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석주-
dc.creator윤석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9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앎 측면에서 이론과 실제가 괴리되는 경우를 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이론이 실재에 구현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앎이 요구되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연구 문제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제시된다. 첫째, 지식의 증거 조건에서 이론과 실제가 괴리되는 경우를 분석하고, 그에 대비되는 '살아 있는 지식'으로서 교사의 앎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 지식의 신념 조건에서 이론과 실제가 괴리되는 경우를 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살아있는 지식'이 어떤 앎인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식의 활용 능력 측면에서 이론과 실제가 괴리되는 경우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교사가 이론을 실제에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앎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론과 실제가 괴리되는 상황과 이론이 실제에 구현되는 과정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그 사례들을 함께 논의하였다. 교사의 앎과 관련된 이론과 실제의 괴리 문제를 지식의 증거조건, 신념조건, 활용능력의 세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우선 교사가 이론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고 단편적으로 알고 있을 때 이론은 실제에 구현되지 못한다. 교사가 이론을 실제에 구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론의 근거를 이해하고 사고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교육적 안목이 필요하며 이는 교사가 실제 교육 상황에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둘째, 이론이 실재에 구현되지 못하는 것은 교사가 이론이 지향하는 가치를 내면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교사가 특정 교육이론이 지향하는 교육적 가치에 대해 동의했다 하더라도, 단순한 동의만으로 가치가 내면화되는 것은 아니다. 교사가 이론을 실제에 구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갈등을 부단히 경험하면서 가치를 내면화해야 한다. 이 때 자신의 이해(利害)가 아니라 합리성에 따르겠다는 진리에의 열정은 교사로 하여금 가치를 내면화하게 만드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며, 교사는 절감으로서의 경험을 통해 가치를 내면화한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아무리 이론을 올바로 이해하고 내면화했더라도, 실제 교육 상황을 올바로 파악하고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이 없다면 이론은 실제에 구현될 수 없다. 예를 들어 교사가 아동존중사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내면화했더라도 실제 구체적인 교육 상황에서 학습자의 욕구나 수준을 파악하지 못한다면, 학습자를 제대로 존중해주기 어렵다. 이론을 실제에 구현하기 위해서 교사는 직접 가르쳐 보면서 시행착오를 통해 교육 상황을 파악하는 능력과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론과 실제가 괴리될 때 그 원인 중의 하나가 이론에 대한 자신의 앎의 불충분함에 있다는 것을 교사가 안다면, 교사는 이론과 실제의 괴리가 일어날 때 쉽게 이론의 유용성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론을 실제에 구현할 수 있는 교사의 앎의 상태에 대할 규명은 직전교육자 현직교육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론과 실제의 괴리'는 우리 삶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은유적 표현이다. 이 논문에서는 교사가 교육행위를 하는 데에 있어서 이론이 어떻게 실제에 구현될 수 있는가 하는 관점에서 이 은유의 의미를 살펴봤지만, 이론과 실제의 괴리 상황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살아있는 지식'으로서의 앎에 대한 논의는 비단 교육 영역 뿐 아니라, 앎과 실천에 관한 문제라면 모든 영역으로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다.;It is so common that teachers complain that there are gaps theory between practice and that theory is useless for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why there ar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eaching and how teacher can translate theory into practice in regard of teacher's knowledge.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First, in regard of the evidence condition of propositional knowledge, why did there happen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how can teacher put theory into practice in their teaching? Second, in regard of belief condition of propositional knowledge, why did there happen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how can teacher put theory into practice in their teaching? Third, in using ability of propositional knowledge, why did there happen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how can teacher put theory into practice in their teaching? 12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order to see why teachers think there ar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heir teachingand how teachers put theory into practice. In regard of the evidence condition, belief condition, using ability of propositional knowledge, I examine why there are the theory - practice gaps in teaching and how teachers put theory into practice. First, in the reg& of the evidence condition of propositional knowledge, there are the theory - practice gaps because of teacher's fragmented knowledge of theory. To put theory into practice, teacher needs the mental ability of thinking and cognitive perspective in education. Second, in the regard of the belief condition of propositional knowledge, teachers can't make theory a reality in their education because they don't internalize virtue in theory. To internalize virtue, teacher treats matters of choice and conflict with the passion for truth. Third, in the regard of using ability of propositional knowledge, teacher can correctly judge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in present education and know how to adapt her/himself to educational circumstances in oder to put theory into practice. Through trial and error in teaching, teacher can develop correct judgement and flexibility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why theory-practice gaps happen in regard of teacher's knowledge arid how teacher translates theory into practice. There ar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eaching, teacher tends to consider theory to be useless for teaching practice. If teacher realizes that the cause of gaps is due to their knowledge, s/he wouldn't jump to conclusions there are gaps theory between practice and theory is useless fur practice. Also teacher understands how theory is translated into practice, s h e could make themselves as teacher more effectively in putting theory into practic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form the role of theory and how to educate and support, teachers in preservice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The theory-practice gap is a common metaphor in every day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metaphor in regard of teacher's knowledge.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xtended to another kinds of knowledge beyond teacher's knowled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제1장 서론 = 1 1.1 문제 제기 = 1 1.2 '이론과 실제의 괴리'와 '이론'의 의미 = 2 1.2.1 이론과 실제의 괴리 사태에 있어서 인식주체의 앎 = 2 1.2.2 인식주체의 앎과 관련된 이론과 실제의 괴리 분석 틀 = 7 1.2.3 이론의 의미 규정 = 9 1.3 연구 문제 = 11 1.4 연구 방법 = 11 제2장 지식의 증거조건에서 살펴본 이론과 실제의 괴리 문제 = 14 2.1 단편적 지식 때문에 발생하는 이론과 실제의 괴리 = 14 2.2 '살아있는 지식'으로서 실천 행위 중의 반성적 사고 = 19 2.2.1 사고력과 안목 = 19 2.2.2 실천 행위 중의 반성적 사고 = 24 2.2.3 연구자로서의 교사 = 27 제3장 지식의 신념조건에서 살펴본 이론과 실제의 괴리 문제 = 29 3.1 가치가 내면화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이론과 실제의 괴리 = 29 3.2 '살아있는 지식'으로서 가치 내면화 = 31 3.2.1 가치 내면화의 원동력으로서 진리에의 열정 = 31 3.2.2 절감(切感)을 통한 가치의 내면화 = 36 3.2.3 구도자로서의 교사 = 41 제4장 지식의 활용 능력에서 살펴본 이론과 실제의 괴리 문제 = 46 4.1 교육 경험이 없어서 발생하는 이론과 실제와 괴리 = 46 4.2 '살아있는 지식'으로서 실천적 지식 = 49 4.2.1 교육 상황을 올바로 파악하는 능력 = 51 4.2.2 상촹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 = 56 4.2.3 예술가로서의 교사 = 58 제5장 결론 = 63 5.1 요약 및 논의 = 63 5.2 의의 및 한계 = 65 참고문헌 = 67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544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사-
dc.subject괴리-
dc.subject이론-
dc.subject실제-
dc.title교사의 앎 측면에서 살펴본 이론과 실제의 괴리 문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eacher's Knowledge-
dc.format.pageiv,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