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명희-
dc.creator조명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8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893-
dc.description.abstractBased on the accomplishments of the various studies since 1960, it has, been accepted that informal communication is one of important means of information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ctive scientists in the fields of biological sciences communicate informally and the role of informal communication in information exchange. The 169 scientists who contributed more than two articles to three kinds of journals of biological fields for the past ten years (1976-85) were asked to respond questionnaires and 117 (69%) return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36 scientists (31%) of 117 respondents contacted no one, while at the other extreme, one scientist contacted six persons, 55 scientists (47%) were not contacted at all but 13 scientists (11%) were contacted by more than three scientists. Consequently, central scientists were identified, to whom scientists initiated large number of communication. 2. Biological scientist contacted 2.1 persons, on the average, to get the information for his research during the past year. 3. It was found in the structure of informal communication relations that one large network of 189 scientists who communicated 'each o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ree small groups composed of four scientists , two small groups composed of six and three scientists respectively, and twenty-four isolates who communicated with no one. 4. Focussing upon the informal communication network of 189 scientists, within this network there were nine sub- groups whose members communicated intensively among themselves. In each subgroup there were identified one or more sociometrically central scientists who were receiving more than three contacts. 5. Biological scientists obtain substantial amount of information through informal channels, and scientific meeting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informal information source for their research and current awareness. 6. In the biological fields, the interval between inception of a research project and its formally published result in journal was demonstrated as twenty-seven months.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central scientists, peripheral scientists, and isolates for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havior of information use, social status, and productiv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Central scientists are senior in age, and higher in social status, degrees and committment in research area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re were more subordinates under central scientists, especially they are directing more doctoral course students. 2. The central scientists are in a better position for monitoring new information and highly influential to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biological fields through positions on various committees and academic societies, comparing with peripheral scientists and isolates. 3. Central scientists use more foreign scientific journals have more memberships of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societies, and attend oversea scientific meetings more frequently than other groups. 4. Central scientists are the most contributing group to domestic and foreign scientific journals and the most presentive group of their achievements at the scientific meetings and conferences. The sugges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on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observations are followings: First, information specialist should study the scientists' communication behavior and their social organization. Second, information specialist is recommended to maintain the data on the central scientists since they are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and use these data for searching the information. Third, information specialist keep available to the user the papers presented at the scientific meetings and conferences;과학자들의 연구활동에 있어 비공식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1960년대 인후의 많은 연구를 통하여 이미 인정되어 왔다. 