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은미-
dc.creator최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1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3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기욤므의 품사 이론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기욤므에 의하면 품사들은 저마다 서로 다른 투사 양태(regime d'incidence)를 지니는데 이들 투사 양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준에 의해 규정된다. ① support 인 인칭의 내포 여부 ② support 인 인칭이 내포하는 기능의 성격 ③ support 인 인칭에로의 직접 투사 여부 위 기준에 의해 실사는 형용사와 동사의 support가 될 수 있는 내투사(incidence interne)를 지니는 품사로, 그리고 형용사와 동사는 실사를 support로 요구하는 제일차 외투사(incidence externe de premier degre')를 지니는 품사로 규정되고, 부사는 형용사 혹은 동사가 실사에로 투사되는 현상 자체를 제일차적 support로 취하는 제이차 외투사(incidence externe de second degre')를 지니는 품사로 규정되었다. 이와 같은 품사 체계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그러나 기욤므 이론의 근본 가정을 이루는 언어(langue)-담화(discours)의 구분에 비추어 볼 때 기욤므가 사용한 두번째 투사 양태 규정 기준은 그 자체 모순을 내포하는 것으로서 타당하지 못하다. 이 기준을 삭제하면 동사는 실사와 마찬가지로 형용사의 support가 될 수 있는 내투사를 지니는 품사가 된다. 그런데 이렇듯 모두 내투사를 지니는 것으로 간주되는 실사와 동사 간의 투사 관계는 실사가 동사와의 관계에서 갖게 되는 기능들을 고려해 볼 때 실사→동사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부사의 support가 투사 관계 자체가 아니라 낱말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기욤므가 제시한 (도식1)과 같은 품사 체계는 다음과 같이 수정된다.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이상과 같은 작업은 보다 설명력 있는 통사 관계의 성립 원리가 될 수 있는 품사 체계를 만들어 보려는 시도에 바탕을 둔다.;Ce me´moire a pour objet l'e´tude de la the´orie guillaumienne des parties du discours et l'analyse de ses proble´mes. Chez Guillaume, la re´gime d'incidence qui fait la diffe´rence entre des parties du discours est de´termine´ par les trois crite`res suivants: 1. Implication ou non de la personne-support 2. Nature de la fonction involue´e dans la personne-support 3. Incidence directe ou non a` la personne-support D'apre`s ces crite`res, le substantif se de´clare pourvu d'une incidence interne qui l'oblige occuper la fonction de support de l'adjectif et du verbe, alors que l'adjectif et le verbe se definissent par une incidence externe de premier degre´ qui les force a` appeler le substantif comme support, et l'adverbe, par une incidence externe de second degre´ qui le force a` prendre pour support l'incidence de l'adjectif ou du berbe au substantif. She´matiquement, les parties du discours s'organisent comme suit: ◁표삽입▷ Cependant, d'apre`s la distinction guillaumienne entre langue et discours, le 2^(e) crite`re n'est pas ade´quat. Si nous supprimons ce 2^(e) crite`re inade´quat, le verbe devient, comme le substantif, la partie du discours qui a une incidence interne et donc qui peut occuper la fonction de support de l'adjectif. Et la prise en conside´ration des fonctions que le substantif peut remplir dans son rapport avec le verbe, nous permet de de´couvrir la nature d'un rapport d'incidence qui existe entre le substantif et le verbe ayant tous les deux une incidence interne : c'est le substantif qui est incident au verbe. De plus. les faits enseignent que l'adverbe aussi, comme les autres parties du discours, prend pour support non pas l'incidence en fonctionnement, mais le mot. Tous ces conside´rations nous ame`nent a` modifier le syste`me des parties du discours guillaumien (figure 1) de la manie`re suivante: ◁표삽입▷-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기욤므의 품사 이론 = 7 A. 투사의 개념 = 7 B. 투사 개념에 의한 품사 정의 = 10 1. 실사 = 10 2. 형용사 = 14 3. 동사 = 17 4. 부사 = 22 Ⅲ. 기욤므 이론의 재 검토 = 27 A. 실사 = 27 B. 동사 = 37 C. 부사 = 46 Ⅳ. 기능의 검토를 통한 새로운 품사 체계의 모색 = 54 A. 목적어 = 54 B. 주어 = 60 C. 속사 = 66 Ⅴ. 결론 = 73 참고문헌 = 75 Resume´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145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기욤므-
dc.subject품사이론-
dc.subject불어-
dc.title기욤므의 품사이론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ne e´tude sur the´orie des parties du discours de Gustave Guillaum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