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조의영-
dc.creator조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0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미니멀리즘 주류 담론에 의해 표면화되지 못했던 속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이러한 특성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예로 여성 미니멀리스트 앤 트루잇(Anne Truitt, 1921-) 작품의 형식적 특징과 내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트루잇의 조각은 대표적인 미니멀리즘 작품들과 유사한 형식 어휘를 공유함으로써 미니멀리즘으로 분류되어 전시되어 왔으나, 그녀의 작품에는 제도권의 일반화된 명제로는 읽힐 수 없는 부분들이 상존하고 있다. 미니멀리즘의 주류 형식 속에 비주류적 특성이 공존하는 양면성으로 인하여 트루잇의 조각은 막연히 미니멀리즘의 주변부로 해석되어 왔지만, 이러한 복합적인 특성은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미니멀리즘에 접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미니멀리즘 작품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이 형식에서 내용을 배제한 측면이라면 본인이 발견하고자 하는 비주류적 특징, 즉 주류 담론에서 간과되었던 미니멀리즘의 이면이란 내용을 이루는 언어적 요소들이 형식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측면을 말한다. 미니멀리즘은 형식주의의 극단적인 예로서, 작품의 물리적 속성에 주목하고 모든 의미와 내용을 철저히 거부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미니멀리즘을 이성적이고 중성적인 미학으로 부각시키는 해석은 주류 작가와 비평가들이 만들어낸 주류 담론에 속한 것으로서, 미니멀리즘 작품을 실제로 대면하게 되면 모종의 내용 즉, 언어적 요소를 발견하게 된다. 서정적, 상징적, 서술적, 관념적 등 다양한 형용어로 설명될 수 있는 작품의 내용은 대표적인 미니멀리스트 작품에서 뿐 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주변부로 소외되어왔던 캘리포니아 미니멀리즘(California Minimalism)과 여성 미니멀리즘 작가들의 작업에서 여러 양태로 수용되고 있다. 특히 여성 미니멀리즘 작가들의 경우에는 서정적 감수성이나 자전적 체험, 자기 고백적이고 심리적 내용이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으며 이는 트루잇의 서술적 요소의 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를 제공해준다. 트루잇은 미니멀리즘 조각의 감축된 형식을 통해 일상적 기억들과 경험했던 장소, 사건, 사람들의 추억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색채를 구체적인 재료로 다루면서도 물질성에 상충되는 시각적 일루젼의 효과를 수용하고, 기억을 상기시키는 은유적인 요소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하여 색채는 물질과 환영, 순수 형식과 서술적 내용 사이를 왕래한다. 또한 미니멀한 추상 형식에서 엿보이는 구상성이나 암시적인 제목은 그녀의 조각을 순수 형식인 동시에 서술적 내용으로 읽히게 한다. 무엇보다도 트루잇이 여타 미니멀리스트들과 구분되는 특징은 수공의 과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자 한 태도라 할 수 있다. 그녀는 예술 작품의 창조와 자신의 경험을 표출하는 행위를 동일시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조각은 작가의 기억을 표상하는 대상물로 제시된다. 이렇듯 색채와 형태, 제목과 제작 방식 등 다각도로 서술성을 함유한 작품은 설치 공간 속에서 관람자와 소통한다. 트루잇의 조각이 만들어 내는 공간은 관람자의 신체적 경험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 경험의 세계로 그들을 이끈다. 이 순간, 조각들 사이의 새로운 의미들이 생산되는 갤러리는 거대한 내러티브의 장이 된다. 요컨대, 트루잇은 미니멀리즘의 경계에 서서 그것에서 인정되는 가치들과 배제되었던 가치들을 병치시킨다. 이질적인 요소들을 포용하는 공존의 미학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이중성을 다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는 일관적인 논리로 설명될 수 없는 모호함으로 규정되어온 트루잇의 조각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작업이면서, 단선적으로 규정되어 온 미니멀리즘의 또 다른 얼굴을 마주하게 하고 그것에 대한 풍부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놓게 될 것이다.;This thesis is to discover the character which was not exposed by mainstream discourse and to study the form and inside meanings of Anne Truitt's work showing this character positively. As Truitt's sculpture shares the form vocabulary in common with Minimal art, it has been classified and displayed as Minimalism. Her work, however, has parts which can't be understood in systemized general proposition. In other words, due to double face that mainstream's form co-exists with non-mainstream part, her sculpture has been vaguely interpreted as the boundary of Minimalism but these complex features, on the other hand, offer another approach to Minimalism through a different way from the established one. Whereas Minimalism has been generally construed as "Form with no content", I will study that elements composing content are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form of Minimalism work. ; that is the other side of Minimalism. And it is the aspect which has been ignored in the mainstream discourse. Minimalism has been comprehended as the extreme example of Formalism that emphasizes the physical property of work and refuses all inner meanings and content. This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cool and neutral character of Minimal art has been typical analysis made by mainstream artists, critics and discourse. Confronting with Minimalism works, however, we can also find a certain kind of content in them. The content of work expressed in such diverse adjective words as lyric, symbolistic, narrative, ideologic and so on is accepted in multiple modes not only in typical Minimalist's works but also in works of California Minimalist and woman Minimalists who were treated distantly by mainstream. Especially, woman Minimalist's works have lyric sensitivity, biographical experience and psychologic sense through which we can get a clue to examination into a trait of Truitt's narrative element. Truitt embodies daily memory of place, event and people by means of reductive form of Minimalism sculpture. When she manages color as concrete material, for example, she also accepts an effect of optical illusion that is contradictory to the materiality and uses color as metaphor to mind memory. These characteristics make color move back and forth from matter and illusion, pure form and narrative content each other. Besides, the figurative shape and allusive title in Minimalism's abstract style propose her sculpture not only as abstract form but also as descriptive story. The most unique aspect of Truitt is the positive introduction of handmadeness. She regards creation of art in the same light with expression of her own experience and thus, work can be exhibited as an object representing artist's memory. Having all the elements-color, form, title and manufacturing method, her work communicates with spectator in the installation space. The space where Truitt's works produce guides visitors to the world of their physical experience and induces them to the area of their spiritual background to share their stories. At this moment, gallery, producing various meanings with displayed sculptures, becomes a great narrative field. To sum up, standing on the boundary line of Minimalism, Truitt's work juxtaposes the values recognized together with ones excluded by mainstream. She offers the idea of co-existence by accepting heterogeneous elements. The study and analysis of this duality are the process to a new understanding of Truitt's sculpture that could be easily misread by established view as ambiguity with no consistency. They also lead us to possibility on vast interpretation of Minimalism which has so far been defined in a single w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미니멀리즘과 언어적 요소 = 9 1. 주류 담론의 이분법적 논리와 언어적 요소 = 10 2. 작품 형식에 내재된 언어적 요소 = 20 Ⅲ. 앤 트루잇 조각의 서술적 요소 = 30 1. 순수 색채에 내재된 일루젼 효과 = 31 2. 추상 형식 속에 담긴 개인적 기억 = 40 3. 수작업의 흔적을 통한 예술가 주체의 표현 = 47 4. 건축적 구조에 조성되는 정신적 공간 = 52 Ⅳ. 결론 = 58 참고문헌 = 62 도판목록 = 71 도판 = 76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39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성 미니멀리스트 앤 트루잇(Anne Truitt)의 색채 조각을 통해 본 미니멀리즘의 이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Other Side of Minimalism in the Works of Woman Minimalist Anne Truitt-
dc.creator.othernameCho, Eui-young-
dc.format.page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