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徐廷柱 詩의 時間性 硏究

Title
徐廷柱 詩의 時間性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F TIME IN SUH JUNG-JOO'S POETRY
Authors
卞海淑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서정주시간성국어국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puts emphasis on analyzing and systemizing individual works of Suh Jung-Joo on the basis of time in order to clarify the goal of consistent consciousness of his poetry which was shown through various poetic transfigurations. Time in literature is the most direct medium that induces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phase of floating and continuous experience such as 'succession,' 'flowing,' and 'change.' Since poetry, especially, formalizes the poet's subjective thinking through specific images, the phase of time is likely to be a more sensual and substantialized form. On the basis of this, in Chapter Ⅰ, I first disscussed the necessity and propriety of 'time research'.of Suh's poetry by studying the previous researches, Then I examined the element of time which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lyric as a special genre and phenomenal time concept in connection with images. In Chapter Ⅱ, I examined that the attitude of forgetting or reflection of the negative aspect of the present substituted for the aim of the character and time of the past. This can be explained by analyzing "POEM OF su DAE DONG" in which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It shows the new union of the self and the object by calling out 'the little girl' of childhood or a dead woman who is not living in the present with Suh's unique time consciousness which aims the future as a 'new revival of the past.' The consciousness of imprisionment and forgetfulness shown in early poetry is overcome through a new combination with the past object, and it is put in causal and cyclic time order in which things of nature are getting changed through the free association of the operation of images. In Chapter Ⅲ, I tried to examines that limited time of the human being is overcome by symbolism of the object or thing itself through the time system of 'flower' and 'plant' shown as 'diachronic sameness,' 'rebirth,' and 'reflection of continuous will' and that of 'crane' and "turtle' in which eternal life consciousness is reflected. As to the 'water' image, 'river' represents the flow of reversible time in which the past and the present coexists, and 'sea' is transformed into a dynamic time which recovers a new archetype of life through a repetitive inundation process. 'Well water' and 'pond water' represents that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ime and consciousness is implied in one object while standstill flowing is substantialized as 'stagnation' in 'depth.'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aspect that the 'time' itself compared to the sensual part of the human body or natural thing bv the time consciousness which is inherent in such a poetic object. Through this the correspondence of time and self apped t c . have a more specific and direct relationship. In this chapter, the concept of time is shown as the mome of identification of self object in which moment and eternit. still world and active world, trick and transcendence, auther I and mediocrity become integrated through sensualization of time. As explained above, the time dimension as a fundamental goal called 'eternity' is identified with there is of 'flowei 'plant' and 'woman,' and it is specified as a visible object which is endowed with bulk and mass, life and form. This is sham as a reflection of positive will which is intended to con trol and respond on purpose by materializing time itself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iscontinuity of time through primitive liveliness which is inherent in the object and cyclic regulation of nature.;本 論文은 다양한 시적 변모를 보여주는 徐 廷柱 詩의 의식의 지향점을 밝히기 위해, 時間性을 기초로 개별적인 작품요소들을 분석, 체계화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문학에서의 시간이란 '계기, 흐름, 변화' 등의 유동적인 시간경험을 통해 의식의 지속적인 흐름을 유도하는 가장 직접적인 매체가 되기 때문이다. 詩는 특히 시인의 주관적인 思惟를 구체적인 이미지를 통해 형상화시키므로 추상적인 경향이 있는 시간의 양상도 감각적이고 實體化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를 근거로 하여 Ⅰ章에서는 서 정주 시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검토를 통해 '時間性 硏究`에 대한 필요성과 타당성을 論하고, 抒情時의 쟝르적 특성과 연관되는 시간의 요소와 현상학적인 시간개념들을 이미지와의 관련체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Ⅱ章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가 긍정적인 유대감을 이루고 있는 중심詩<水帶洞詩>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부정적인 요소에 대한 망각이나 반성의 태도가 과거의 공간과 인물에 대한 지향으로 대치되고 있음을 살펴 보았다. 이는 '과거의 새로운 再現'으로서 미래를 지향하는 서 정주의 독특한 시간의식과 함께, 幼年時代의 '少女' 나 현재에는 살고 있지 않은 죽은 女性을 불러내어 자아와 대상이 새롭게 결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初期 詩에서 나타나는 '감금' 과 '망각'의 단절된 시간의식은 과거의 대상과 새롭게 결합됨으로써 극복되고, 보다 자유로운 이미지의 연상작용을 통해 자연의 사물이 변화되어가는 인과론적이고 순환적인 시간질서 속에 놓이게 된다. Ⅲ章에서는 '通時的 同一性', '再生', '지속적 의지의 투영'으로 나타나는 '꽃'과 '식물'의 시간체계와 永生的 생명의식이 투사된 '鶴'과 '거북'의 시간지향성을 통해, 제한된 인간의 시간이 대상이나 物 자체의 상징성에 의해 극복되는 양상을 살펴 보았다. 또한 '물'의 이미지에서 '江'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可逆的인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고, '바다'는 '반복적인 침수작용'을 통해 생명의 새로운 원형을 회복하는 역동적인 시간차원으로 변용되고 있다. '우물'과 '못물'은 정지된 흐름이 '고임'과 '깊이'로 실체화되면서 시간과 의식의 변화과정이 하나의 대상속에 함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Ⅳ章에서는 이러한 시정 대상 속에 내재하고 있는 시간의식에 의해, '시간'자체가 감각적인 인체의 부분이나 자연물로 비유되는 양상을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시간과 자아의 상응은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관계로 나타난다. 이 章에서는 시간의 감각화를 통해, 시간의 개념이 순간과 영원, 靜的인 세계와 動的인 세계, 속임수와 달관, 권위와 범속함 등 이항대립적인 요소들이 통합되는 자아와 대상의 동일화의 순간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以上의 시간감각을 통해 '永遠'이라는 궁극적인 지향으로서의 시간은 '꽃', '식물'이나 '여성'의 이미지와 동일시되고, 부피와 질량, 생명과 형상을 부여받은 可視的인 대상으로 구체화된다. 이는 대상에 내재하는 원초적인 생명감과 자연의 순환적인 사물법칙을 통해 시간의 단절감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시간 자체를 事物化하여 의도적으로 조정, 대응하고자하는 능동적인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