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전효경-
dc.creator전효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1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01-
dc.description.abstractMiddle-school age is a stage of puberty when there is a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filled with many new experiences. At this formative period, children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and it affects their development into adulthood. In South Korea, because of the pressure to achieve high GPAs and pass college-entrance exams, teenagers are under enormous stress and have caused some students to develop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ere are great interest and research to solve these problems, but the focus has been on at-risk youths rather helping average teenagers. Therefore, we need to approach from a preventive perspective by understanding their school lives and developing a practical theory.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develop a practical theory regarding school-life experiences by searching for various aspects of them and derive certain variables in essential school life, and confirm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ous concepts. The participants included 3 male and 4 female middle-school students; among them are four 15 year old, and three 14 year old pupils. The initial selection process involved 38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lso attending "cram" schools, and church. After explaining our research and signing the participation form as well as getting the approval from their parents, we reduced the number of appropriate subjects to 7 using logical sample deduction based upon the criteria in "The Quality of School Life" (Lee, Wu Kyoung, 1999).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counseling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 The contents of the counseling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Data analysis was done according to the methods of grounded theory by Strauss & Corbin (1998; 1990).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some of the analytical methods we used to extract 75 concepts, 35 subgroups and 13 groups. Then pattern and process analyses, along with situation modeling, were also applied. The results are as below. 1. The cause and effect conditions of a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were 'I want to do well', 'I don't want to', 'this is too much', and 'this is irritating'. The result was 'it is of no use'. Such phenomenon had an underlying condition of 'I must do it alone', and the mediating condition was 'I want to give up' and 'I cannot give up'. The methods of correction the students used to remedy the situation of 'it is of no use' was 'just play along', 'let it slide by', and 'get your mind off the matter'. The result of this technique was to ‘find an exit'. 2. The process of solving the 'it's of no use' syndrome, the key factor of all factors, is the 'exit strategy from the maze.’ 3. Some patterns of typical middle school student life were 'suppression' of any outside stress, 'outburst’ of internalized emotions, and ‘hard work,’ in solving any given problems in a practical and realistic way. 4. The 'exit strategy from the maze' cycle, a key factor in middle school life, begins with 'accept', 'bypass, 'resist', and 'endure' respectively. These processes have a continuous and repetitive pattern, and help the students to effectively 'look for an exit out of their maze'. 5. The middle school life of these students is a phenomenon based on action/interaction results from a personal-family-school-society-national level chain. Research conclusion reveals that there is a need for local society and government to modify the old policies and create new on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life.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life of a middle school student in South Korea is characterized as a process that 'has to be done alone', 'must do it on his or her own to finish', 'once in, no exit', 'must stay there' type of finding a way out of a maze. The students don't give up, even when they know they 'can't do it even if they tried', and they accept it as part of their destiny, sometimes bypassing instead of confronting it and sometimes rebelling against authorities. All in all, the students try to endure it together once they think this is something they must live with. This research will help the professionals to understand better the students’ lives in middle school, enable them to sympathize with the students and form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them. The variable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can