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하영미-
dc.creator하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9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3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981-
dc.description.abstractIn the period of 14th century Ars Nova, in late Middle ag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composition technique, Isorhythm, the uniformity in the structure of Motet was intensified and it's importance was rerecognized. Though Isorhythmic style was already put into practice in 13th century, it was not until 14th century that it had influence on the scale and the rhythm of Motet. Motet which started as a form of religious music was indulged into secularization in late 13th century. Accordingly musicians preferred secular music to religious music. This tendency shows a typical character of 14th century music. In France it was Guillaume do Machaut (130?-1377) who played a leading part in New Art. While he served his life as a clergyman, he was distinguished himself as a poet as well as a musician. He was under the influence of both progressivism and conservatism. Therefore his works included almost all the forms which were in vogue those days. In this thesis, the author will analyze Machaut's 4 motets and explain the musical background, features, and techniques of Motet which was the most popular style in 14th century Polyphony. Unlike that of 13th century which used Polytextuality and Rhythmic Modes, Machaut's motet was characteristic in the use of new isorhythmic technique and in the introduction of double-time rhythm. Four motets (No. 4.5.8.9) freely chosen out of Machaut's 23 motets as works before 1350 belong all to isorhythmic motet. No. 4.8.9 are composed of 3 parts: the upper part is Triplum, the middle part Motetus and the lower part Tenor. On the other hand No.5 is composed of 4 parts: textless Contra-tenor part is added to below the Tenor part. Isorhythmic technique is made with the repetition of a rhythmic pattern called Talea and a melodic phrase called Color We can see this technique mainly in Tenor part. No. 4, however, is regarded as a motet in which Pan Isorhythm is used because all the three parts have Isorhythm. As a four-part motet, No.5 has Isorhythm in Tenor and Contra-tenor parts. In this cafe Rhythmic Paliondromes Phenomenon appears with the use of Stimmtausch. So No.5 proves to be a motet with a much more sophisticated rhythm. In No.4.5.8, except for the Tenor part adopting melodies borrowed form Gregorian Chant, Triplum and Motetus have secular French texts which are different in contents and length. No. 9. has Latin text including solo introduction in Triplum part Though there is much vacillation of tempo in Tiplum and Motetus parts which have melody line, 6/8 imperfect tempo is a main tempo through two divisions. Because of the fact that in 14th century there was not an authentic concept of Tonality, we cannot have the sense of perfect tonality. As a result we are not able to analyze Machaut's motets with the tools of tonality, but only with respective chord. In this case perfect triad and imperfect triad with three notes omitted are mainly used. Sometimes they (Machaut's motets) became more vague in tonality with the use of Church Mode and B^(b) Partial key Signature in Tenor part. There are two forms in cadence. One is the cadence in which two degrees go downward and up in Tenor part 7-8, 6-5, 2-1. The other is a perfect cadence where the neighboring tone goes downward by 5 degrees (Ⅴ-Ⅰ). In two cases a 3rd in final. triad is always ommitted. Triplum and Motetus pares, on the whole, contain melodic lines, in which several short motives are imitated, transformed and repeated as main elements. On this occassion when non-harmonic notes such as Passing tone, Neighboring tone and Appogiatura are much used and interval makes Conjunct motion not excessive leap. the melody is Melismatic, In these two parts, we can see a simillar range of