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정자-
dc.creator최정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8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1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171-
dc.description.abstract급진적인 사회구조의 변화와 산업의 공업화는 생활수준의 향상 및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질병발생의 양상을 변화시켜 퇴행성 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형태의 만성질환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런 만성질환은 성인기의 퇴행성 질환중, 근골격계 대상자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쳐 그들에게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만성질환의 특성은 발생 후 서서히 진전하며 잠행적이나 심각한 장애를 남기어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회적, 정신적, 심리적 및 가족적인 문제는 계속적으로 발생하며 이의 영향으로 대상자 자신은 무능력, 사회적 고립, 고가의 경제적 부담등의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만성질환자들에게 자존감을 일깨워 주고 가족과 사회의 적응능력을 향상시켜 고통, 슬픔, 절망, 불안 등을 최소화하는 대처능력을 함양시키고져 근골격계 만성질환자의 자가간호 이행행위정도와 삶의 만족정도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근 골격계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청주시 일부 종합병원의 정형외과 입원실과 외래를 통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자료의 수집기간은 1989년 3월 22일부터 4월 1일까지 10일간이었다. 연구의 도구는 심, 최, 최의 자가간호 이행행위 측정도구와 Wood등의 LSI-Z 및 노의 삶의 질에 대한 측정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신뢰도 검정을 거쳐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t-test, ANOVA등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갈다. 대상자의 일반적 분포는 60세 이상의 노인이 25.3%, 여자환자의 비율이 63.2%, 월수입이 적은 대상자가 63.2%이었으며 이들에게 근 골격계 만성질환의 이환율이 높게 나타났다. 침범부위는 무릎(33.3%) 부위와, 질병의 양상에서 동통을 호소(44.8%)하고 있으며 많은 수의 대상자가 양약에 대한 치료방법의 실시(31.0%)를 하고 있고 유병기간은 1년미만에서 10년이상까지 다양하였고 평균 유병기간은 4.2년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가간호 이행정도는 의사의 처방에 의한 약물복용, 대상자 자신의 의견보다는 의사와 간호사의 지시사항 이행, 항상 마음을 편하게 가지려고 노력하는등의 자가간호 이행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조절을 위한 노력과 통증이 없을 때 운동실시 항목은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삶의 만족 정도에서는 타인에 대한 믿음, 지루하고 단조로운 생활, 하고싶은 일을 실행하지 못하는 등의 항목이 높았으며, 대상자 자신의 생활형편이 더 나빠지고 있다고 한 항목이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이행행위정도와 삶의 만족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자가간호 이행행위정도의 항목에서 종교(p=0.0200), 월수입(p=0.0272)등이, 삶의 만족 정도에서는 연령(P=0.0080), 결혼상태(P=0.0292), 교육수준(P=0.0028), 치료비 부담(P=0.0034), 통증빈도(p=0.0034)등의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근 골격계 만성질환자의 삶의 만족정도는 자가간호 이행해위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근 골격계 만성질환자의 간호중재에 자가간호 이행행위를 적극적으로 활성화시킴은 물론 자가간호 이행행위의 구체적인 지도 및 역할부여가 간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lucidate if there were relationaships between the self-care behavior and life satifaction. The sampling method was a non -probability,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7 volunteer adul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chronic illness of musculoskeletal system, and who were hospitalized or OPD in Cheongju area between 22 march to 1 april, 1989.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pplied method of Self-care Behavior Scale developed by Choi and the Life Satisfaction Index-Z by Wood et. al. Analyses of data were done for percentage, t-test and ANOVA using the SPSS package of HP-3000/58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 Among the participants, individuals above 60 years old were 22(25.3%), female was 55(63.2%) in the sex distribution and low income group was 55(63.2%). A lot of them complained pains(44.8%) and damaged knee (33.3%). Their average period of illness was 4.2 years. The mean score of self-care behavior scale and the mean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ere 2.0876 and 2.1512 respectively, Inspite of pursueing life satisfaction due to change life habit, the score of self-care behavior scale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ere shown low values of life satisfaction. The score of self-care behavior scale was the highest in the item of acceptance of medical indications (2.7262)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as revealed as acceptable in the affirmative human relation item (2.8095). In addition, it was significant that the main influencing items on life satisfaction were religion, income, age, marriage state, level of education, payment of hospital fee and frequency of pain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elf-care behavior scale is an important attitude that can improve life satisfaction in chronic in musculoskeletal pat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 5 A. 근 골격계 만성질환자의 특성 = 5 B. 만성질환자의 자가간호 = 7 C. 만성질환자석 삶의 만족 = 8 Ⅲ. 연구방법 = 12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2 B. 연구 도구 및 자료분석 = 12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4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4 B. 대상자의 자가간호 정도와 삶의 만족 정도 = 16 C. 대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이행행위정도와 삶의 만족정도 = 19 Ⅴ. 결론 및 제언 = 22 A. 결론 = 22 B. 제언 = 23 참고문헌 = 24 부록 = 28 ABSTRACT = 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3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근골격계-
dc.subject만성질환자-
dc.subject자기간호-
dc.subject-
dc.title근 골격계 만성질환자의 자가간호 이행행위정도와 삶의 만족정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CORES OF SELF-CARE BEHAVIOR SCALE AND LIFE SATISFACTION IN CHRONIC MUSCULOSKELETAL PATIENT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