assist in foreseeing school-life troubles, preventing and minimizing them. The suggested therapeutic mediation method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ill actually be applied to the students and facilitate holistic nursing care possible. Ultimately, the theory of 'exit strategy from a maze' hints on a new insight for the world of nursing,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It will be a good foundation in constructing a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theory.;중학생 시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접어드는 초기 청소년기로써 많은 변화를 겪으며 성장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중학생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게 되며 학교생활경험은 그들의 성인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은 학력위주 및 입시위주의 교육체계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청소년들에게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중학생의 학교생활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여 예방차원의 접근들이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학교생활의 본질과 관련된 변수들을 도출하여, 각 개념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중학생의 학교생활 경험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와 광주에 거주하는 중학생 7명으로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3명과 여학생 4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담 내용은 녹취를 한 후 필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연구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의 분석과정을 통해 75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및 13개의 범주들이 도출되었다. 이어서 유형분석과 과정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상황모형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교생활경험의 인과적 조건은 ‘잘 하고 싶음’, ‘하기 싫음’, ‘힘에 부침’, ‘짜증남’이었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은 ‘해도 안 됨’이었다. 이러한 현상의 맥락적 조건에는 ‘혼자 해야 함’이 있었고, 중재적 조건에는 ‘포기하고 싶음’, ‘포기할 수 없음’, ‘해야 함’이 있었다. 학교에 다니고 있는 중학생들이 ‘해도 안 됨’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체념함’, ‘적당히 넘어감’, ‘마음을 풀음’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돌파구를 찾음’이 도출되었다. 2. 중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서 ‘해도 안 됨’이라는 현상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 이면서, 다른 모든 범주들을 아우르는 핵심범주로는 ‘미로 출구 찾기’가 도출되었다. 3. 중학생의 학교생활경험의 유형은 모든 것을 속으로 참아내는 ‘삭임형’, 어떤 것이든 속에 담아두지 못하고 밖으로 표출하는 ‘분출형’, 그리고 현실적으로 문제해결을 추구하는 ‘노력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4. 중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서 핵심범주인 ‘미로 출구 찾기’의 과정은 ‘받아들이기, 지나치기, 대항하기, 견뎌내기’를 통해 진행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과정은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을 나타내면서, 중학생들이 효율적으로 ‘미로에서 출구를 찾을 수 있도록’ 도모한다. 5. 중학생의 학교생활경험은 개인-가족-학교-지역사회-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로 경험하게 되는 현상으로서, 학교생활증진 및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와 국가적 차원에서 기존 정책의 재조정과 새로운 정책 입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 의하면, 학교에 다니고 있는 중학생의 삶이란 ‘혼자 해야’하는, 자신이 하지 않으면 끝나지 않을, 들어가면 나오지 않는 한 그 안에 있어야 하는, ‘미로’에서 ‘출구’를 ‘찾아 가는’과정이다. 중학생들은 ‘해도 안 됨’의 고통을 겪으면서도 삶을 포기하지 않고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받아들이며 때론 모른 척 그 상황을 지나치고 때론 대항할 수 없다 생각되어지는 권력에 대항하며 결국 가야 하는 길이라면 함께 견뎌내 보려고 노력한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학교관련 전문가들이 학교에 다니는 중학생을 공감하고 치료적 관계를 형성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학교생활경험과 관련하여 도출된 변수들과 변수들 간의 관계는 학교생활경험을 예측하고 통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자료에 기반 하여 제시된 다양한 간호중재기법들은 임상현장에서 학교에 다니는 중학생에게 실제 적용됨으로써 대상자 요구중심의 간호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궁극적으로 ‘미로 출구 찾기’의 실체이론은 간호실무, 교육, 연구, 정책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앞으로 중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 관한 이론을 구축하는데 있어 좋은 밑거름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질문 = 3 II. 문헌고찰 = 4 A. 청소년기 특성 = 4 B. 학교생활 관련요인 = 7 III. 연구방법 = 15 A. 연구 설계 = 15 B.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론 = 16 C.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 20 D. 연구자의 준비 = 21 E. 자료수집 방법 = 22 F. 자료 분석절차 = 24 G. 연구방법의 진실성(Truth-Worthy) = 28 IV. 연구결과 = 31 A. 연구 참여자의 특성 = 31 B. 개방코딩 : 근거자료의 범주화 = 32 C. 축 코딩 = 66 1.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 66 2. 관계진술 = 72 D. 선택코딩 = 74 1. 핵심범주 : “미로 출구 찾기” = 74 2. 이야기 윤곽의 전개 = 76 3. 관계의 체계화와 정형화 = 79 4. “미로 출구 찾기”의 유형분석 = 81 E. “미로 출구 찾기”의 과정분석 = 92 F. “미로 출구 찾기”의 상황모형 = 97 V. 논의 = 102 A. 중학생의 학교생활 경험 “미로 출구 찾기” = 102 B. 유형별 “미로 출구 찾기”의 과정에 대한 간호중재 = 121 C. 간호학적 의의 = 130 VI. 결론 및 제언 = 135 참고문헌 = 138 부록 = 152 Abstract =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08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학교생활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Experience : Exit Strategy from the Maze-
dc.creator.othernameJun, Hyokyoung-
dc.format.pageviii, 174-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