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9 Download: 0

한국 대중문화의 문화종속적 성격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 대중문화의 문화종속적 성격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Character of the Mass Culture in the Korean Society : Focused on the Cultural Dependency
Authors
강경란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한국대중문화문화종속문화 특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한국사회는 상업주의 문화와 외래문화의 만연으로 인한 전통문화의 파괴 및 대중문화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이와같은 문화현상은 단순히 문화영역만의 문제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모순들, 특히 자본주의적 제 모순들에 대해 정치나 경제의 차원에서는 상당한 분석이 진행되고 있으나 문화 차원에서의 논의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것은 문화를 가치중립적인 하나의 독립영역으로 간주하는 입장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문화란 결코 가치중립적인 현상일 수 없으며 정치·경제등 여타 사회현상과 상호연관을 가지고 운용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적 현상이다. 문화의 영역은 그것이 국민의 의식구조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정치적·경제적 문제들에 선행하여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제 모순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이유 때문에 문화는 그 어떤 사회현상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또한 분석의 대상으로서의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이와같은 문화에 대한 이해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한국문화의 성격과 그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봄으로써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를 예속적 국가독점 자본주의로 규정하고 세계자본주의체제에 종속적으로 편입되어 국가독점자본주의적 성격을 보이고 있는 한국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문화현상을 문화적 종속이라는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같은 문화적 종속에 대한 분석은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에서 대중문화란 자본주의체제내에서 기업이나 커뮤니케이션 기구에 의해 하나의 상품으로 대량생산되어지는 문화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한국대중문화가 갖고 있는 상업주의적 성격과 외래지향적 성격은 무엇보다도 먼저 선진제국주의 제국의 자본의 침투와 정치적 영역에 대한 영향력에서 기인하지만 또한 국내의 지배세력의 계급관계 유지를 위하 이데올로기적 통제와 해외자본과 결탁한채 국가의 특혜 속에서 언론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는 국내독점기업들의 이윤추구의 경향에서도 기인한다. 문화에 대한 국가의 이데올로기적 통제와 문화의 정책화 및 국가의 보호아래 이루어지는 기업의 언론산업과 언론집중화 현상은 다국적기업에 의한 해외자본의 문화영역에 대한 침투와 함께 한국사회의 모순적인 대중문화가 생산·소비되는데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와같은 상황 속에서 생산되어지는 상업주의적이고 외세에 종속되어진 대중문화에 대한 무비판적인 수용은 70년대 후반의 여타 사회운동의 성숙과 함께 일어나기 시작한 문화영역에 있어서의 대항운동에 의해 그 성격적 변화의 필요성을 절실히 요청받게 되었다. 문화영역에 있어서의 대항운동은 민중이 사회의 주체자로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문화영역에서의 헤게모니를 획득하여야만 한다는 논리에 의해 더욱 강조되어진다. 이와같은 논의 속에서 전개되기 시작한 문화운동은 여타 사회운동과의 연계 속에서 전개되면서 한국사회의 문화적 종속뿐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정치적·경제적 등 사회전반에 걸친 모순의 극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이와같은 문제들은 연구의 진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전개되게 될 것이다. 먼저 제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바탕이 되는 문화 일반에 대한 시각과 함께 이 논문의 이론적 배경이 소개된다. 여기에서는 Gramsci의 문화에 대한 논의와 문화제국주의론이 소개될 것이다. Gramsci의 문화에 대한 논의는 피지배계급이 자본주의구성체 내에서 정치적으로 지배계급이 되기 이전에 문화적·이데올로기적으로 헤게모니를 획득하여 혁명적 변동을 가져올 수 있다고 봄으로써 문화운동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여준다. 문화제국주의론은 현재 한국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대미·대일 문화종속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제Ⅲ장에서는 현대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화상황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먼저 대중문화의 특수성 및 문제점이 논의되고 한국대중매체의 현황이 분석될 것이다. 그 뒤 한국대중문화의 문화종속적 현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것은 미국과 일본의 문화침투 양상과 국내지배계급 즉 국가와 국내자본의 문화지배에 대한 분석 및 이에 대한 극복의 움직임으로써 제기되고 있는 민중문화운동에 대해서도 논의될 것이다. 제Ⅳ장은 맺음말로서 먼저 이상의 논의를 요약한 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Mass culture has both economic and ideological functions in the capitalist society and both functions operate with close mutual relationship . The first , ruling classes , by exercising cultural domination through mass culture , consolidate and legitimatize political and economical domination. The second, mass culture depoliticalizes ruled class and hinders the fomation of class consciousness of them, and internalizes in them values and ideology of ruling classes . Mass culture as such is the most universal culture which we accept and constitutes our important environment.neverth1ess studies on mass culture rrmain at primary levels .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the mass culture in the Korean society. In this study , I have charaterized Korean society as capitalist society and have attempted to analyse the characters of mass culture in it. In this , 1 have emphasized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capitalist system on the cultural situatuon of Korea,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lass relationships , This approach is based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imperialism.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debate on culture is examined. It includes debates on the Gramsci's perspective of culture , the construction of hegemony and approach of cultural imperialism. This is consist of debate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uperstructure and base, the study of basic assumption, concept, influence and limit of the cultural imperialism approach. The construction of hegemon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cultural movement and the cultural imperialism approach present the theoretical framewoke of cultural dependency of mass culture . In chapter Ⅲ, the culural siuation of Korean society is analized. In this analyse, the characters of mass culture and cultural imperialism in Korea is examined. And then ,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lass relationship is discussed. It includes the penetration af foreign culture, the cultural domination of the ruling class and cultural movement. This study is no more than a departure.1 anticipate concrete , empirical and historical studies on cultural situation of Korea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efforts which are aimed at overcoming the re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