 의사가 없는 자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난민협약 상 난민정의는 여성난민의 성별화된 조건에 응답하지 않는 남성 패러다임 안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여성난민에 대한 국제적 보호를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본 논문은 난민법상 남성 패러다임을 바꾸면서 동시에 협약상 난민개념을 확장시키기 위해 난민정의에 대한 성인지적 해석을 그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박해의 내용에서 '젠더 박해'의 유형을 검토했고, '국가기관'이 아닌 '사인에 의한 박해'가 어떤 논리전개를 통해 포섭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인종, 국적, 종교, 논리적 견해, 특정사회집단 구성원 신분' 각각의 근거가 성인지적 해석에 의핸 어떻게 재구성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젠더 박해는 ① 박해의 방법이 젠더와 관련되는 경우, ② 법이나 관습 위반에 따른 처벌이 박해적인 경우, ③ 법, 정책 또는 관행 자체가 박해적인 경우, ④ 법의 집행수단이 박해적인 경우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① 유형으로는 성폭력과 가정폭력의 판례를 제시하였고, ② 유형으로는 강제결혼과 복장법규 등에 관한 판례를 제시하였다. ③ 유형에서는 할례의 판례가, ④ 유형에서는 한 자녀 정책의 판례가 다루어졌다. 둘째, 국가나 기관의 개입(state complicity)이 박해를 구성하는 필요 조건인지 여부가 여성 문제에서 중요하다. 박해는 보통 국가 기관에 의한 행동과 관련된다면, 젠더 박해는 국가나 기관에 의해서 행해지기보다는 많은 경우 사인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관해서 Canada v Ward 판례는 합역의 어떤 부분에서도 박해의 행위자(agent)가 정부일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음을 인정했다. 셋째, 젠더 박해는 "박해 = 심각한 위해 + 정부보호의 실패" 공식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공식은 영국 난민여성법률구조단이 정부 젠더 가이드라인에서 제안되었고, 영국 Isalm-Shah 판례와 뉴질랜드 Refugee Appeal No 71427/99 판례에서 확인되었다. 사인에 의한 젠더 박해는 무엇보다도 '정부보호의 실패'가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국가의 보호가 어느 정도가 되어야 하는지 그 기준이 문제된다. Refugee Appeal No 2039/92 RE MN 사건의 로저 헤인즈 판사는 신청자에게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나 심각한 위해의 가망성이 여전히 남아있는 한, 그 정부는 보호에 실패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다섯째, '젠더'가 '특정사회집단'에 해당하는지가 문제된다. Ward 사건과 Matter of Acosta사건에서는 '젠더'를 사회집단 유형 중 '천부적 또는 불변적 특성으로 정의되는 집단'에 포함시키고 있다. 본 연구도 '여성'의 일반적인 취약성으로 인해 '사회집단'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이 여성 모두에게 난민지위를 자동적으로 부여받는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여섯째, 본 연구는 이러한 성인지적 해석을 북한 여성의 구체적 현실에 적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세계인권선언과 B규약에서 보장된 신체의 자유 및 안전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는 성폭력, 강제결혼, 그리고 수용소에서의 성고문 및 강제낙태를 중심으로 난민 지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북한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성폭력이나 가정폭력은 일상적인 관행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부가 이를 묵인하거나 보호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생명이나 안전에 대한 협박이나 구타는 박해에 대한 공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강재결혼'에 동의하지 않는 여성에 대해 '가족'이나 '상대편 남자'에 의한 처벌이 가해질 수도 있다. 특히, 젠더 박해에 대한 북한의 제도적 부재는 '국가보호실패'를 의미한다. (2) 집결소나 정치범 수용소에 강제 송환된 여성은 '반동적인' 사상오염이라는 정치적 견해를 근거로 성고문을 당할 수 있다. 사실상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서는 강간, 성적고문, 강제낙태 등이 행해지는 등 여성에 대한 인권침해의 정도가 매우 심각하다. 이러한 폭력은 "아무도 고문이나 가혹하거나 비인도적거나 모욕적인 처우 또는 형벌을 받지 않는다"는 세계인권선언 제5조를 위반한 박해에 해당한다. 또한, 중국에서 결혼하거나 임신한 여성에 대한 처벌은 가중되어 있다. 강제낙태 그리고 결혼이나 임신한 여성에 대한 가중된 처벌은 '민족의 배반자' 혹은 '반동'이라는 '정치적 견해'에 근거할 수 있다. 강제낙태는 국제법상 일순위 권리를 침해하고 있는 박해에 해당되고, 결혼이나 임신한 여성에 대한 균형을 잃은 가혹한 형벌도 박해에 해당한다. 이를 피해 도망친 난민 신청자가 공포를 형성할 만한 충분한 근거가 있다면 난민지위를 부여해야 한다. (3) 북한여성이 국가를 떠날 때는 난민이 아니었지만 이주를 통해서 강간과 다른 형태의 성폭력의 희생자가 되었을 경우, 강제결혼이나 매춘의 강요 등 부과적인 인권 폭력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의 지원자를 「현지 체제중의 난민(refugee'sur place')」로 인정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성난민 신청자들이 주장이 어떠한 해석을 통해 국제난민법에서 수용될 수 있는 지와, 이러한 성인지적 해석이 국경을 넘고 있는 탈북 여성의 현실에 어떠한 기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했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시도는 '전통적' 주권 개념의 배타성과 국세난민법의 남성 중심적인 패러다임에 대한 여성주도적 도전을 의미한다.;International refugee law is related with changes in both the legal concept of the issues on women a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sovereignty. The sovereignty boundary in domestic jurisdiction is a "private" area since international humanity law can be involved only when the state fails to perform its duty in terms of international law. In other words, the refugee can be "exceptionally" protected only when the home state cannot or does not afford them the protection they need, which is called "the principle of surrogate". similarly, international refugee law on women's issues can be meaningful only when the state fails to protect women from the "private" violenc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gender-sensitive interpretation in defining refugee in aspect of international convention. although female refugees are