note, freguent exchange of parts and a simillar kind of melodic line. Besides, in them G^(#), F^(#), C^(#), and B^b are used as Musica Ficta in order to avoid augmented triad and diminished triad. In addition to the new Isorhythmic technique, Machaut also used Hocket technique which devided parts by cutting melody short, Rhythmic Sequence and Syncopation in his motets. From the above facts we can see that it is characteristic of Machaut's motets to have move progressive harmony and rhythm produced by the use of Isorhythm. As a result. in to the middle Ages, as a radically changing Period which showed an aspect of a transitional period.;중세말기인 14세기 Ars Nova시기에 이르러 Motet는 Isorhythm이라는 새로운 작곡기법의 사용으로 인해 악곡구조의 통일성이 강화되었으며, 그 중요성이 재인식되었다. Isorhythm작법은 이미 13세기에 사용되었지만, 14세기에 와서는 Motet의 규모가 커지고, 리듬이 다양하고. 섬세해졌다. 종교음악형식으로 시작한 Motet는 13세기 말경에는 세속에 젖어버렸다. 따라서 작곡가들도 종교음악보다 세속적인 음악을 많이 쓰게 되었는데, 이같은 경향은 14세기의 한 특징이다. 프랑스에서 '새로운 예술'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 작곡가는 마쇼(Guillaume de Machaut:130? -1377)였다. 그는 생애를 성작자로 지냈는데, 음악가 뿐만 아니라 시인이기도 했다. 그의 작품에는 당시 유행하던 모든 형식이 포함되어 있으며, 진보적이면서도 보수적인 영향을 겸비한 작곡가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쇼의 Motet 4곡을 분석하여, 14세기 다성음악의 최고의 양식인 Motet의 음악적 배경과 특징, 기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쇼의 Motet는 다가사성 (Polytextuality)과 3박자에 기초한 Rhythmic Mode를 사용했던 13세기와는 달리 Isorhythm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사용했으며, 2박자 리듬의 도입이 특징적이다. 마쇼의 23곡의 Motet들 중에서 1350년 이전의 작품으로서 임의로 뽑은 4곡(No. 4, 5, 8, 9)은 모두 Isorhythm Motet이다. No. 4, 8, 9는 맨 윗성부인 Triplum, 가운데 성부인 Motetus, 그리고 아랫성부인 Tenor, 이렇게 3성부로 구성되는 반면, No. 5는 가사없는 Contra-tenor성부를 Tenor성부 아래에 첨가시켜 4성부로 구성된다. Isorhythm기법은 Talea라 부르는 리듬패턴과 Color라는 선율음정 패턴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로 Tenor성부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No. 4에서는 3성부 모두에서 Isorhythm기법이 사용된 즉, Panlsorhythm이 적용된 Motet로 본다. 또한 No. 5는 4성부의 곡이므로 Tenor성부와 Contra-tenor성부에서 Isorhythm이 사풍되었는데 이때 Rtlythmic Palindromes현상이 나타나 우리가 흔히 말하는 Stimmtausch (성부교환)가 사용됨으로써 더 한층 세련된 리듬을 사용한 Motet 임을 보여준다. No. 4, 5, 8은 라틴어로 된 그레고리성가에서 사용한 선율을 빌려온 Tenor성부를 제외한, Triplum과 Motetus 두성부는 세속적인 불어가사를 가지며, 서로 내용과 그 길이가 다르다. No. 9는 Triplum성부의 Solo서주를 포함하는 라틴어로된 곡이다. 박차는 3성부(4성부) 모두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선율선이 나타나는 Triplum과 Motetus, 두성부에서는 박자의 잦은 변화를 볼 수 있는데 주로 불완전박자인 6/8로 2분할이 쓰였다. 마쇼의 Motet가 쓰여진 14세기에는 아직 조성개념이 확립되지 않은 시기이므로 완전한 조성감을 느낄 수 없다. 결국, 하나의 조성으로 분석할 수 있고, 각각의 화음들로 분석한다. 이때 완전3화음과 3음이 생략된 불완전3화음이 주로 사용되었다. 때로는 중세교회선법의 사용과의 사용과 Tenor성부에서의 B^(b)부분조성기호(B^(b) Partial Key Signature)의 사용으로 더 한층 조성의 모호함을 느낄 수 있다. 종지형은 2가지 형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최종화음의 7음이 8음으로 해결하는 Triplum성부의 선율과 6도가 5도로 2도 하행하는 Motetus성부와 2도가 1도로 역시 2도 하행하는 Tenor성부의 선율인 7-8 6-5 2-1으로 나타난다. 다른 하나는 근음이 5도 하행하는 고전적인 완전종지형(V- I)이 싹트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두 경우에서 최종화음의 3음은 늘 생략된다. 선율선은 주로 Triplum과 Motetus성부에서 집약되며, 몇개의 짧은 동기가 주요요소로서 곡 전체를 통해 모방, 변형, 반복된다. 이때 경과음, 보조음, 전과음등 비화성음이 많이 사용되며, 음정의 도약이 심하지 않으며, 주로 순차진행을 하는데 선율은 Melisma적인 요소를 많이 지니고 있다. 위 두성부(Triplum과 Motetus)는 음역이 서로 비슷하여 성부교차가 가끔 나타나며, 선율선 또한 비슷한 유형을 볼 수 있다. 또한 증3화음과 감3화음을 피하기 위하여 Musica Ficta로 F^(#), G^(#), B^(#), C^(#)을 사용하였다. 마쇼의 Motet에서는 Isorhythm이라는 새로운 작곡기법이외에 선율을 짧게 끊어 성부를 분리시키는 Hocket기법, Rhythmic Seqtlence, 그리고 Syncopation의 사용 또한 특징이다. 이상 몇가지 사실로 마쇼의 Motet는 Isorhythm이라는 새로운 작곡기법의 사용으로 보다 발전된 음악내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France Ars Nova와 Machaut = 3 Ⅲ. Machaut 의 Motet에 대한 고찰 = 11 Ⅳ. Motet 4곡 분석 = 18 1. Puisque la douce rousee = 18 2. Qui plus aimme = 27 3. Ha/Fortune = 38 4. O livoris feritas = 46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7 부록 = 60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16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Guillaume-
dc.subjectMachaut-
dc.subjectMotet-
dc.subject기욤-
dc.titleGuillaume de Machaut의 Motet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F MACHAUT'S MOTET-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