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中國 山東 靑州지역 一光三尊佛 硏究

Title
中國 山東 靑州지역 一光三尊佛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Qingzhou Single Mandola Buddha Triads in Shandong Province : with particular reference of stone statues from Late Northern Wei to Northern Qi era
Authors
양수미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ingle Mandolra Buddha Triads, a form before BuddhaTriads was created, was very popular throughout China during Southern and Northern ear. Among them, artistic feature of Stone Single Buddha Triadsin Qingzhou will be examined by inquiring into a development of phase of Stone Single Buddha Triads located in Qingzhou in Shandong province with time. In addition to inquiring into the development of phase, a new form analysis was applied by focusing on the form of Stone Single Buddha Triads in Qingzhou which has been ignored by existing research, and actual circumstances of Stone Single Buddha Triads which were scattered throughout Qingzhou will be also examined. In Qingzhou, Buddhism had been developed since very early time and there was cultural coexistence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under a command of both dynasties. Furthermore, Qingzhou was a gate through which Chinese monks could go abroad and foreign monks could get into China because it is closed to coast so it was easy to be directly influenced by Buddhist culture from India and Southeast Asia. In other word, it satisfied conditions for most open and advanced Buddhist sculptures to be appeared in Qingzhou. Single Mandolra Buddha Triads in Qingzhou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structure of phases. First phase which made nimbus and mandorla into one stone follows Northern China’s general structure in overall but it can be imagined that there existed artistic coexistence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with a characteristic to arrange several flying heavenly beings with high relief in the top of nimbus is similar to features from Southern dynasty. The added feature of dragon on them, distinguishing mark of Qingzhou, makes them much more distinctive differentiating from other regions. The second phase to make nimbus and mandorla separately was very popular in Qingzhou but it was very rare in other contemporary areas. Especially, this phase of Single Mandorla Buddha Triads showed more developed form combining the feature of dragon from late Northern dynasty to early Eastern Wei. A style of Buddha Triad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periods of late Northern Wei, Eastern Wei and Northern Qi, and characteristics during each period are individual. Phases during late Northern Wei such as phases of Zhengguang~Xiaochang(520~527) have rectangular frames, expression of bodies which doesn’t reveal massiveness and strongly projected creases. The influence from Hebeiprovince can be seen. The phases of Yongan~Yongxi(528~534) show a way to pass an edge of hem of rove over shoulderand paralleled twointaglioed lines to express creases proving the coexistence between existing style and newly appeared style in late Northern Wei. In Eastern Wei era, the phases in which nimbus and mandorla are combined after separately being made became main stream and an icon of Buddha Triads and flying heavenly being were arranged with very stable position. Breaking from thestyle of late Southern Wei, they show well expressed massiveness and more decorations on Buddhist statues. The single mandorla Buddha Triads are excavated during this ear proving their time of prosperity. The phases of Northern Qi period express thin hem of rove which adheres to the body, Indian type accessories, slim proportion of body and so on, which reflected from Guptan Buddhist sculpture. This appearance is similar to figures sculpted in the round but doesn’t show various clothes andexpression of creases as the figures in the round proving that the single mandorla Buddha Triads had been dwindling down more and more.