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송이-
dc.creator김송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316-
dc.description.abstract탑비는 先師의 행적을 새긴 것으로, 고승의 위업을 기리고 후대인들에게 귀감이 되도록 하기 위해 건립된다. 본 논문은 현존하는 고려시대 탑비 중 원형을 갖춘 작품에 한하되 비신은 소실되었으나 머릿돌과 받침돌이 남아있는 경우를 포함하여, 총 28기의 탑비를 대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탑비는 선종이 유입되는 9세기경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師資相承’ 즉 스승과 제자의 계승관계를 강조하는 선종의 사상에서 영향 받은 것이다. 그리고 唐碑의 영향으로 龜趺와 &#34733;首를 갖춘 비가 출현하였는데, 거북이 아닌 용의 형상을 띤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귀부이수형 탑비가 성립된다. 귀부이수형 비의 출현 시기에 대해 남북조시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나 중국 三國時代 또는 西晉 시대의 부장품인 穀倉을 통해, 3세기 중후반경에 이미 귀부를 갖춘 비가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 광종이후 선, 교종에 관계없이 건립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국사나 왕사를 역임하거나 추증 혹은 그에 상응하는 예우를 받았던 고승에 한하였다. 그리고 왕실과의 관계, 소속종파 등이 탑비 건립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건립은 ‘高僧 入寂 - 葬禮 (諡號, 塔號 追贈) - 僧塔 造成 - 行狀을 모아 塔碑 建立 奏請 (諡號, 塔號 追贈) - 중앙에서 撰, 書 을 완성하여 碑文 전달 - 비문 刻字를 비롯한 工事 - 塔碑 建立’ 순으로 이루어진다. 탑비의 형식은 龜趺&#34733;首形, 龜趺屋蓋形, 方趺&#34733;首形, 方趺形, 龜趺形, 方趺屋蓋形으로 나눠진다. 10-12세기 초까지는 귀부이수형 탑비가 전형을 이루며 12-14세기에는 귀부옥개형, 방부이수형, 방부형, 귀부형 그리고 방부옥개형 탑비가 등장한다. 양식적으로 1기와 2기로 구분된다. 1기는 10세기와 11-12세기 초로 나눠지는데, 10세기는 통일신라시대와 구별되는 고려시대 만의 독특한 개성과 특징을 지닌 탑비로 완성되어 가는 시기이다. 11세기-12세기 초는 귀부, 이수의 형태가 점차 변화하고 비신의 장엄에 있어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는 시기이다. 특히 法相宗 계열의 탑비 간의 양식적 유사성이 주목된다. 2기는 12-13세기와 14세기로 구분된다. 12-13세기는 귀부이수형 탑비의 변형, 과도기적인 형식들이 출현하며 조선시대 비의 선구적인 양식이 등장한다. 14세기는 외래적인 영향을 크게 받은 시기로, 대리석을 사용한 탑비의 건립과 중국식 귀부이수형의 재건이 대표적이다. 양식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현재 머릿돌이 소실되어 원형을 알 수 없는 <金山寺 慧德王師眞應塔碑>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법상종 계열의 탑비인 <七長寺 慧炤國師塔碑>, <法泉寺 智光國師玄妙塔碑>의 이수 형태와 흡사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무기년작인 <團圓寺 龜趺와 &#34733;首>와 <安養寺 龜趺>는 각각 광종 년간 과 12세기 초의 작품으로 편년되었다. 고려시대 탑비는 당시 승려에 대한 사회적 지위와 위상을 상징하는 불교미술품 이다. 승탑보다도 오히려 더 규모 있게 조성되기도 한 독립적인 조형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Tapbi(塔碑) is a monument which the achievement of Buddhist monk’s lifetime is written on. It is constructed to praise his great feats and set an example for future generations. Totally this thesis works with 28 Tapbis in the Koryo Dynasty which have kept up their origin form or have left head-stones, pedestal-stones even though body-stones are missed. Tapbi of Korea has been constructing in earnest from the 9th century when the Zen is flowed into Korea. This reflected the Zen’s ideal which emphasize succession 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disciple. And a Tapbi with Guibu and Isu affected by Tangbi(唐碑) appeared. So in Unified Silla Dynasty, Tapbi having a shape of not turtle but dragon was created. Generally, appearance time of Tapbi with Guibu-Isu is known to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南北朝時代). but we can understand that Tapbi of the type was still existed in the middle-late 3th century through bottles of grave goods in Chinese The Three Kingdoms period(三國時代) or the Western Jìn Dynasty(西晉). After King Gwangjong(光宗:949-975), Tapbi could be constructed by whether Zen or non Zen and objects for Tapbi were limited to Buddhist monk