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숙-
dc.creator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0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3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5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rvey the theories concerning the discrimination of female-male labor force and to study the type of the discrimination in Korean labor Market through the analysis of female-male wage differentials. For this study, general types of labor fore discrimination are surveyed and the Neo-Classical Theory and the Institutional Theory are refferred to explain the cause of the discrimination of female-male labor force. And with the standardization of education, age and career, which relate productivity closely, the female-male wage differentials are analysed between workers with the same occupation and labor characteristics. The workers are grouped into six accourding to the public statistical data.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types of labor force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are investigated by each occupation group.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ⅰ) The differentials of female - male wage are not reduced even between highly-educated workers, except professional workers. (ⅱ) The differentials between workers with the same labor characteristics are not reduced with the length of career, and even increase between clerical workers. (ⅲ) Between administrative, professional or sales workers under same condition the differentials of female-male wage differentials are little to 24 years old but the differentials increase during the middle age and decrease at old age. (ⅳ) Between clerical workers, the differentials are not a little at the beginning age and the amount is increasing after 40 years old. Between service or production workers, the differentials are little when they are young, but begin to increase after that age. From these Findings, the types of female-male wage differentials by occupation in Labor market summarized like following.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professional, or Sales workers, the wage differentials become large at the middle age because female workers are promoted slowly and placed in disadvantageous positions while male workers are promoted early and placed in advantageous pasitions. So this internal labor market discrimination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of the types of labor force discrimination. In the case of clerical workers, female workers are restricted to some particular jobs and the density at those jobs causes the extension of the differentials. The job segregation is the core labor force discrimination here. In the case of service or production workers, the extension of wage differentials are due to the job segregation that female workers are restricted to simple and repetitive jobs and the wage discrimination that female workers are paid as a assistant living while male workers are paid as major living.;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 노동력 차별의 종류와 그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노동시장내에서 나타나는 여성노동력 차별의 형태를 성별 임금격차 실태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있다. 검토방법에 있어서 노동력 차별의 유형을 알아 본 뒤 그 원인을 신고전학파 이론과 제도학파 이론을 통해 살펴 보았다. 그런 다음 공식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여섯가지 직종에 대해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학력, 경력, 연령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뒤, 동일직종의 동일속성 노동자에게 나타나는 성별 임금격차분을 찾아내고 노동시장 내에서의 각 직종의 노동력 차별의 형태를 구명하였다. 실태분석 결과의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직을 제외하고는 학력상승에 따른 성별 임금격차 감소현상을 찾아볼 수 없다. 둘째, 동일 속성 근로자에 있어서 경력증가에 따른 임금격차 변화는 거의 없으며, 사무직의 경우 오히려 격차가 커진다. 세째, 동일 조건의 연령계층별, 성별 임금격차를 보면 행정직, 전문직, 판매직은 20∼24세 연령층까지는 그 격차가 거의 없다가 중연령층에서 커지고 고연령층에서 완화되는 형태를 보인다. 사무직은 시장 진입 초기연령부터 작지 않은 격차를 보이며 40세 이후 그 격차가 더욱 커진다. 서비스직과 생산직의 경우 연소 연령층에서는 격차를 거의 보이지 않다가 그 이후의 연령층에서부터 격차가 심화된다. 이상과 같은 실태분석 결과 유추할 수 있는 시장내 각 직종별 노동력 차별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행정직, 전문직, 판매직의 경우 남성에 있어서는 연령증가에 따른 빠른 승진과 중요성 있는 업무배치로 임금상승효과가 큰 반면 여성은 승진과 중요성 있는 업무배치에서 제외되어 중연령층에서의 임금격차가 심화되었다고 볼 수 있어 내부노동시장 차별이 두드러진 노동력 차별의 형태라 할 수 있다. 사무직은 시장진입 초기부터 여성에게 일정 직종만을 허용하여 여성이 그 직종에 밀집하므로써 임금격차가 확대된 직종차별이 그 중심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서어비스직과 생산직은 여성이 단순 반복적인 일부 직업에 편중된 직종차별과 중연령층에서 남성에게는 생계비 차원의 임금을 여성에게는 보조적 임금을 지급하는 임금차별의 형태가 노동력 차별의 주요 형태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노동력 차별의 정의와 종류 = 4 A. 정의와 종류 = 4 B. 노동력 차별의 임금격차에로의 전화 = 17 Ⅲ. 성별 노동력 차별에 관한 이론적 배경 = 20 A. 신고전학파 접근(The Neclassical Approaches) = 22 1. 인적자본론(Human Capital Theory) = 22 2. 혼잡가설 (Overcrowding Hypothesis) = 28 B. 제도학파적 접근(The Institutional Approaches) = 35 1. 직업경쟁이론(Job Competition Theory = 35 2. 이중노동시장론(Dual Labor Market Theory) = 39 Ⅳ. 현황 분석 = 47 A. 우리나라 여성의 취업구조 = 47 1. 여성의 일반적인 고용실태와 동향 = 47 B. 우리나라 성별 임금격차 실태 = 55 1. 연구자료의 문제점과 분석방법 = 55 2. 일반적인 성별 임금격차 실태 = 56 3. 동일 속성 근로자의 사별 = 65 4. 성별 임금격차의 특징과 노동력 차별 유형 = 94 Ⅴ. 결론 = 97 참고문헌 = 101 부록 = 110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479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노동시장-
dc.subject여성노동력-
dc.subject차별-
dc.subject경제학-
dc.title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의 여성노동력 차별에 관한 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discrimination od female labor force in Korean labor market-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제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