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원-
dc.creator이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01-
dc.description.abstractNowadays, the society is getting more perplexed and asking more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human beings because we now live in a society having deluge of information. In this society, public education system alone cannot fully satisfies the increasing demand in education of parents and students, who are the consumers in education. It stands to reason that a private education market is rapidly growing up recently. Especially, as for private institutes for 4th through 12th grade students, they have the exactly same curriculum as public schools do, which results in a magnificent impact on public education system, and therefore we need more intense and profound research and study on private education. However,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problem and effects of private institutes on education has not yet done, although the market of private institutes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they have had serious effects on society. Furthermore, research on the private education and private institutes, so far, has been restricted as an approach of psychological or sociological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developing process,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of private institutes. To do so, literature analysis, regional research, and questionnaire research were conduct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followed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region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location of private institutes. First, private institutes, mainly targeting 4th through 12th grade students, have been grown up or dow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government policies on private education and educational system; particularly, policies regarding a college entrance process. Since a policy prohibiting private tutoring was declared in 1974, the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has enabled private institutes, which were alternative for private tutoring, to grow. But, there were still many legislational restrictions on private education and thus private institutes started to be developed in abnormal manners to avoid such regulations. After then, another policy, which entirely forbade private education, including tutoring and institutes, was declared in 1980, and it made private institutes shrinked and declined for a while. However, in 1989, attending private institute while in school was permitted, and since then, private institute industry has been steadily growing. This unstable education policies and a policy regarding college entrance process have made both parents and students uneasy, and thus private institute industry has expanded dramatically. Second, the analysis of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s of private institutes shows that various institutions for exams and literature related are densely located in large-scale-residential areas. In Seoul, there is substantial difference of distribution in districts, or even in blocks in a same district. For example, there densely located private institutes in district Kangnam-gu and Songpa-gu In Kangmm-gu, one third of private institutes are located in one block, Deachi-dong. It shows that private institutes are concentrated in certain areas in some reasons. Thir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through questionnaire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which affect on locational distribution of private institutes in Seoul, the main factor was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and apartments. In other words, the more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and apartments are, the more private institutes are. It was also founded that there was a regional difference of primary factor in location, when we did questionnaire research in Kangnurn-gu and Nowan-gu. In Kangmm-gu, they considered distance from schools, regional reputation, and attitudes of parents as key factors to be located, while, in Nowan-gu, land prices and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were important factors in location. However, large-scaled-residential area, the economic level, and the number of schools were main factors that affect choosing private institution location in both areas. This result almost fits to statistical analysis of location factors in Seoul. Also, students attitudes in choosing private institutes were different in Kangnam-gu and Nowan-gu. Students in Kangnam-gu lay much stress on internal factors in education; curriculum, quality of instructors, and adequate size of class. While, in Nowan-gu, students consider external factors as important matters; reputation,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ourth,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private institute concentration were analyzed based on Deachi-dong area, where most private institutes of Kangnam-gu were located. First of all, in Deachi-dong area, one of the characteristics is that there are many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institutes named after the directors. Also, recently, very unique private institutes, namely "Tutoring Institution", as a intermediate form of private tutoring and institute, tends to grow rapidly. The reasons why most of private institutes are concentrated in Deachi-dong are that this area has a lot of private institutes with good reputation and that parents have enthusiasm for education. Also, sufficient demand from large- scale of residential apartments and school concentration, 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factor which has few entertainment