연구의 시작에서부터 최초의 공식출판물인 학술잡지에 게재되기까지의 긴 기간때문에 최신정보를 원하는 과학자들은 전통적이고 공식적인 정보전달매체인 학술잡지나 단행본보다 더 빠른 정보원에서 정보를 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하여 과학자들은 스스로가 개발하여 유지시키고 있는 자연발생적 매카니즘인 비공식연구집단 (invisible college)을 통하여 공식커뮤니케이션이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정보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자들이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비공식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관계를 규명하고 정보교환에 있어 비공식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양상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생물학분야의 포괄적인 세 가지 학회지를 10년 동안(1976~1985)분석하여 두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던 과학자들을 조사의 대상으로 하였다. 배포된 질문지는 169부였으며, 117부가 회수되어 69 % 회수율을 보였으며,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77명의 응답자중 36명 (31 %)은 전혀 개인적인 접촉을 행하지 않았으며, 81명 (69 %)은 1명에서 6명까지와의 개인접촉을 시도하였고 55명 (47%)은 전혀 접촉을 받지 않았으나, 3명이상으로 부터 접촉을 받은 사람은 13명 (11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소수의 과학자가 많은양의 접촉을 받으며, 중요한 정보제공자로써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지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생물학자들은 같은 분야를 전공하면서 다른 기관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들과 가장 많이 접촉하고 있으며, 1985년 1년동안에 평균 2.1명과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을 행한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를 위한 개인적 접촉을 분석한 결과, 한국생물학분야는 189명으로 이루어진 한개의 비공식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 4명으로 이루어진 집단 3개 , 6명으로 이루어진 집단1개, 3명으로 이루어진 집단 1개와 개인적인 접촉을 행하거나 받지 않았던 커뮤니케이션의 비참가자들인 24명의 고립인물들로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4. 189명으로 이루어진 비공식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는 15명의 중심인물들을 중심으로 9개의 소집단으로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각 소 집단내에는 1명에서 3명까지 중심인물이 존재한다. 5. 생물학분야 연구자들의 공식정보원과 비공식정보원의 이용율은 약 6대 4정도로 나타났으며, 비공식정보원에서는 학술회의의 이용이 뛰어나게 많았다. 6. 생물학자들은 공동연구를 많이 행하며 (56%), 보통 2~3명이 집단을 이루어 연구하고 있다. 7. 연구를 시작해서 중간보고서 작성까지가 평균 13개월, 이후 연구를 완성하여 잡지사에 송고까지가 10개월, 잡지에 게재될 때까지 4개월이 걸리고 있어, 생물학분야 과학자들은 연구를 시작해서 최초 공식출판까지 약27개월을 소요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응답자들이 비공식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상태에 따른 특성을 밝히고자 이들을 중심인물집단, 주변인물집단, 고립인물집단으로 나누어 정보의이용, 사회적 상태 ,생산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밝혔다. 1. 중심인물들은 연령, 직위, 학력, 연구경력이 다른 집단의 인물들보다 높았으며, 박사학위 과정의 학생들을 더 많이 지도하고 있었다. 2. 중심인물집단은 국내학회에서 모두가 직책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나 연구기관의 과학위원회 등에 속하여 있는 비율이 다른 집단들보다 훨씬 높았다. 3. 외국학술잡지의 이용, 국내외 학회 가입, 외국학회 참석에 있어서 중심인물집단이 주변인물집단보다 많은 수를 보이고 있으며, 고립인물집단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4. 중심인물집단은 국내외 학술잡지와 국내외 학술회의에서의 논문발표량이 가장 많으며, 고립인물집단이 가정 적었다. 위와같은 조사결과로부터, 효율적인 정보봉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보 봉사자들은 과학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행태와 그들의 사회적 조직에 대하여 보다 충분한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둘째, 중심인물들은 중요정보원이므로 이들 중심인물 개개인에 대한 최신 연구정보를 정보봉사자가 수집보관하며, 정보탐색시 이용한다. 셋째, 학술회의에서의 발표논문을 신속히 입수하여 이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4 Ⅱ. 비공식커뮤니케이션의 의의 및 규명방법 = 7 A. 비공식커뮤니케이션의 특성 = 7 B. 비공식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사용되는 개념 = 10 C. 비공식커뮤니케이션 규명의 방법 = 14 Ⅲ. 비공식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선행연구 = 19 A. 외국에서의 선행연구 = 19 B. 국내에서의 선행연구 = 23 Ⅳ. 한국 생물학자들의 비공식커뮤니케이션 = 25 A. 비공식커뮤니케이션의 대상 = 25 B. 정보이용자와 제공자 = 29 C. 개인접촉의 동기 = 31 Ⅴ. 한국 생물학자들의 비공식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분석 = 32 A. 비공식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 규명 = 32 B. 비공식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 안에서의 관계 = 36 Ⅵ. 비공식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 참가자들과 비 참가자들의 특성비교 = 40 A. 응답자의 배경분석 = 40 B. 응답자의 제반 활동에 관한 분석 = 46 C. 연구의 시작에서 부터 잡지게재까지의 기간 = 51 D. 정보의 입수 = 54 E. 비공식 정보교환 = 59 F. 제반 정보원의 이용과 중요성 = 63 G. 공동연구 현황 = 71 H. 연구성과의 발표 = 73 Ⅶ. 요약 및 결론 = 78 참고문헌 = 82 한국 생물학자들의 비공식커뮤니케이션 연구에 관한 설문지 = 89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39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생물학자-
dc.subject비공식커뮤니케이션-
dc.title한국 생물학자들의 비공식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FORMAL COMMUNICATION AMONG KOREAN BIOLOGICAL SCIENTIST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