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유아교육 프로그램 인준평가기준의 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교육 프로그램 인준평가기준의 적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ADAPTING OF THE ACCREDITAION EVALUATION
Authors
강숙현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아교육프로그램인준평가기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NAEYC에서 개발, 활용하고 있는 유아교육 프로그램 인준평가 기준 및 현장에 적용시켜서 프로그램 실제를 분석해보고, 바람직한 프로그램평가 기준 및 절차의 확립과 그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평가 결과 나타난 인준 또는 인준지연 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성은 무엇인가? 2. 인준과 인준지연 프로그램 집단별 프로그램 요소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1) 인준과 인준지연 프로그램은 부적합으로 평가된 프로그램 요소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2) 인준과 인준지연 프로그램은 적합으로 평가된 프로그램 요소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자기평가와 관찰자평가 결과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관찰자평가 결과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교사-아동간의 상호작용, 교육과정, 교사자격 및 발달, 물리적 환경요소의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중에서 지역을 고려하여 무선표집한 유아교육기관 36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평가기준 설정을 위한 문헌연구와 프로그램 실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원장 및 교사와의 면접을 실시하였다. 운영자의 자기평가를 위한 질문지조사와 그 평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수업상황의 관찰과 질문지조사가 이루어졌다. 운영자의 자기평가와 관찰자평가에 사용된 질문지는 NAEYC에서 개발·활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인준평가 기준 및 과정의 내용을 근거로 한 것이며 총4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수된 자료들 중에서 운영자의 자기평가용 질문지와 관찰자평가용 질문지에 기록된 자료는 프로그램의 인준결정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위해 수량화하였다. 평가결과 인준 또는 인준지연 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두 집단간의 프로그램 요소별, 요소수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집단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x^(2) 검증하였다. 운영자의 자기평가와 관찰자의 평가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의 차이를 t검증하고, 문항의 일치도와 평가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각 요소에 대한 관찰자평가의 결과로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평가 결과 인준 또는 인준지연 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인준과 인준지연 프로그램은 교사-아동간의 상호작용, 교육과정, 교사자격 및 발달 물리적 환경 요소에서 부적합으로 평가된 요소의 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3. 인준과 인준지연 프로그램은 적합으로 평가된 요소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프로그램의 자기평가와 관찰자평가 결과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찰자평가보다 프로그램의 자기평가가 더 긍정적인 경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5. 관찰자평가만으로 인준여부를 결정한 결과 교사-아동간의 상호작용의 질, 교육과정, 교사자격 및 발달, 물리적 환경등 전반에 걸쳐 질적 증진이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desirable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dur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nd utilized by NAEYC through adapting them to real conditions and analyzing the practices of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of research have been down: 1. What a「e the general characteristices of accredited and deferred program showed in program evaluation results? 2. Are there differences among program components showed in each accredited and deferred program group?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component number of deferred program according to each accredited and deferred program group? Does accredited and deferred program group have a difference in line with the components of accredited program? 3.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self-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the practices resulted form validator-evaluation? 4. What level of quality is resulted form validator-evaluation about interactions among staff and child, curriculum, staff qualification and develop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programs? The subject, of study was 36 institutions of early chiodhood education by arease with random sampling among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establish the evaluation criteria in this study, the practices of program and bibliography were examined by interviewing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researcher obtained self-evaluation program through a questionnaire and obserbation Then the 'information obtained was used to varify whether or not the self-evaluation results conformed to the real program,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elf-evalnation of program and validator-evaluation to verify it are based on the contents of accreditation criteria and proceduress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which were developed and utilized by NAEYC; they are composed of a 46 items. Among collected data, the questionnaire used in self-evaluation of program and validator-evaluation are converted to the figures for statistic analyzing the decisions of accreditation. In evaluation the data,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to study the characteristices of accredited and deferred program have been obtained and to compare one group's program, with another, The component frequency and percentage by each group are obtained and varified by X^(2).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self-study program and practices of program. The mean value of the two programs is verified by t-test, the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re used to study the evaluation bent and conformity of each component. The mean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for grasping the quality level of program, which resulted form validator evaluation of each component, are produc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ccredited and deferred program in line with program evaluation. 2. The accredited and deferred program have showed the differences consistent to the deferred components in evaluating the interaction among staff and child, curriculum, staff qualification and develop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3. According to the accredited program components,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accredited and deferred program groups. 4.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es resulted from self-evaluation of program and practice of program besed on validator evaluation, and the self-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 evaluated more positive than the validator-evaluation. 5. As a result of deciding the accredited program based on the validator-evaluation, all components of program are required the whole improvement about quality of interactions among staff and child, the pertinence of curriculum, staff qualification and develop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