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은희-
dc.creator권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3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47-
dc.description.abstract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is ongoing process. It may possibly accomplish throughout the whole life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In addition, an ultimate aim of the rehabilitation is returning and adaptation to society. In this way, it is hardly to expect a satisfied results of the rehabilitation without firm motive and family care. Therefore social work about intervention for psycho-social problems of stroke patients is very necessary and important in order to reinforce the rehabilitation motiv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rehabilitation motive level of stroke patients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rehabilitation motive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and to examin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factors(self-esteem, a degree of depression, ADL), family support factors and rehabilitation motive. For the purpos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questions. 1. To examine the level of rehabilitation motive of stroke patients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rehabilitation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2. To find out the level of individual factors(self-esteem, a degree of depression, ADL) and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factors and the differences of those fa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3.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factors(self-esteem, a degree of depression, ADL) and family support factors. 4. To find out predictive factor to explain the rehabilitation motive of stroke patients under the control of demographic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1 stroke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general hospital, special hospital for elderly and senior welfare centre in the area of Seoul, Kyung-gi and Cheon-buk. To test research questions, self esteem scale invented by Walter W. Hudson, Self-rating depression invented by Zung, Modified Bathel Index scale, family support scale invented by Park Ji-won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 10.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1. The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test 1) The rehabilitation motive level of stroke patients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rehabilitation motive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In the case of rehabilitation motive level of the subject, the mean was 15.7723 point in a low level.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rehabilitation motive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income and a period of the first diagnosis. 2) The level of individual factor and a degree of family support factors and the differences of those fa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 level of self-esteem showed lower level as 2.91 than 3 point in the mean and a period of the first diagnosis was the only factor in demographic factors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rehabilitation motive. Also, the level of ADL was 29.5375 point which meant independent state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 period of the first diagnosis. The level of depression was in normal depressio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n income. In addition,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showed the middle as 3.7723 point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 evaluative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3) Overall analysis results of rehabilitation motive When carrying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individual factors and rehabilitation motive,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steem, a degree of depression variable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dependent variable except ADL.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family support factors and motiv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of family support variable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dependent variable. In the detail factors of family support, all variabl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rehabilitation motive.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habilitation motive are as follows. Self-esteem, ADL among individual factors, the evaluative support among family support factors, an income and a period of the first diagnosis were accepted as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explaining the rehabilitation motive. 2. Implication in social work practice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rehabilitation motive is strong. In the absence of previous studies about rehabilitation motive and self esteem, tho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actical direction of social work diagnosis and intervention to stroke patients is focused on self-esteem. Second, this study contributes to variety about rehabilitation motive related programs as dividing variables influencing on rehabilitation motive of stroke patients into individual factors and family support factors. Especially, throughout finding out the importance of evaluative support, this study offered the concrete foundations to the necessity of special programs related evaluative support. Third, a period of the first diagnosis among demographic factors was a significant factor which influenced on rehabilitation motive. Therefore, a different psychosocial service should be offered according to duration period of disease. Forth, i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the rehabilitation motive was different according to an income. It means that there must be economical burdens in a long progress of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Therefore, a systematic policy should be made for economical provision to stroke patients.;뇌졸중은 한국인 주요 사망원인 중 암 다음으로 인구 10만명 당 73.2명이라는 높은 사망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뇌졸중으로 사망하지 않더라도 편마비, 언어 장애 등의 후유증을 보이는 만성 퇴행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초기부터 재활치료를 받은 경우 일상적인 생활과 사회에 복귀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재활의 궁극적인 목적이 사회로의 복귀와 적응이기 때문에 어쩌면 일생을 걸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렇듯 장기간의 요하는 재활치료의 특성상 환자의 의지와 가족의 보살핌 없이는 만족할 만한 재활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은 환자 스스로 움직이고자 노력하며 독립적인 생활을 위해 적극적으로 치료과정에 참여하는 확고한 재활동기를 가지느냐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러한 동기를 위하여 가족 구성원이 용기를 북돋워 줄 수 있도록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재활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인인 재활동기를 강화하기 위하여 뇌졸중 환자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개입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의 수준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 관련 요인(자아 존중감, 우울정도, 일상생활동작)및 가족 지지(정서적, 물질적. 