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7 Download: 0

다층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청소년 흡연량 변화 연구

Title
다층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청소년 흡연량 변화 연구
Other Titles
Examining Change Pattern of Adolescence Smoking Amount by Using Multilevel Model and Latent Growth Model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세희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 pattern of adolescence smoking amount throughout the time by using longitudinal data and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gender and parents on the change pattern. Furthermore, this paper introduces two major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methods, multilevel model and latent growth model, and discusses the difference of the two models. To the lack of Korean longitudinal data and practical problems occurring in collecting actual longitudinal data, this paper used NELS:88 instead. NELS is a massive longitudinal data collected by U.S. Department of Education's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Among various items included in NELS, this paper considered 11 items measuring adolescence gender and parent involvement; 3 time repeated measured of daily smoking amount; and this paper only included 764 Asian students' data assuming their cultural, educational environment would be similar to that of Korea. The procedure and result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 1. In longitudinal multilevel model analysis, as this paper used data which were repeatedly measured three times, only linear model was possible for analyzing. In result of linear model analysis, explanation variance was improved by 46%, compared to unconditional model which did not include time effect; in addition, the intercept of adolescence smoking amount and growth rate showed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 Plus, correlation of intercept of smoking and growth rate was not significant indicating that initial smoking amount plays no significant role on afterward growth rate. When parent involvement and gender were included as two factors in the linear model, parent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initial amount of adolescence smoking while it showed no such influence on growth rate. In other words, when parents' involvement was higher, their children's initial amount of smoking was lower; however, i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growth rate. Another factor 'gender'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initial amount of adolescence smoking or growth rate. 2. In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his paper could examine amount of smoking with three-time measured data by using unspecified model which allows to estimate the coefficient freely. Comparing linear and unspecified model, adolescence smoking amount followed the shape of linear functio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linear model including two factors: gender and parent involvement. In result, parent involvement onl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initial amount of adolescence smoking and not on growth rate. And gender had significant result neither on initial smoking amount nor on growth rate. These are the same results with longitudinal multilevel model. 3. When longitudinal multilevel model, which assumes independence and homoscedasticity of error of measurement, is compared with latent growth model, latent growth model had following advantages. First, latent growth model can assume various error structure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ers' hypothesis. Second, it is possible to freely estimate growth rate throughout the time by using unspecified model. Third, since latent growth model uses maximum likelihood to produce fit index, it is possible to compare other nested models. Fourth, even if there is missing data in the second level, it is possible to include those data in latent growth model which is implausible in multilevel model. Last, latent growth model could expand simple model into more sophisticated one which is again impossible to examine in multilevel model.;본 연구는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흡연량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고, 그 변화에 있어 성차와 부모의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종단자료 분석 방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종단적 다층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의 모형 설정 방법과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두 방법의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단자료 수집의 현실적 어려움과 국내에서 수집된 종단 자료의 부재로 미국 교육통계 센터에서 수집된 종단자료(NELS:88)를 이용하였다. 이 중 청소년의 성별과, 부모의 관여 정도를 측정하는 11문항, 그리고 하루 흡연량에 대해 3차에 걸쳐 청소년이 보고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문화적, 교육환경적 여건을 고려하여 비교적 한국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는 아시아계 학생 764명의 자료만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절차와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단적 다층모형의 분석에서는 본 연구에서 세 번의 반복 측정 자료만을 포함하므로 선형 모형만이 검증 가능하였다. 선형 모형 검증 결과 시간 효과를 투입하지 않은 무조건부 모형에 비해 약 46%의 설명력이 증가하였으며, 청소년의 흡연량 초기치와 변화율에 있어 유의한 개인차가 존재하였다. 또한 흡연량의 초기치와 변화율 간의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초기 흡연량이 이후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 모형에 부모의 관여와 성별 변수를 투입한 선형 설명 모형의 검증 결과 부모의 관여는 청소년 흡연량의 초기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율에 있어서는 그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즉, 부모의 관여가 높을수록 자녀의 초기 흡연량은 낮아지며, 이 후 증가량에는 부모 관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또 성별 변수는 청소년 흡연량의 초기치와 변화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잠재성장모형에서는 변화율의 요인계수를 자유롭게 추정하도록 하는 비명세화 모형을 통해 세 번의 측정치만으로도 흡연량의 변화 함수를 검증할 수 있었다. 선형 모형과 비명세화 모형의 비교 결과 청소년의 흡연량은 선형 함수의 형태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나 선형 함수에 성별과 부모 관여 변수를 투입한 설명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관여가 청소년 흡연량의 초기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초기치와 변화율에 성차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나 종단적 다층모형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3. 종단적 다층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의 비교 결과, 오차의 독립성과 등분산성을 가정하는 종단적 다층모형에 비해 잠재성장모형은 이론적 근거와 연구자의 가설에 따라 다양한 오차 구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비명세화 모형을 통해 시간에 따른 변화를 자유롭게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잠재성장모형은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여 적합도를 산출함으로써 내재된 모형의 비교가 가능하며, 다층모형과 달리 2 수준에서 결측치가 발생한 자료도 분석에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잠재성장모형은 다층모형에서 검증 불가능한 보다 복잡한 모형으로의 확장이 가능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