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숙진-
dc.creator이숙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3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312-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노동자계급여성의 여성해방의식을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하여 전통적 여성의식, 계급의식과의 관련하에 살펴보고자 했다. 선행연구의 부족과 의식연구가 지니는 일반적인 난제들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되지 않는 노동자계급여성들의 의식연구가 노동운동과 관련한 노동자의식, 계급의식적 측면이 주 연구대상이 되어왔던 점을 주목하여 여성으로서의 경험과 생활세계에 대한 의식을 집중연구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근본적으로 제기하고자 하는 것은 계급의식과 여성해방의식의 관계로 노동자계급여성이 계급의식을 획득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여성해방의식의 성장을 가져오는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은 집단행동을 통하여 계급적 정체감을 획득한 노동자계급의 여성임노동자(취업)와 노동자부인(비취업)을 중심으로 그들의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가 형성하는 여성해방의식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방법은 심층인터뷰를 통한 사례연구로서 모두 3개 작업장의 노동자부인 12사례, 여성임노동자 10사례로 총22사례가 분석되었다.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는 여성 가정이라는 일차적 규정, 가사노동, 자녀양육노동, 부부관계(독립성과 주체성을 중심으로), 사회적 활동, 사회적 성차별 그리고 여성다움에 대한 문화적 규정등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는 노동자계급여성들의 존재조건과 의식화작업에 따라 변화되어졌다. 즉 존재조건이 전통적인 여성의식을 변화시키는데 보다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있는가 하면 반드시 의식의 개혁을 목적으로한 구체적 작업이 매개되어야 변화되는 부분이 있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이 두요소가 통합, 병행되어야 전통적인 여성의식은 여성해방의식으로 나아감을 확인하였다. 노동자계급여성의 여성해방의식 획득을 전통적 여성의식, 계급의식과 관련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해방의식은 노동자로서의 정체감 형성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획득되어지기 보다 여성으로서 구체적인 현실속에서 겪는 생활세계에 대한 경험과 이해의 자각에 대한 의식적인 노력이 매개되어야 비로소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계급의식 획득 그 자체가 여성해방의식의 획득을 결과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계급적 정체감을 획득한 노동자계급 여성이 여성해방의식이나 진보적인 여성의식을 갖기까지에는 현 사회구조에서 여성이 받는 차별과 억압에 대한 의식화작업이 이뤄지고 여성들과 밀접한 이해를 가진 구체적인 여성문제를 가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기존 논의와는 달리 노동자가족부인에게 내면화된 전통적인 여성의식은 노동자계급의 집단행동을 강화시키는 요소로도 작용하여 계급적 자각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여성의식과 집단행동과의 일면적인 이해는 다시 고려되어야 할 문제이다. 한편 계급적 자각은 전통적인 여성의식의 일부분을 변화시키지만 그 영향이나 한계는 뚜렷해서 여성해방의식으로까지 귀결되지는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부인조직의 독자적인 유지와 여성문제에 대한 의식화작업이 병행되어야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해방의식의 내용과 독자성을 밝히려는 이론적 함의와 노동현장에서 여성해방주의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요구된다고 하는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This study explores the ways by which the feminist consciousness of working class women is develop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inist consciousness, the traditional female consciousness, and the class consciousness of working class women in Korea.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their attitude towards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both public and private spheres. Most existing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inist consciousness and class consciousness focus on the sphere of production--that is, the means by which the consciousness of women worker is developed within the the workplace. However, the consciousness of workers is shaped not only within the workplace, but also beyond. With this in mind, I examine the influence which life and experience in a wider society has on the formation of the working class women's consciousness My primary argument in this thesis is that, unlike the arguments of existing studies, the feminist consciousness of working class women does not stem directly from their class consciousness. This argument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wo grow of working class women : female production workers and wives of male production workers. All of the interviwee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llective actions and have waged militant labor disputes. I examine the levels of the feminist consciousness of working class women by looking at their attitudes toward several aspects of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 I examine their attitudes toward the primary role of women within family, toward sexual division in child rearing labor, toward conjugal relations <focusing on the independency and subjectivity of women>, toward women's social activities, toward sexual discrimination in a wider society, and toward feminity. The major findings of the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of the feminist consciousness does not automatically stem from class identity or class consciousness. Effort to raise the feminist consciousness forts is a critical factor in its formation in working class women. Secondly, the traditional female consciousness of working class women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class identity. Therefore, the unitary and static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female consciousness and class consciousness needs to be reexami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6 Ⅱ. 이론적 배경 = 9 A. 개념의 문제 = 9 1. 이데올로기와 의식 = 10 2. 여성의식의 분류와 여성해방의식 = 13 3. 계급의식 = 19 B. 계급의식과 여성해방의식의 관계 = 22 1. 여성(임)노동자의 의식 = 25 2. 노동자가족부인(전업주부)의 의식 = 31 Ⅲ. 사례연구 = 35 A. 연구대상 = 35 1.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 = 35 2. 연구대상의 특성 = 43 가. A 사 = 43 나. S 사 = 46 다. H 사 = 49 B. 분석 :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 = 50 1. 여성/가정에 대한 일차적 규정 = 51 2. 일상적 노동력재생산 노동 -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 65 3. 세대적 노동력재생산노동-자녀양육노동을 중심으로 = 76 4. 부부관계-독립성과 주체성을 중심으로 = 89 5. 사회적 활동 = 97 6. 사회적 차별 = 111 7. 여성다움에 대한 문화적 규정 = 120 C. 소결 : 존재조건과 의식화작업 = 124 Ⅳ. 요약 및 결론 = 127 참고문헌 = 131 Abstract =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19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노동자계급여성-
dc.subject여성해방의식-
dc.subjectFeminist Consciousness-
dc.subjectWorking Class Women-
dc.title노동자계급여성의 여성해방의식 획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Feminist Consciousness of Working Class Wome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