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李相和 詩의 時間·空間 硏究

Title
李相和 詩의 時間·空間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ime and Space in Lee Sang Hwa's Poetry
Authors
李善和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이상화시간공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詩 분석에 있어 자아와 대상과의 대립으로 인한 갈등이 이상화의 상상력 속에서 어떻게 해소되고 있는가를 시간과 공간의 의식구조로 밝히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Ⅱ장에서는 '저녁→밤→새벽'의 객관적 시간의 이행 속에 이상화의 특수한 시간경험을 결부시킴으로서 수평적 시간구조에서 수직적 초월의 시간으로의 회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시간의 지속은 '가을'을 '病的 계절'이라는 죽음의 시간으로 인식하게 한다. 그러나 밤의 부정적 어둠을 정화시키기 위해 시적 화자는 '달'과 '별'에의 몽상을 갖는다. 이는 시간이 공간화된 시적 대상이다. 한편, 의식의 反轉은 유년시절의 '美術館'을 기억하게 하고 이는 '무덤'의 시어와 연결되어 모태로서의 원형적 상징을 갖는다. 또한 '바다'와 '무덤'에의 동경은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 모태로 되돌아가고 싶은 무의식적 충동이다. 시간에 대한 이상화의 의식은 무시간적 자아를 구체화시키는 '돌'로의 지향을 나타내며 '돌'은 '영원'이 사물화된 시간이다. Ⅲ장에서는 '안락함'을 추구하는 이상화의 의식이 외부의 남성공간을 지양하고 내부의 여성공간을 지향함을 밝혔다. 上方性의 '하늘'은 물의 심상에 의해 大地로 轉倒되고 '해'는 낙하의 상상력에 의해 추락하며 또한 천상의 존재를 거부하고 '한우님'을 비웃을 '참자유'가 있는 '바다'를 동경한다. 이러한 추락의 경험은 '살찐 젖가슴', '부드러운 흙'등 '들'을 표상하는 여성적 이미지에 의해 '들'이 '어머니'를 상징하는 母性공간임을 밝혀준다. 이때 어머니를 찾는 '아해'의 방황은 '모성적인 물'인 '젖'을 갈망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여성공간으로의 이동은 '마돈나'를 통해 남성공간인 '목거지'로부터 여성공간인 '寢室'로의 수평적 응축구조를 갖는다. '寢室'의 공간은 이상화의 상상력에 의해 '동굴'과 '바다`의 공간으로 이동되며 이는 內的 安住의 공간으로서 '모태 회귀'를 뜻하는 원형 상징이다. 그러므로 이상화의 시세계는 시간적으로는 수직적 초월의 시간을 공간적으로는 모성상징의 원형 공간을 추구한다.;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the conflict between the self and the object is solved in the Lee Sang Hwa's imagin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n the consciousness structure of time and space. In chapter II, investigating the objective time process of'evening - night - dawn' in connecting with the privately experienced time of Lee Sang Hwa, the poet's time consciousness to recur to eternal time freed from the horizontal time structure is found. In duration of time 'autumn' is conceived as a' deseased season', time of death. But the poetic self tries to have a dream on the 'moon' the 'star' to purify the negative darkness of night. These are the poetic objects of spatialized time. And the reversal of consciousness recalls the remembrance on the 'gallery' in his childhood. The 'gallery' through being connected with the poetic world of 'grave', comes to have a meaning as an archetypal symbol of the mother's womb. The desire upon the 'sea' and 'grave' is an unconscious impulse to escape from the suffering of reality and to go back to the mother's womb. Lee Sang Hwa's consciousness on time pursues 'stone' as a poetic object to make concrete the timeless self. Here, 'stone' is the materialized time of 'eternity'. Chap. Ⅲ deals with the space consciousness of Lee Sang Hwa. Here, it is investigated that according to the poet's longing for 'comfortness', the outer manly space is denied and the inner female space is pursued. The 'sky' is reversaled by the image of water into the earth, and the 'sun' falls down by imagination of falling. And the poetic self denies the heavenly being and longs for the 'sea' in which there is the 'real freedom to sneer Hanwoonym'. Through these experiences on falling, it is revealed that' a field' expressed by the female images as 'the fat breast','soft soil' and so on means maternal space which symbols' mother'. Here wandering of 'Ahye (a child)' looking for mother is due to desire for 'mother's milk' as maternal water. Through this movement into the female space, the horizontally condensed structure is found, in which 'Madonna' moves from 'Mokgugie( 목거지 ), the male space to 'bedroom' female space. The space of 'bedroom' is moved by the imagination of Lee Sang Hwa into the space of 'cave' and 'sea'. This is the comfort inner space which means an archetypal symbol of 'return to mother's womb'. On conclusion, the poetic world of Lee Sang Hwa pursues temporally the vertical transcendental time, and spatially the archetypal space of mother's womb.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