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기독교 유아교육에서의 교수매체 활용 실태 조사

Title
기독교 유아교육에서의 교수매체 활용 실태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using educational media in christian earlychildhood education
Authors
安美羅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기독교유아교육교수매체기독교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유아를 위한 기독교교육은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을 사용하여 실시될 때에 그 효과를 발생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교회학교 유치부에서의 경험에서, 본 연구자는 교수매체의 부족과 교사들의 교수매체 활용에의 인식부족으로 야기되는 많은 문제점을 자각하게 되었고 기독교 유아교육에서의 교수매체 활용 및 효과적인 교수매체 활용 연구의 기초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기독교 유아의 이해, 기독교 커뮤니케이션과 교수매체 활용 교사들의 역할 등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함께 교회학교 유치부에서의 교수매체 활용 현황 및 그에 따른 교사들의 역할수행정도를 알아보고자 작성되었다. 서울 지역에 있는 120개 교회의 유치부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질문지의 내용은 교수매체보유 및 활용 현황, 요원 및 요원 훈련의 필요성, 교수매체 활용 절차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계획, 제작, 선정, 활용, 평가, 관리, 홍보 등 7개 요인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질문지의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 첫째, 교회학교 유치부의 교수매체 보유상태는 1987년도 문교통계연보에 의한 문교부의 유치원 교구 보유기준과 비교할 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아직도 전체 교회학교 유치부에서의 매체활용은 그 활용유형이나 활용이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매체활용은 개교회별 담당자의 관심 및 능력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있으며 아직도 전체 교회학교 유치부에서의 매체활용은 그 활용유형이나 활용빈도의 수준이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유치부의 주된 매체담당자는 유치부 교사나 신학전공자들이 대부분이므로 이들에 대한 적절하고 부단한 교육의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넷째, 전반적 교수매체 활용 절차에 따른 교사들의 역할수행정도는 수업현장과 직결된 단계 즉 시사나 수업진행태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나 교수계획, 평가, 홍보 등의 단계에서는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실제 교육목표에의 기여도는 낮게 평가된다. 조사를 통해서 본 실태는 결국 다음의 문제에서 파생되어진 결과로 생각될 수 있다. 즉 재정부족으로 인한 교구 및 교재의 미비, 구입 및 대여할 수 있는 외부자료의 빈곤, 교사의 교수매체에 대한 지식부족 및 자신의 역할인식부족 등이다. 본 연구자는 이와같은 문제점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는 교육과 관련된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하고 체계적인 외부자료개발을 위한 측면으로 연합교회적 차원의 전문 작업팀의 구성, 각 개교회의 우수한 자체제작자료의 발굴체계개발, 또한 각 사설단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교수매체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네트웤의 형성, 그리고 각 활용 교사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활용여건의 조성 등이며, 둘째, 교육 및 훈련의 측면으로 교회의 예산책임자와 유치부 교사의 연수교육, 신학교에서의 매체과목개설 및 교사용 참고도서 연구개발 등을 말할 수 있다. 유치부 교사를 위한 연수교육은 지금까지의 단기교육을 지양하고 교육 전반에 걸쳐 장기적으로 실시되어야하며 신학교에서의 매체과목도 수강자가 충분하게 매체에 관한 지식 및 기술 습득을 할 수 있도록 장기적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이같은 제안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기독교 유아교육에서의 매체개발 및 자질향상을 계획하고 교육하는 교육지도자들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뒤따라야만 할 것이다.;Christian education for earlychildhood can work when curriculum and methods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earlychildhood are used. But in reality, I found many problems due to lack of educational media and teachers with little understanding of them from my experience in preschool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on in our present situation of using educational media in preschool classes and the degree teachers play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earlychildhood, Christian communication, educational media and the role of teachers using them to provide awakening the need of educational media and basis for using educational media effectively in preschool classes. The questionnaire answered by the 120 preschool teachers of the 120 churches in Seoul includes seven elements of design, making, choosing, using, evaluation, keeping, public rel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situation of keeping educational media and using them, to the need for workers and training them, and to the teachers role in using procedure of educational media. The result of answered questionnaires can be analysed collectively like this. First, the present situation of keeping educational media in preschool classes is not adequate and most of them are non-projecting media. Secondly, it is found that media usag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terests and abilities of the workers and it is not adequate in the level of usage type and frequency. Third, most media personnels in preschool classes are preschool class teachers or theological students and they nead constant training Fourth, the level of teachers role play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dure of educational media usuage is seen adequate in the instructional field and directly linked with presentation and instructional process. But in the stage of instructional planning, evaluation and public relations, the role is not played adequately. Its contribution to practical educational goal is evaluated on a low level.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present situation is finally concluded as problems from the following factors; that is, lack of educational media equipment and materials due to financial pressure, lack of outside materials and lack of teachers' knowledge about educational media and their own role. So, I am suggesting several entities related to Christian education to provide solutions for the problems in using educational media. First, for the various systematic outside material development, organizing a professional working team i s needed in the level of combined operation among churches. Material development system of each church should be set. Combined communication passage for best usuage of educational medea kept by each organization and its conditions for using them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y can be used easily by teachers. Secondly, from the teaching and traing side, training persons in charge of church budget and preschool teachers in needed along with establishment of media class in seminary. The training course should not be limited only to the media but extended to the general train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Reference books fo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To realize these suggestions, constant research and efforts of teaching leaders who are designing media development and quality improvement and training in Christian early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