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하-
dc.creator김은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4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450-
dc.description.abstract고령화는 저 출산 추세와 더불어 ‘연진(Age-quake)’이라는 표현이 사용될 정도로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는데 특히 인구 연령구성의 변화, 기대수명의 연장에 따른 성비의 불균형, 가족구조의 변화, 노인 부양 의식의 저하 등으로 인해 독거여성 노인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독거 여성노인은 일반 노인에 비해 현저히 낮은 소득수준과 대부분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어서 잦은 입원을 할 뿐 아니라 입원을 하더라도 주부양자가 없어 가족이 돌볼 수 없는 처지이다. 더욱이 전문 간호 인력이 부족한 병원 현실 속에서 저소득 독거 여성노인이 느끼는 편안함에 대한 이해는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편안함은 개인의 주관성과 관련된 개념이므로 대상자 입장에서 경험하는 편안함의 의미가 탐색될 때 간호중재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독거여성노인이 입원 중 체험하는 편안함의 의미의 본질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2005년 12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서울시 E구에 위치한 2개의 시립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 대상 독거 여성노인 5명이며 연구 자료는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2003/2004)의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의미단위를 나누고 이를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여 기술하였고 학문적 용어로 전환된 기술 중 유사한 기술을 묶어 구성요소적인 진술(constituent statement)로 범주화하였다. 도출된 진술들 중 유사한 진술을 12개의 하위구성요소로 선정하고 유사한 하위구성요소를 묶어 최종적으로 5개의 구성요소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구성요소를 시간적 맥락에 따라 배열하고 저소득층 독거 여성노인의 입원 중 체험한 편안함의 본질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구조(general structure)로 통합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구성요소는 ‘전문 의료인이 옆에 있어 마음이 놓임’, ‘ 고통스런 증상 완화로 몸을 다시 움직일 수 있음’, ‘ 간호사의 친밀한 태도에 걱정이 사라짐’, ‘오랫동안 알게 된 담당의로부터 힘이 실림’, ‘퇴원 후 살아갈 기반이 마련됨’이었다. 또한 저소득층 독거 여성노인의 입원 중 체험한 편안함의 구조는 ‘전문 의료인과 동배(同輩)환자가 있어 신체화된 마음(몸)의 고통이 사라지고 삶의 활력을 찾음’이었으며 이는 4가지 현상학적 구조인 시간, 공간, 몸, 관계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Merleau-ponty(1945)의 기술에 근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극심하게 고통스러운 증상을 조절할 수 없어 통제성을 잃어버린 신체는 의지할 곳 없음을 경험하고 안전을 적시에 보장받을 수 있는 공간을 찾아 병원에 오게 된다. 병원에 온 이후 의료인을 만날 뿐만 아니라 숙련된 기술과 신속한 처치를 받게 되어 이전의 고통스러운 시간은 현재로 전이되고 현재는 의지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면서 시간/공간에 대해 마음이 놓이게 된다. 참여자들은 참을 수 없는 고통스러운 몸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었으나 증상이 완화되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던 몸을 다시 움직이게 되자 여유로움이 생긴다. 그리고 몸에 집중되어 현재에 머물러 있던 시각이 미래에 대한 가능성으로 이동하면서 다양한 관계를 갖는다. 참여자들은 전문 의료인, 동배환자, 그리고 비 의료인과 필요에 따라 관계를 맺게 된다. 전문 의료인인 의사와의 관계는 입원을 결정하고 퇴원 후 타 병원으로 연계 시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타 직종의료인과의 관계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한다. 간호사와의 관계는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동안에 병동 내에서 발생하는 사사로운 문제부터 전문 간호, 무료간병인 제공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또한 간병인과의 관계는 전문 의료인은 아니었지만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용변, 식사, 목욕) 받기를 원했다. 뿐만 아니라 같은 병실에서 비슷한 처지의 동배환자와도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아 퇴원 후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관계를 맺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퇴원 후 생활에 기반이 될 뿐만 아니라 앞으로 독거 여성노인으로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신감으로 연계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저소득층 독거여성노인이 입원 중 경험하는 편안함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기반으로 간호현장에서 편안함 간호중재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노인을 간호할 때 편안함을 사정하고 노인 대상자의 경험에 근거한 간호중재 방안에 기여할 것이며 간호학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Aging population problem together with low-birthrate causes tremendous changes on many aspects, described as 'Age-quake'. Particularly changes in age-composition and family structures, sex ratio imbalance following longer life expectancy, and lacking filial responsibility attitudes led to the rise in the number of the female elderly living-alone. They earn considerably less than other seniors and mostly suffer from more than one chronic diseases. In this circumstance, the hospitalization rates of the low-incom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supported by a medical aid program continue to increase, whereas there are no primary care-givers for them in the hospit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dequate nursing interventions and nursing environment to give comfort in the hospital where lacks nursing manpower. The word 'comfort' is widely used in nursing without defining the clear concept of it although giving comfort to patients is the ultimate goal of nursing that means looking after sick people in general. Since the sense of comfort involves a subjective element, it can be said that delving into the meaning of comfort from the standpoint of elderly people faced to be nursed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terventions.