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1 Download: 0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Title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Other Titles
Validation of Teacher Efficacy Scale
Authors
김미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교사효능감척도심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alidate an teacher efficacy scale for all grade leve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the previous study of Hyun-Jung Lee(1998), three subcomponents of teacher efficacy construct were identified, i e.,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task difficulty preference In the previous study of Lee(1998), the total items of teacher efficacy are thirty six, which is composed of three subscales and five job-related areas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re conducted for data obtained from Lee(1998)'s and Park(1999)'s thesis, based on the preliminary scale of Lee(1998) From these data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items are corrected and added and consequently, forty items of teacher efficacy is constructed. The main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responses in 58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se data were analyzed by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eacher efficacy scales were diminished to be twenty-five, self-confidence 7 items, self-regulatory 11 items, task difficulty preference 7 item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ree subscales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were also subsubstantially high, ranging from 74 ~ 81 To examin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ollective efficacy scores and teacher efficacy scores were computed. The results lend an evidence that the teacher efficacy scale can be used as a valid instrument.;본 연구는 교사들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이현정(1998)의 교사효능감 예비 척도를 타당화하고, 초등학교 뿐 만 아니라 중·고등학교 교사들에게도 일반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사효능감 척도들은 외국의 척도를 그대로 번역해 사용하거나, 혹은 척도의 양호도가 검증되지 않은 척도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전국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척도를 타당화하려고 한다. 교사효능감의 밑바탕이 되는 전반적인 자기효능감 이론 및 일반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국내외 교사효능감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교사효능감의 이론적 배경 및 척도 개발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현정(1998)의 예비연구에 근거하여 교사효능감의 하위 세 구성요인(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과 5개의 직무영역(교과지도, 생활지도, 특별활동지도, 행정업무, 대인관계)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제작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총 25문항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이에 재한 재검사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척도의 타당성검증을 위해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본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적 교사효능감과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집단적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Goddard덫 Hoy, & Hoy(2000)의 Collective Teacher Efficacy Scale(CES) 중 집단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e) 13문항을 전문가와의 합의하에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의 총 6개 도에 재직중인 현직 남·녀, 초·중·고등 교사 58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검사에서는 1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현정(1998)과 박관성(1990)의 예비자료를 내용과 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에 대한 제거와 추가 작업이 이루어졌고, 집단적 교사효능감 척도의 번안이 병행되었다. 이 과정을 거친 후, 교사효능감 총 40문항(자신감 12문항, 자기조절효능감 18문항, 과제난 이도 선호 10문항), 집단적 교사효능감 12문항의 교사효능감 본검사 척도가 완성되었다. 수정된 본검사 교사효능감 척도의 하위척도들에 대한 내적합치도 산출한 결과, 자신감은 73, 자기조절효능감은 88, 과제난이도선호는 80,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81로 양호함을 보여주었다. 2 본 검사 자료의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최종적으로 교사효능감 척도에 포함된 문항은 총 25문항(자신감 7문항, 자기조절 효능감 11문항, 과제난이도 선호 7문항)이었고,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10문항이었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내적합치도가 자신감이 74, 자기조절효능감이 85, 과제난이도 선호가 .77, 집단적 교사 효능감이 81로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또한 요인별 문항-총점 간 상관에서 30미만을 보이는 문항도 없었다. 3 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검사 실시 대상에 포함되었던 초등, 중, 고등학교의 교사들 중 156명을 대상으로 재검사를 실시한 결과, 각 척도에서 재검사 신뢰도는 자기조절효능감 81, 자신감 67, 과제난이도 .76, 집단적 교사효능감 74로 양호하게 나타나 본 검사가 시간적으로도 안정되게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교사들의 효능감을 측정 할 수 있는 교사효능감 척도의 요인구조 모형이 일반화 될 수 있는 모형인지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부합도 지수들이 양호하여 각각의 척도들은 그들이 재려는 구성개념을 제대로 측정하는 척도임이 판명되었다. 5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적 교사효능감과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효능감 척도와는 r = 17(p < 05)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인지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자기 조절효능감과는 r = A1(p < 05)의 상관을 보여,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내용이 인지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것을 비추어 볼 때 타당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교사효능감 척도는 실제 학교상황에서의 일반적 수행이나 상황 뿐 아니라 특정 과목 혹은 상황에 대한 행동에 있어서의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유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즉, 교사들의 개인차를 알 수 있는 교사효능감 척도는 동기를 측정하기 때문에 교사 개인에 대한 이해에 유용한 측정도구라고 생각된다. 또한 모든 학교급과 지역을 총망라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범위가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사효능감의 측정은 교사효능감 수준이 낮은 교사들에게 교사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참가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교사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시행을 통하여 실질적인 증진이 있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