persecuted differently from male refugees, the refugee law considers the fractural situation of the male applicants and has been developed within the male-centered paradigm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need of the appropriate protection for women. One of the suggestions to change the private/public dichotomy in international law is simply adding "gender" conception to refugee definition in international convention. However, the marginalization of women can be fortified by doing so. Therefore, this study has tried to reconstruct definition of refugee in terms of gender-sensitivity in every given circumstance and step. According to the 1951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refugee 1s defined as an individual 1) who is in fear if being persecuted for the reasons of race, religion, nationality, or the membership of a particular social group or the political opinion, 2) who is away from the country the origin of his/her nationality or the residence, and, meanwhile, 3) who is not able or willing to be protected by that country. To make those conceptions satisfied, in this study, it was emphasized in the gender sensitive point of view how the gender persecutions can be categorized, how the persecution by non-state agent (not by state agent) can be established, and how "race, religion, nationality, or the membership of a particular social group" can be reconstructed. The gender persecu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1) gender related persecution (such as domestic or sexual violence), 2) punishment as persecution on transgression of the law or tradition (such as forced marriage or dress code), 3) law, policy, or practice itself as persecution (such as female circumcision), 4) legal action as persecution (such as one-child policy). Also, this study stresses that it is important whether state complicity in persecution is pre-requisite or not. While the persecution is generally related with the action of the state agent, the gender persecution is, in many cases, at the hand of ''private" or non-state agent. According to the Canada v. Ward Case, the state complicity in the persecution is irrelevant and the co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state complicity as the agent that performs the action. The formula regarding gender persecution, "Persecution = serious harm + failure of state protection" , was suggested by Refugee Women Legal Group in the Gender Guideline for Determination of Asylum. It was, afterward, confirmed by the Isalm-Shah Case and by Refugee Appeal No 71427/99 Case in new Zealand. The gender persecution by the non-state agent premises the state's inability or unwillingness to protect nationals. The question on the state's protection level should be considers one of the factors in gender persecution issues. According to Judge Rodger Haines in the Refugee Appeal No 2039/92 RE MN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has failed to give the protection in need if there still remains the real chance of serious harm to the applicants. There is important question remaining regarding whether the "gender" is one of the "particular social groups" Ward Case and Matter of Acosta Case have accepted the "gender" as one of "the groups defined by innate or unchangeabl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gender" is considered " one of the social groups" because of the vulnerability of women's status in the society. However, it does not lead to the consequence that all women are automatically entitled to refugee status. The possibility to apply the gender-sensitive interpretation to the case of the women escaped from North Korea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chance for them to be entitled to refugee status was reviewed in the context of the violence of the physical security and freedom guaranteed by Universal Declaration on Human Right and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is study also has focused the gender persecution of the female escapee of North Korea such as the domestic and sexual violence, forced marriage, and sexual torture by state agent, and forced abortion as an example of the inhumane violence. According to this study, domestic and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re accepted as tradition in North Korea. When state agent is unwilling or unable to protect women from those violence cases, the threat of life and security or