sections,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economic level are important factors which bring about private institute concentration in a certain area. This research focuses on Understanding current situation and trends in privat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understanding will be basis for the efforts to seek a mutual beneficial and harmonious development in both private and public education. In this research, however, more various analysis could not be conducted mainly because of shortage of literature, documentary, and statistics resources and it has its own limitation in that the conclusion is made from the analysis in restricted areas, Kangnam-gu and Nowan-gu and it is generalized for Seoul and other regions based on the limited research.;많은 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공교육인 학교교육만으로는 다양해진 교육수요자들의 교육적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사교육이 크게 성장하면서 교육서비스업 시장은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서비스업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사교육과 교육산업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일부의 연구결과들은 사회적·심리적인 접근에 한정되어 있으며 지리학적으로 교육산업의 특성이나 공간적 분포를 밝힌 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서비스업의 일부분인 중·고등학교 재학생 대상의 보습학원의 발달과정과 공간분포 패턴 그리고 보습학원 입지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및 지역조사 그리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해석적·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보습학원의 공간적 분포 및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입시 및 보습학원은 정부의 사교육에 관련된 정책과 대학입학제도의 변화에 따라 성장과 쇠퇴의 발달과정을 나타낸다. 1974년 과외를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정책이 발표됨에 따라 과외의 수요가 학원으로 유입되었으나 학원의 운영에 있어 규제가 많아 학원은 파행적인 방법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이후 1980년 재학생의 학원수강 및 과외를 전면 금지하는 방침이 발표되어 보습학원은 크게 위축되었다. 그러나 1989년 재학생의 학원수강이 허용되었으며 이후 학원은 꾸준히 성장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변화와 함께 대학입시제도의 잦은 변화 또한 학부모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학원시장의 확대를 초래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보습학원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살펴본 결과 지역 내의 학교 및 학생 수와 아파트 등 대규모 주거단지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에서 문리계 학원 및 보습학원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울시의 각 구별 보습학원 분포 및 강남구의 동별 학원 분포에 있어서 지역적 격차가 매우 심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서울시의 경우, 강남구와 송파구 등이 학원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남구의 경우, 대치동 지역에 강남구 전체 보습학원의 1/3정도가 밀집되어 학원의 집중화 현상이 뚜렷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적인 방법과 통계자료를 활용한 규범적인 방법으로 보습학원의 입지특성을 살펴보았다. 서울시의 보습학원 분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에 의해 알아본 결과, 각 지역별 중학교의 숫자와 아파트의 비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교의 수가 많고 아파트의 비중이 높을수록 보습 학원이 많이 분포한다고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강남구와 노원구를 사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좀 더 실증적인 보습학원의 입지요인을 살펴본 결과, 두 지역간의 입지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강남구 학원장의 경우, 주변학교와의 거리·학원지역으로서의 명성·학부모의 교육열을 노원구에 비해 중시하게 생각하는 반면, 노원구의 학원장은 지가 및 버스·지하철과의 접근성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지역의 학원장은 대규모 주거지 및 학부모의 경제적 수준 그리고 중·고등학생 수를 입지선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규범적인 통계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강남구와 노원구의 학생들은 보습학원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강남구의 학생들은 수업 내적 요인 즉 교육프로그램이나 강사의 자질, 학원의 작은 규모 등을 중시하였다. 반면에 노원구의 학생들은 수업 외적 요인 즉 학원의 인지도, 수강료, 학원 시설, 교통 등의 요인을 강남구의 학생보다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강남구에서 가장 보습학원이 많이 집적되어 있는 대치동 지역을 대상으로 학원 집중의 특성 및 집적요인을 살펴보았다. 우선, 대치동 지역의 학원의 특징은 과목별 전문학원이 매우 많이 나타났으며, 학원장의 이름을 브랜드화 한 경우도 많았다. 또한 최근에는 개인과외와 학원의 중간형태인 과외방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학원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이렇게 대치동 지역에 학원이 집중된 이유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좋은 학원이 많다는 명성과 대치동 지역 학부모의 교육열 때문이라고 나타났다. 또한 학원장과의 면접법에 의한 집적요인으로는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많은 학교로 인한 충분한 수요, 편리한 교통, 청소년유해시설이 적은 지역적 환경, 학부모의 교육열 및 경제력이 그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보습학원 중심의 교육산업에 대한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교육서비스업의 입지특성을 밝히고, 나아가 공교육과 사교육의 상호 보완적이며 조화로운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학원에 대한 문헌 및 통계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더욱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강남구와 노원구만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의 결론을 서울시 및 전국의 보습학원으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 2 1. 연구범위 = 2 2. 연구방법 및 자료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서비스업의 정의와 분류 = 5 B. 서비스업의 입지와 상권 = 6 1. 중심지 이론 = 7 2. 서비스업의 입지선정에 관한 이론 = 8 3. 서비스업의 상권에 관한 이론 = 10 C. 선행연구 고찰 = 11 Ⅲ. 우리나라 학원산업의 특성과 발달 = 14 A. 학원의 특성과 분류 = 14 1. 학원의 특성 = 14 2. 학원의 분류 = 16 B. 사교육 정책변화와 보습학원의 발달 = 18 1. 1960년대~1970년대 중반 : 입시보습학원의 태동기 = 19 2. 1970년대 후반 : 입시보습학원의 파행적 호황기 = 19 3. 1980년대 : 입시보습학원의 침체기 = 20 4. 1990년대 이후 : 입시보습학원의 발전기 = 20 Ⅳ. 서울시 보습학원의 분포 패턴과 입지특성 = 23 A. 학원의 공간 분포 특성 = 23 1. 서울시 교육환경의 분포 = 23 2. 보습학원의 공간적 분포 패턴 = 30 B. 통계기법에 의한 보습학원 입지요인 분석 = 34 Ⅴ. 강남구와 노원구 보습학원의 분포 패턴과 입지특성 = 37 A. 조사개요 = 37 B. 강남구와 노원구의 교육환경 = 38 1. 강남구의 교육환경 = 38 2. 노원구의 교육환경 = 44 C. 보습학원의 공간적 분포 특성 = 47 1. 강남구의 보습학원 분포 특성 = 47 2. 노원구의 보습학원 분포 특성 = 50 D. 공급자 측면에서의 보습학원 입지요인 분석 = 53 1. 보습학원의 일반적 특성 = 53 2. 보습학원의 입지 선호요인 비교 분석 = 55 E. 수요자 측면에서의 보습학원 선택행태 분석 = 57 1. 학생들의 학원수강 행태 분석 = 57 2. 보습학원 선택요인 비교 분석 = 61 Ⅵ. 사례연구 : 강남구 대치동의 보습학원 집적현상 분석 = 63 A. 대치동 보습학원 집적 지역의 특성 = 64 B. 강남구 및 대치동의 보습학원 집적요인 분석 = 67 Ⅶ. 요약 및 결론 = 71 참고문헌 = 73 부록 = 78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467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보습학원-
dc.subject공간분포-
dc.subject입지특성-
dc.subject사회생활-
dc.title보습학원의 공간분포와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 강남구와 노원구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