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comfort experience of hospitalized low-income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area of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s " what is the meaning of comfort experienced by hospitalized low-income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is study is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cusing on the subject's descriptions of their daily lives and exploring the essence of phenomenon appears through the researcher's scientific perspectives. The method of inquiry included: Sense of the whole: Breaking the meaning unit: Transformed meaning unit: synthesis of structur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5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municipal hospital who were in the age 65 over. Data for the exploration of the meanings of their 'comfort of hospitalized' experience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from December, 2005 to May, 2006. Collected information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procedure of Giorgi(2003, 2004). As a result 5 constituents and 12 sub-constituents, I scrutinized the relationships they made and synthesised the structure of meanings of comfort in chronical order, and realized that the essence of comfort the low-income elderly women living alone experienced. It was 'to alleviate the embodied mind pains thanks to the treatment of medical staff and the presence of patients allied to them, and then regain their life force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Merleau-ponty (1945), I explored the essence of comfort the elderly women experienced in hospital, which reflects the four phenomenological structures of time, space, body, and relationship. Participants suffer from unbearable pain and find no one to depend on, then look for time/space that provide them with safety to end up visiting the hospital. In the hospital, they get prompt treatment and care by the medical staffs, and find present time/space dependable as the past painful time is gone. Participants' interest focused on the pain of the body part is extended to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around as they feel relieved and comfortable by stabilized physical condition. After pain is disappeared, symptoms are eased, making the body move freely, then the patients divert the interest to other things. In another word, the patients do not focus on the present but start to expect for the future. Participants engages in various relationships with medical staffs, other patients, and non-medical staffs. The relationship with doctors is important in terms of entering and leaving hospital while the occasions happens in a ward are related to the relationship with nurses, and care-givers are essential to help the participants' daily activities limited in movement from chronic illness and aging. Even though they are not medical staffs, care-givers build a helping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nts in substantial parts of living. In addition, they form a relationship with other patients who hospitalizes in the same ward and lives in similar circumstance by exchanging necessary information. The results presents new nursing perspective based on deeper understanding on comfort experienced by the low-income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These also will evaluate comfort the elderly feel when nurses conduct care activities and provide adequate nursing intervention on a basis of the experience. Eventually these findings serve the nursing students' education program as basic dat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및 연구 범위 4 II. 문헌고찰 7 A. 저소득층 독거 여성노인의 보건의료 현황 7 B. 편안함에 대한 연구동향 18 III. 연구방법 24 A. 연구 설계 24 B. 연구 참여자 선정 24 C. 자료수집 방법및 절차 26 D. 자료분석 29 E.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 36 F. 윤리적인 고려 37 IV. 연구결과 39 A. 저소득층 독거 여성노인의 입원중 체험한 편안함의 구성요소 39 B. 저소득층 독거 여성노인의 입원중 체험한 편안함에 대한 구조 94 V. 논의 98 A. 저소득층 독거 여성노인의 입원 중 편안함에 대한 논의 98 B. 간호학적 의의 106 VI. 결론 및 제언 110 A. 결론 110 B. 제언 111 참고문헌 113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28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05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저소득층 독거여성노인이 입원 중 체험한 편안함-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Lived Experience of Comfort of the Hospitalized Low- Income Elderly Women Living Alone-
dc.creator.othernameKim, Eun Ha-
dc.format.pageⅹ, 132-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