the physical violence can causes the fear if being persecuted. Also, the "mate counterpart" or "family" may punish the woman who refuses " forced marriage". The systematic lack of the protection for the female victims in North Korea shows the failure or inability of the state protection. Women in the political prison camps in North Korea are exposed to the high risk of the sexual torture since they are labeled as the rebels based on the national political point of view. The outrage of human right of the women (such as rape, sexual torture, or abortion, etc) in political prison camps in North Korea is actually very serious. It is the violation of women' s fundamental right as set forth in article 5 of Universal Declaration on Human Right and is apparently the case of persecution In China, the punishment of the woman in marriage or in pregnancy is aggravated. The forced abortion and the aggravation for the women in marriage or in pregnancy are based on the political opinion which considers her as the rebel of the people in the nation. Forced abortion is the persecution that violates the first order right in the international law and the disproportionately severe punishment to the married or the pregnant is, as well, persecution. When the claimant escaped from this unfair and harsh punishment could establish the well-founded fear of persecution, she should be entitled to the refugee status. The North Korean woman who was not a refugee when she left her country, but who became a victim of rape or other form of sexual violence by immigration, could experience the additional human right violation. The applicants under such situation should be accepted as the refugee "sur place".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wo main points. First, by what interpretation, the female applicants' opinion can be accepted in the international refugee law. Second, how the gender-sensitive interpretation can give the better suggestions and chance for the North Korean women left their country. This study can be called ''the feminist challenge"- the challenge to the exclusiveness of "traditional" sovereignty, and the challenge to the male-centered paradigm of the international refugee law in feminism point of vie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내용 = 1 B. 연구방법과 과정 = 3 1. 연구과정 = 3 2. 연구방법 = 5 가. 북한 자료의 분석방법 = 5 나. 여성주의적 법해석 = 8 C. 이론 및 기존논의 검토 = 10 1. 탈북자의 난민자격에 대한 기존연구 및 한계 = 10 2. 한국의 난민보호제도 및 여성난민에 관한 국내 논의 = 13 Ⅱ. 국제 난민법과 북한 여성의 인권 = 17 A. 국제난민법의 공·사 이분법 = 17 1. 사적 영역에서의 박해 = 17 2. 주권과 대리의 원칙 = 18 B. 국제인권규범과 북한 여성의 인권 = 20 1. 인권의 보편성·상대성 = 20 2. 북한여성의 인권과 '우리식 인권' = 23 Ⅲ. 국제법상 난민 정의에 대한 성인지적 해석 = 27 A. 난민 개념 확대의 역사 = 27 1. 협약상 난민 개념의 역사 = 27 2. 난민 정의에 대한 성인지적 해석 = 30 가. 여성난민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 30 나. 법해석을 통한 '젠더'의 공간 : 첨가 vs 해석 = 34 B '젠더 박해'의 개념 및 내용 = 36 1. 박해의 내용과 판단기준 = 36 가. 박해와 공포의 내용 = 36 나. 차별과 박해 = 38 다. '젠더' 박해에 대한 평가기준 = 39 2. 젠더 박해(Gender-Related Persecution)의 유형 = 42 가. 박해 방법이 젠더와 관련되는 경우 = 43 나. 법이나 관습 위반에 따른 처벌이 박해적인 경우 = 50 다. 법, 정책 또는 관행 자체가 박해적인 경우 = 53 라. 법의 집행수단이 박해적인 경우 = 55 C. 국가 또는 사인에 의한 박해 = 58 1. 박해의 행위자 = 58 2. 국가보호의 실패 = 59 가.대리의 원칙 = 59 나. 국가보호실패에 대한 입증 = 60 다. 국가 보호의 판단 기준 = 63 3. 심각한 위해 = 64 D. 젠더 박해의 근거 = 66 1. 인종과 국적 = 67 2. 종교 = 68 3. 정치적 견해 = 70 4. 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 75 가. 특정사회집단의 의미 = 75 나. 사회집단과 '젠더' = 77 E. 특정사회집단 '젠더'의 경계 = 80 1. 사회집단의 규모와 잠재적 박해가능성 = 80 2. 여성의 하위 범주 = 82 Ⅳ. 탈북 여성의 국제법상 난민 자격 가능성 = 86 A. 국경의 성별화된 의미와 여성 몸의 권리 = 86 B. 난민 협약에 의한 자격요건 = 89 1. 박해를 받을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 = 89 가. 북한 사회에서의 젠더 박해 = 89 (1) 일상화된 여성에 대한 폭력 : 성폭력, 강제결혼, 인신매매 = 89 (2) 집결소·정치범 수용소 등에서의 성고문 및 인권침해 = 91 (3) 강제 송환예 따른 여성에 대한 형벌 및 강제낙태 = 94 나. 국가보호의 실패 = 96 2. 젠더 박해의 근거 = 97 가. 정치적 견해 = 97 나. 특정사회집단 = 99 C. 이주 과정에서의 성폭력과 '현지 체재 중의 난민' = 100 Ⅴ. 결론 = 104 참고문헌 = 108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654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제협약상-
dc.subject난민자격-
dc.subject젠더-
dc.subject북한여성-
dc.subject박해-
dc.title국제협약상 난민자격 결정기준으로서 '젠더'박해와 그 근거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북한 여성의 난민자격에 대한 성인지적 해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Gender' Persecution and Grounds for Persecution in accordance with the 1951 Refugee Convention : With Focusing Gender-sensitive Interpretation on Refugee Status of North Korean Womens-
dc.format.pagevi, 1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