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6 Download: 0

공공도서관에서의 향토/지역자료 운영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에서의 향토/지역자료 운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Local/Community In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Authors
이진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공공도서관향토자료지역자료운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ocal/Community materials are all of the materials that are related to a certain region and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cope of region i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scope of materials are various according to period, class, and type. Therefore the systematic maintaining and service of local/community materials may be the first step for public libraries to be one of the local cultural organizations. The study is for the survey and analysis on the management and service of local/community materials as well as th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local/community materials room. Then it is presented the ways of improvement for the problems. The results of survey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re is no professional department with professional staff for the local/community materials, the service of the local/community materials cannot be provided appropriately. Second,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budget, there is the limitation of the acquisition of high-priced local/community materials. In addition, gift and deposit copy of materials are not so brisk. Third, since it is important for many of the local/community libraries to preserve and mange the local/community materials carefully, most of the local libraries restrict the lending of them. Although the materials should be served for the public in reading room or through the internet, these services are not activated yet.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for web service is just developing now. Fourth, there is little systematic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program which is connected with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highly use local/community materials. According to these problems in korean libraries, the ways of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staffs are needed for local/community materials, which consists of one subject specialist, one web master, and one archivist. Advisory committee is composed of local/community historian, local/community bibliologist, local researcher, local user representative, school of related subject, local councilman, and special archivist. They may counsel all about the acquisition, management and service of materials. Second, the curriculum support program can be produced by six steps- making draft, collecting and editing the related materials, producing a temporary program, giving a trial performance by relating subject teacher, reflecting the feedback, and finally formulating the final plan. Third, for securing an ample budget, the service of local/community materials can be charged. In service, the copy of microform, the photocopy of the materials, the annotation of archaic texts and the support for research of local research organizations may be includ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database for developing materials. The database could be made through the course of plan, analysis, design, completion, and public relation. Expecially, when it is planned, all of subject specialist, web master and archivist should take part in for selecting the materials according to the efficiency and possibility as the web database.;향토/지역자료는 지역 특징을 반영한 자료로서, 특정지역과 관련 있는 모든 자료를 광범위하게 지칭하며, 이때 지역의 범위는 해당 도서관이 소재한 행정구역을 단위로 한다. 향토/지역자료의 종류는 시기별·종류별·형태별로 다양하여, 체계적인 향토/지역자료의 관리와 봉사가 필요하다. 지역문화 기관 중 공공성과 접근성에서 볼 때 공공 도서관이 향토/지역자료 봉사의 적임기관이며, 한때 특성화 사업으로 향토/지역자료를 특화한 도서관에서는 향토/지역자료실을 운영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이를 통·폐합하는 도서관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토/지역자료 운영에 대한 설문조사에 응답한 전국 공공도서관 64개관을 대상으로 향토/지역자료실의 조직 및 운영, 자료의 수집, 정리, 봉사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토/지역자료에 관련된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있는 도서관은 거의 없으며, 전문 인력이 배치된 도서관도 5개관(7.8%)에 그쳐 향토/지역자료에 대한 업무 추진자 운영이 적극적이지 못하다. 둘째, 향토/지역 자료 구입 예산이 부족하며, 국비지원 이외의 방법으로 예산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고가의 가치 있는 향토/지역자료의 구입과 행사개최 등 운영에 한계가 있다. 셋째, 자료의 수집면에서, 전체 응답 도서관 64개관 중 도서자료 1,000종 이상을 소장한 도서관이 32개관(56.1%)이고, 비도서자료를 소장한 도서관은 전체 64개관 중 21개관(32.8%)에 불과하다. 넷째, 자료의 봉사 측면에서는 향토/지역자료 특성상 특별한 보존과 관리가 중시되는 자료가 많기 때문에 제한적인 관외대출과 웹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관외대출의 경우, 응답 도서관 64개관 중 16개관(21.6%)에서 실시하며 제한적으로 일부 자료를 대출해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정보저공이 향토/지역자료의 봉사에 있어 중요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웹을 통하여 향토/지역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는 도서관은 24개관(37.5%)에 불과하다. 다섯째, 향토/지역자료의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향토/지역 관련 교과과정 연계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도서관은 단지 6개과(9.4%)에 그치고 있다. 국내 공공도서관 현황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토/지역자료에 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으로 운영되는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향토/지역사학가, 초·중·고 향토/지역자료 관련과목 담당교사 등으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수집·봉사·운영까지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자문을 받도록 한다. 둘째, 지역의 역사적 특성을 반영한 향토/지역 특화 자료를 개발한다. 먼저 지역의 역사적 특징을 파악하여 특화할 주재분야를 결정하고, 특화 자료의 주제·형태별 수집 범위와 자료 개발 범위, 그리고 앞으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서비스할 내용까지 미리 계획하도록 한다. 셋째, 초·중·고등학생 이용자들을 위한 향토/지역자료 교과과정 연계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은 담당 부서 직원과 관련교과 학년교사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반영하여 제작할 수 있다. 넷째, 지방제정, 국고보조금 확보, 기부금 확보, 도서관의 진흥기금 확보, 유료서비스 도입의 방법으로 예산을 확보한다. 고문헌 등의 원본 해제 지원, 지역연구기관 및 단체의 연구 활동 지원 등에 대한 유료서비스 실시를 고려하고, 향토/지역자료 도서관 협력 체계의 구축, 이를 통하여 지원금을 지급받아 공동으로 자료를 생산, 제공하도록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