who had consecutively filled Guksa(國師, the leader of the nation), Wangsa(王師, a king's teacher) or received responding honorable treatment. Also constructing of Tapbi is closely connected with relationship to Royal family and denomination. Constructing process is like below. Buddhist monk’s death&#8211;funeral ceremony&#8211;building of Seungtap(僧塔, monk's stupa)&#8211;completion and text delivery&#8211;Construction work including carving a text &#8211;building of Tapbi. The 6 types of Tapbis are Guibu-Isu(龜趺&#34733;首形), Guibu-Okgae(龜趺屋蓋形), Bangbu-Isu(方趺&#34733;首形), Bangbu(方趺形), Guibu(龜趺形) and Bangbu-Okgae(方趺屋蓋形). Tapbi with Guibu-Isu was popular between 10th and early 12th century and all types except this Tapbi were appeared between 12th and 14th century. Tapbi can be divided into first period and second period for their style’s sake. The one can be divided into 10th century and between 11th and early 12th century, and Koryo owning special Tapbi with characters distinguished from the Unified Silla was completed in the 10th century. In the 11th and early 12th century, a shape of Guibu and Isu was changed and grandeur of body-stone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Specially, similarities of style between monks' Tapbis of Beopsangjong(法相宗) are very high and a point which challengeables attention. The other can be divided into between 12th and 13th century and 14 century. Between 12th and 13th century, Tapbi with Guibu-Isu was transformed into and transient forms were appeared, so preceding forms of the Choson Dynasty(朝鮮) Tapbi were appeared. The 14th century was a period affected by external factor generously. For example, a marble was used for Tapbi construction and Tapbi with Guibu-Isu of Chinese's style was rebuilt. Considering styles of Tapbi, I looked into Geumsansa-HyedeokWangsajineungTapbi(金山寺 慧德王師眞應塔碑) that original feature was unknown for a missing headstone. As a result I can consider that a form of the Tapbi is similar to Chiljangsa-HyesoGuksaTapbi(七長寺 慧炤國師塔碑)and Beopcheonsa-JigwangGuksahyeonmyoTapbi(法泉寺 智光國師玄妙塔碑). Also establishment time of Danwonsa-Guibu and Isu(團圓寺 龜趺와 &#34733;首) and Anyangsa-Guibu(安養寺 龜趺) can presume during the reign of Gwangjong and early 12th century. Tapbi of the Koryo Dynasty is Buddhist work of art which emblematize social position and fame of Buddhist monks. Also We can notice that this is anindependent sculpture manufactured more largely than Seungta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ii 머리말 1 1. 高麗時代 以前 (新羅下代) 塔碑의 建立과 形式 5 1. 신라하대 탑비의 건립배경 5 가. 禪宗의 유입 5 나. 唐碑의 전래 7 당비의 형식과 특징 7 귀부이수형 비석의 출현시기와 도상 10 2. 신라하대 탑비의 형식과 특징 13 Ⅱ. 高麗時代 塔碑 造成의 特徵 19 1. 탑비 주인공의 사회적 위상 19 2. 건비과정 27 Ⅲ. 高麗時代 塔碑의 形式 38 1. 형식 분류 39 1) 귀부이수형 탑비 39 2) 귀부옥개형 탑비 60 3) 방부이수형 탑비 61 4) 방부형 탑비 62 5) 귀부형 탑비 62 6) 방부옥개형 탑비 63 2. 형식 별 현황 66 Ⅳ. 高麗時代 塔碑의 樣式變遷 69 1. 1기 69 1) 10세기 69 2) 11-12세기 초 78 2. 2기 87 1) 12-13세기 87 2) 14세기 90 맺음말 94 참고문헌 100 표 및 부록 목록 109 도판목록 109 표 117 부록 123 도판 130 ABSTRACT 1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149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高麗時代 塔碑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apbi(塔碑) of the Koryo Dynasty-
dc.creator.othernameKim, Song Yi-
dc.format.pageⅳ, 164-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