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이새봄-
dc.creator이새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0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96-
dc.description.abstract가장놀이의 출현은 18개월 영아에게 중요한 발달적 변화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가장행동의 현상학적인 측면에만 집중해 왔으며 가장놀이 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또 영아와 어머니의 초기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널리 인식되어 왔으나 상호작용 연구에서 영아와 어머니의 동등한 역할을 다룬 연구도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에서 18개월 영아의 혼자놀이에서 가장놀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어머니가 놀이에 참여한 경우에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따라 가장놀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영아와 어머니 39쌍으로 영아의 월령은 17개월 15일~18개월 14일이었다. 측정을 위해서 연구자가 가정방문을 통해 영아 혼자 놀이 장면과 어머니와 함께 놀이 장면을 촬영하였고, 영아의 놀이는 Belsky와 Most(1981)의 “영아 놀이 분석기준”을 통해 평정하였으며, 영아-어머니 주도성 및 반응성은 Newland, Roggman과 Boyce(2001)의 분류 기준을 사용하여 점수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놀이 조건에 따른 놀이 유형 분포와 성차를 살펴보았다. 혼자 놀이 조건에서는 놀이 없음이 12.3%, 감각놀이가 43.2%, 배열놀이가 1.8% 기능놀이가 24.6%, 가장놀이가 18.0%로 나타났고, 어머니 함께 놀이 조건에서는 놀이 없음이 9.8%, 관찰이 9.1%, 감각놀이가 33.2%, 배열놀이가 0.6%, 기능놀이가 12.7%, 가장놀이가 34.5%로 나타났는데, 차이 검증 결과 혼자놀이 조건 보다 어머니 함께 놀이조건에서 감각 놀이와 기능놀이가 유의하게 줄어들었고, 반면 가장놀이는 유의하게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 놀이 수준에 미치는 성차의 경우 혼자놀이에서는 감각놀이가 남아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고 가장놀이는 여아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어머니 함께 놀이 조건에서는 성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주도행동과 영아 반응행동, 영아 주도행동과 어머니 반응행동의 출현 빈도와 각 변인 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어머니 주도행동과 반응행동은 6:4의 비율로 나타나 주도행동이 근소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도행동 중에서는 확장이 30.0%로 가장 많았고 확장과 유지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반응행동 중에서는 소극 수용이 23.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영아의 경우 주도행동과 반응행동이 4:6의 비율로 나타나며 주도행동 중 적극관심이 28.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응행동 중에서는 단순 인식이 2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 주도행동과 영아의 반응행동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주도행동 책략이 단순 제시일 때 무관심과 소극적 수용이, 보다 적극적인 책략인 유지, 확장일 때는 단순 인식과 함께 탐색과 협응이 증가하여 어머니의 상호작용 전략에 따라 영아의 반응행동이 변화하는 교환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영아의 놀이 기저 수준에 따라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이 가장놀이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집단을 감각운동적 놀이와 놀이 없음이 우세한 ‘낮은 놀이 수준 집단’과 기능놀이와 가장놀이가 우세한 ‘높은 놀이 수준 집단’으로 군집 분석 한 후 영아-어머니 상호작용과 가장놀이 변화량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높은 놀이 수준 집단과 낮은 놀이 수준 집단에서 영이-어머니 상호작용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어머니 주도행동과 영아 반응행동의 상호작용은 영아의 기저 놀이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나타나고 높은 놀이 수준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아 주도행동과 반응행동의 효과는 높은 놀이 수준 집단과 낮은 놀이 수준 집단 모두에서 영아가 적극적으로 놀이에 관심을 보이는 경우 가장놀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확장적 주도 책략은 영아가 낮은 놀이 수준에 있고 단순 인식의 반응을 주로 보일 때 가장 효과적이며 영아가 높은 놀이 수준에 있는 경우 어머니가 주도적인 책략을 사용하기 보다는 영아의 주도 행동에 따라 언어적인 반응을 해 주는 것이 가장놀이 발달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8개월 시기의 놀이 활동에서 어머니와 영아 양자 모두의 역할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어 어떤 유형의 상호작용이 가장놀이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확장하여 보다 큰 표본에서, 또 종단적인 방법으로 검증해 나간다면 영아의 놀이 수준과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작용 특성에 따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This observational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pretend play in relation to mother-infant interaction(initiative and responsiveness).