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경애-
dc.creator최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3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327-
dc.description.abstract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정에서의 노인부양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정부는 2008년 7월부터‘노인수발보험법’을 시행할 예정에 있으며(보건복지부, 2006), 이에 따라 노인전문간호사와 같은 전문 인력 양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는 시대적 요청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의 전문간호 인력으로 질적 노인간호를 제공해야 할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총 15일간이었으며, 서울 소재 ADN(Associate Degree in Nursing) 과정 2개교와 BSN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과정 2개교의 간호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및 노인 관련 특성을 묻는 문항과 노인에 대한 지식 측정을 위해 임영신(2002)의 한국형 Facts On Aging Quize (FAQ1)를 사용하였고, 노인에 대한 태도는 한정란(2004)의 의미분별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노인에 대한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원영희(2004)의 노인에 대한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13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총 25점 만점에 전체 평균 12.3±2.7점, 정답률 49.1%로 낮은 수준이었다. 영역별 지식 정답률에서 신체·생리 영역 67.4%, 심리 영역 32.2%, 가족·사회 영역 36.7%로 나타나 신체·생리 영역과 비교하여 심리 영역과 가족·사회 영역에서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2.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총점 140점 만점에 평균 85±11.9점으로 중립적(70~90점) 태도를 보였다. 3.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행동은 총 68점 만점에 56.3±6.0점으로 중립적 범위(34~51점)보다 높아 비교적 긍정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연구 대상자의 노인 관련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인간호를 선호하는 연구 대상자에게서 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F=3.3, p=.0213). 2)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간호를 선호하는 경우(F=11.3, p<.0001)와 평소에 친분 있는 노인이 있는 경우(t=2.1, p=.0411), 평소 친분 있는 노인과의 교류가 자주 있는 경우(F=4.3, p=.0162), 노인 및 노인 관련 문제에 관심이 많을수록(F=7.1, p<.0001)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3) 노인에 대한 행동은 과거에 노인과의 동거 경험이 있는 경우(t=2.3, p=.0231), 평소 친분 있는 노인과 매우 친밀할수록(F=10.5, p<.0001), 평소 친분 있는 노인과의 교류가 자주 있는 경우(F=6.0, p=.0037), 노인간호에 대한 강의를 정규과목으로 받은 경우(F=3.8, p=.0234), 임상 실습 현장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t=2.2, p=.0324),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경우(t=2.1, p=.0347), 노인 간호를 선호하는 경우(F=18.2, p<.0001), 노인 및 노인관련 문제에 관심이 매우 많은 경우(F=12.8, p<.0001), 간호분야에서 노인간호분야를 선호하는 경우(F=2.4, p=.0302)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6.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r=.2215, p<.0001)와 행동(r=.1452, p=.0069)이 긍정적이었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긍정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5565, p<.0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에 대해 간호학생이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정립하고 긍정적 행동을 함양할 수 있도록 노인간호교육을 정규과목으로 제공해야 하며, 교육내용에 있어서 노인에 대한 신체·생리 영역은 물론 심리 영역, 가족·사회 영역의 내용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와 노인시설에서의 실습과 자원봉사를 통하여 노인과의 접촉기회를 확대하며, 노인과의 긍정적 관계 형성과 노인 및 노인간호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45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DN(Associate Degree in Nursing) program and BSN(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in Seoul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by self-administered answer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get the data from two departments of nursing in ADN program and BSN program respectively from May 1 to May 15.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AS 9.13 program, which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FAQ1 score for participants' knowledge was 49.13%. The mean score of participants' knowledge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knowledge in previous studies. Moreover, the average score of psycholosical dimension and family·sociological dimension were lower than those of physical·physiological dimension. 2. The average attitude score was 84.95±11.87 of the maximum score 140. This score was classified as a neutral range. 3.The average behavior score was 56.31±5.98 of the maximum score 68. This score indicated participants' behavior toward elderly is slightly positive. 4. Participa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5. Participa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offering the nursing care to the elderly . 6. Participants'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were statistic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elderly and problems of the aged. 7.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as statistic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elderly. 8. Participants' behavior toward the elderly was statistic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xperience of residing with the aged people at the past, assess to lectures on the elderly,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giving the nursing care to the elderly, experience of giving service to the elderly , degree of preference for offering the nursing care to the elderly, interaction with familiar the elderly recently. 9.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participants' knowledge with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implied slight association between knowledge and others. Only participants' attitudes and behavior were highly correlated. Participants' knowledge and behavior were slightly correlated.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o more correct informations about the elderly must be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especially more education about psychological and family·sociological dimension was requir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continuous teaching and education that will help increas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ⅶ 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정의 5 II. 문헌 고찰 7 A. 노인에 대한 지식 7 B. 노인에 대한 태도 11 C. 노인에 대한 행동 17 III. 연구 방법 21 A. 연구 설계 21 B. 연구 대상 21 C. 연구 도구 21 D. 자료 수집 방법 24 E. 자료 분석 방법 24 F. 윤리적 고려 25 IV. 연구결과 및 논의 26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B. 연구 대상자의 노인 관련 특성 28 C.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31 D.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34 E.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행동 36 F.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 38 G. 연구 대상자의 노인 관련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 40 H.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 간의 관계 46 I. 연구의 제한점 48 V. 결론 및 제언 49 A. 결론 49 B. 제언 52 참고문헌 53 부록 60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28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간호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Eldely-
dc.creator.othernameChoi. Kyung-Ae-
dc.format.pageix, 70-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