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can be deduced that the Single mandorla Buddha Triads hav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sculpture during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First, they accepted Indian effect both in formal and conventional ways creating new modeling not found in the existing the Single mandorla Buddha Triads. Second, a distinctive tradition of coloring on Buddhist statues remained only in historical record can be identified throughout sculptures in Qingzhou area. In addition, it can be examined that sculptures and pictures were not separated but co-existed. In conclusion, it is tried to grasping the point of meaning comprehensively in this paper. However, this should be marked that there is no evidence improving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gilt bronze Single mandorla Buddha Triads which occupied the great part of Buddhist statues in the Three Kingdoms era in Korea and the Single mandorla Buddha Triads in Qingzhou.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ilt bronze Single mandorla Buddha Triads and those made from stone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mentioned above.;一光三尊佛은 환조의 삼존불이 조성되기 이전의 삼존불 형식으로 南北朝 時代 전 중국에서 성행하였다. 그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北魏後期 ~ 北齊時期 山東 靑州 지역의 石造 일광삼존불을 대상으로 하여 시기별 전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 청주 일광삼존불의 조형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식의 전개를 살피는 한편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청주 지역 일광삼존불의 형식적인 특징에 주목하여 형식 분석을 새롭게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막연하게 혼재되어 있던 청주 지역 일광삼존불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청주지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불교가 발달했으며 南朝와 北朝의 통치를 모두 겪게 되면서 남조와 북조의 문화적 요소가 공존할 수 있었다. 또한 바다에 인접해 있어 일찍부터 중국의 승려들이 해외로 나가거나 외국의 승려들이 중국으로 올 때 거쳐 가는 관문이 되기도 하였고 해로를 통해 인도나 동남아시아 불교문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지리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동시대 중국의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개방적이고 선진적인 불교 조각이 출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청주 지역 일광삼존불은 상의 구조에 따라 광배대좌일조식 일광삼존불과 광배대좌별조식 일광삼존불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광배와 대좌를 하나의 돌로 만든 일조식 일광삼존불은 전체적인 구조면에서는 앞선 시기 북중국의 보편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광배의 상단에 고부조로 여러 구의 주악천인을 배치하고 있는 점에서는 6세기 전반의 남조 상들에 가까워서 남북조의 요소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다시 용이라는 청주 특유의 도상이 추가되어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청주 특유의 형식이 성립되게 된다. 광배와 대좌를 별도로 만들어 결합한 별조식 일광삼존불은 청주 지역에서 매우 성행했던 유형이지만 동시대 다른 지역에서는 그 예가 극히 드물다. 이 유형의 일광삼존불은 특히 북위 말에서 동위 초 광배 하단에 나타난 용과 결합하면서 더욱 발달하는 양상을 보인다. 삼존불의 양식은 북위 말, 동위, 북제의 세 시기로 구별되며 각 시기 내에서도 다양하게 전개된다. 북위 말의 상들은 正光~ 孝昌年間(520~527)의 상들을 중심으로 장방형의 체구와 양감이 드러나지 않는 신체 표현, 포의박대식 대의, 강하게 돌출된 옷주름 등을 특징으로 하며 하북 지역의 영향을 볼 수 있다. 永安~永熙年間(528~534)의 상들에서는 대의 끝단을 어깨로 넘기는 착의법, 옷주름을 하나도 조각하지 않거나 두 줄의 평행한 음각선만으로 표현하는 등 이미 북위 말에 새로운 양식이 출현하여 기존 양식과 공존했던 것을 알 수 있다. 동위 시기에는 별조식 일광삼존불이 주류를 이루며 삼존상과 천인, 용의 도상이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북위말의 양식에서 벗어나 보다 더 신체의 양감을 표현하고 보살상의 장식성도 풍부해진다. 이 시기에는 청주 전역에서 일광삼존불이 출토되고 있어서 동위시기를 정점으로 청주 일광삼존불은 최성기를 맞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북제 시기의 상들에서는 신체에 매끈하게 달라붙는 얇은 대의 표현, 인도계 장신구, 불보살의 늘씬한 신체 비례 등 강한 굽타 불상의 영향이 보인다. 이러한 양식은 당시 청주 지역의 원각상과도 동일한 것이지만 원각상 만큼의 다양한 착의법이나 옷주름 조각 수법 등이 보이지 않아 일광삼존불이 점차 쇠퇴하고 있던 시대의 흐름을 감지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청주 지역 석조 일광삼존불이 남북조 후기 조각사에서 갖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형식적인 면과 양식적인 면에서 南朝와 北朝, 인도 등의 영향을 수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일광삼존불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조형성을 창출해 냈다는 점이다. 둘째, 청주 지역의 조각을 통해 기록상으로만 남아있는 독립적으로 조성된 불상에 행해진 채색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조각과 회화가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지 않고 공존했던 맥락을 잡아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다 거시적인 맥락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의 삼국시대 불상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금동일광삼존불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청주의 석조 일광삼존불과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찾을 수 없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주의 금동일광삼존불과 석조 일광삼존불과의 관계가 선결되어야함을 지적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