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18 months infants(n=39) and their mothers. Infants were videotaped during two free-play session: infant-alone play condition and with mother condition. Infants' play was coded in 5 seconds intervals by 'infant play criteria'(Belsky & Most, 1981)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was coded by initiation and responsiveness criteria(Newland, Roggman & Boyce,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play type classification on each con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ensorimotor play, functional play and pretend play. That is, as condition changed(alone to with mothers) sensorimotor play and functional pla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retend pla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ignificant sex difference was founded on alone play condition, but on with mothers play condition. 2. Prior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on pretend play, Infants were clustered into two groups by cluster analysis : high play level(n=23) and low play level(n=16), basis of what types of play was prevailing in infant-alone play condition. Also, maternal initiative behaviors were clustered into a extend style and a maintain style, infant's responsive behaviors were clustered into a simple awareness style and a balanced style, infant's initiative behaviors were clustered into a positive style and a negative style, and maternal responsive behaviors were clustered into a negative style and an unprevailing style. As a result of ANOVA, infant basal play level determines infant-mother interaction effects on pretend play. The interaction effect of Maternal initiative behaviors and infant's responsive behaviors was significant only on low play level group. The main effects of infant's initiative behaviors were significant on both high and low group, and the main effect of maternal responsive behaviors was significant on high play level group. That is, it is helpful for boosting infant's pretend play that mothers use a extended strategy with their low play level infants in play and infants simply aware what their mothers do. In conclusion, mother-infant interaction effects on pretend play was changed by infants' basal play level, and the age of 18 months is time to resettle infant-mother interaction strate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놀이 발달 = 5 1. 놀이 발달과 가장놀이 = 5 2. 18개월 시기의 놀이 발달 = 11 B.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 15 1. 영아와 어머니의 초기 상호작용 = 15 2. 영아-어머니 주도성 및 반응성 = 17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도구 = 23 1. 놀이 관찰 분석기준 = 23 2.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주도성 및 반응성) 분석 기준 = 26 C. 연구 절차 = 29 1. 예비 실험 = 29 2. 본 실험 = 29 D. 자료 분석 = 31 Ⅳ. 연구 결과 = 33 A. 놀이 유형 분포 및 차이 검증 = 33 1. 혼자 놀이 조건 : 놀이 유형 분포와 성차 = 33 2. 어머니 함께 놀이 조건 : 놀이 유형 분포와 성차 = 35 3. 놀이 조건에 따른 놀이 유형 분포 차이 검증 = 36 B. 영아-어머니 상호작용 = 38 1. 어머니 주도행동 및 반응행동 = 38 2. 영아 주도행동 및 반응행동 = 39 3. 어머니 주도행동과 영아 반응행동의 관계 = 41 4. 영아 주도행동과 어머니 반응행동의 관계 = 42 C.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이 영아의 놀이에 미치는 영 = 43 1. 영아의 놀이 기저선 분류 = 43 2. 영아-어머니 상호작용 변인의 유형화 = 44 3. 영아- 어머니 상호작용이 영아의 놀이에 미치는 영향 = 47 Ⅴ. 결론 및 제언 = 55 A. 결과 요약 및 논의 = 55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61 참고 문헌 = 63 영문 초록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09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8개월 영아의 가장놀이 발달에 미치는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의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ole of Mother-Infant Interaction in the Development of Pretend Play-
dc.creator.othernameLee, Sae Bom-
dc.format.pagev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