평가적, 정보적지지) 각각과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 후 재활동기에 잘 설명할 수 있는 예측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의료사회 복지적 실천에 유용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수준을 파악하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재활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2) 개인 요인(자아존중감, 우울정도, 일상생활동작)의 수준과 가족지지 정도를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개인 및 가족지지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3) 개인 요인(자아존중감, 우울정도, 일상생활동작)과 가족지지요인(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리적지지. 평가적지지) 각각과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해본다. 4)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개인 요인 및 가족지진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인지 알아본다. 본 연구의 조사는 서울 및 경기, 전북 지역의 종합병원 및 고급 전문병원, 노인 종합복지관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1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Walter W. Hudson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 Zung의 우울 척도 일상생활동작 척도, 박지원이 개발한 가족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자료는 SPSS/PC+10.0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단순적률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연구 대상자 중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연령은 60대가 가장 많았고 최초진단시기는 1-2년 전 입원횟수는 1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결혼상태는 결혼이 가장 높았으며 학력의 경우 고졸과 중졸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종교는 기독교가 가장 많았고 직업의 분포는 다양하였으나 무직과 주부가 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수입은 5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재활동기 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재활동기 본 연구 대상자의 재활동기를 살펴보았을 패 평균점수 l5.7723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인구사회학적요인에 따른 재활동기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대상자의 수입과 최초진단시기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나. 독립변수와 재활동기와의 관계 개인 요인(자아존중간 우울정도 일상생활동작)과 재활동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일상생활동작을 제외하고 자아존중간 우울정도 각각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가족지지 요인과 재활동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가족지지와 재활동기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가족지지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각각과 재활동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3. 연구 대상자의 개인 요인의 수준과 가족지지 정도 및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측정요인의 차이 가. 개인 요인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차이 연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으며 최초진단시기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성별, 연령, 입원횟수, 학력, 종교. 학력, 가족 수입은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우울정도는 정상적 우울정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과 가족 수입이 우울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대상자의 일상생활동작은 독립적인 일상생활 능력이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최초진단시기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성별 연령, 결혼상태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나. 가족지지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차이 연구 대상자의 전체 가족지지는 평균 3.7768점으로 중간정도를 나타냈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가족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구체적인 하위 영역의 중, 정서적지지는 평균 3.7723점으로 기준의 3점보다 약간 높은 정도를 나타냈으며 전체 가족지지 정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정서적 지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정보적지지는 평균 3.5663점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가족지지와 정서적지지보다 약간 낮은 정도를 보이고 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정보적지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물질적지지의 평균은 4.0119점으로 전체 가족지지와 정서적지지 및 정보적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정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학력에 따른 물질적지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평가적지지는 평균 3.7723점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학력이 평가적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4. 재활동기를 설명하는 예측요인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를 설명하는 예측요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 요인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일상생활동작이, 가족지지요인에서는 평가적지지가 통제변수에서는 수입과 최초진단시기가 재활동기를 설명하는데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 대상자인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고 최초진단시기가 빠를수록, 일상생활동작이 독립적일수록 또한 가족의 평가적지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의 수입이 많을수록 재활동기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들이 갖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를 살펴본 선행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는 재활의료사회복지사의 뇌졸중 환자의 문제 사정 및 개입의 방향성이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영향력 있는 요인을 개인 요인 뿐 아니라 가족지지요인으로 나누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향상을 위한 가족 대상의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환자 가족의 평가적지지의 중요성을 밝혀내어 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최초진단시기가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병기간에 따라 재활동기가 다르며 이에 맞추어 심리사회적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 연구 대상자의 수입에 따른 재활동기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즉 뇌졸중 환자의 재활은 장기간을 요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감이 있으므로 뇌졸중 환자의 치료비 지원을 위한 경제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질문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 6 B.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 1. 개인 관련 요인 = 10 2. 가족지지 요인 = 16 C.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재활의료사회복지 = 18 D. 연구모형 및 연구질문 = 21 1. 연구모형 = 21 2. 연구질문 = 22 Ⅲ. 연구방법 = 23 A. 조사대상 및 자료 수집 = 23 B. 측정도구 = 24 1. 개인 관련 요인 = 24 2. 가족지지 = 26 3. 재활동기 = 26 C. 자료분석 방법 = 27 Ⅳ. 연구결과 = 28 A.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8 B. 연구질문 검증 = 30 Ⅴ. 결론 및 제언 = 59 A. 연구결과 = 59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59 2. 재활동기 = 60 3. 연구 대상자의 개인 요인 (자아존중감, 우울정도, 일상생활동작) 의 수준과 가족지지 정도 및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측정요인의 차이 = 61 B. 실천적 함의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69 설문지 = 76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357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뇌졸중 환자-
dc.subject재활동기-
dc.subject개인-
dc.subject가족지지-
dc.title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개인 및 가족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motive of stroke patients : Focused on individual and family support factors-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