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미국 The Virginia Museum of Fine Arts 소장 도갑사 천룡정 연구

Title
미국 The Virginia Museum of Fine Arts 소장 도갑사 천룡정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Dogapsa painting of the Virginia Museum of Fine Arts, USA
Authors
최진이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05년 4월 초순경 미국 The Virginia Museum of Fine Arts는 Virginia의 한 수집가로부터 한국 佛畵인 神衆幀을 기증 받게 되었다. 지금까지 한국의 佛畵에 관한 연구 및 전시회는 많이 있었으며 한국 神衆幀에 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 여러 논문과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道岬寺 天龍幀은 미공개작이면서도 시기가 오래된 것으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다른 神衆幀과는 차별화되는 구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어 논문의 주제로 선택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먼저 조선시대 神衆幀을 정의 내리고 그 주제별로 神衆幀의 유형을 구분한 이후 시기별 神衆幀의 변화 양상을 규명해 보았다. 세 번째 장에서는 道岬寺 天龍幀의 도상적 특징에 대해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즉, 있는 그대로의 道岬寺 天龍幀의 특징인 제목, 크기, 재료 그리고 상태를 먼저 알아본 이후에 道岬寺 天龍幀의 畵記를 살펴보고 도상별 특징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았다. 네 번째 장은 神衆幀 중에서도 독특한 구도인 道岬寺 天龍幀이라는 새로운 도상 출현 및 이 작품을 그린 金魚 萬亨에 대해 이야기 한다. 道岬寺 天龍幀은 ‘庚申年’이라는 제작연도가 畵記에 적혀 있지만 정확하게 몇 년에 제작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이것을 규명하기 위해 道岬寺 天龍幀이 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18세기에 조성된 神衆幀 중 畵記에 天龍幀이라고 적힌 작품들을 우선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神衆幀에서는 보이지 않던 새로운 인물이 道岬寺 天龍幀에서는 중앙 인물로 등장하는 것을 바탕으로 ‘日月天子’形 天龍幀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정의 내렸다. 또한 18세기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대표적인 화사인 思信, 義謙 그리고 亘陟의 작품의 성격을 알아보면서 당시 만형이 어떤 위치에 속해 있었는지 추정해 보았다. ‘한국의 불화’를 중심으로 畵記에 나타난 화사들의 이름을 살펴본 바 금어 만형의 작품은 凌駕寺 帝釋幀(1730년)이 유일했다. 이 작품을 통해 道岬寺 天龍幀의 제작연도를 1740년이라고 확정 지을 수 있었다. 그리고 凌駕寺 帝釋幀과 道岬寺 天龍幀의 화풍을 살펴봄으로써 萬亨의 작품 경향이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5개 안팎의 색채를 사용하고 있으며 중앙집중식 구도를 보이고 있고 인물 표현이 정교하고 인물의 크기가 화폭에 맞게 작아진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화려하지는 않지만 단정하고 고풍스러우며 소박한 문양을 사용했다고 분석해 보았다. 이 작품은 靈山會上圖나 阿彌陀後佛幀과 같은 상단탱과 마찬가지로 주변의 인물들이 중앙을 향해 기립하는 통일된 구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중앙인물이 다른 신중탱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인물이라는 면에서 이것이 神衆幀의 도상적 특징 및 유형을 나누는 다른 기준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며 道岬寺 天龍幀의 첫 번째 의의이다. 道岬寺 天龍幀의 발견은 잊혀질 수 있었던 萬亨만의 화풍을 정리해 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것이 道岬寺 天龍幀이 가지는 두 번째 의의이다. 현재 道岬寺 天龍幀이 조성된 배경에 대해 알 수 있는 기록이 없어 추정만 가능할 뿐이다. 이 작품은 중앙에 冕旒冠과 袞龍袍를 입은 왕의 복식을 한 日月天子가 등장하고 있다는 점과 그 양 옆에 위치한 용왕과 용이 日月天子와 함께 삼존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예로부터 왕실과 관련이 있으며 문수. 보현 목조 동자상과 같은 독특한 작품이 조성된 적이 있는 道岬寺에서 이러한 형태의 天龍幀이 조성되었다는 점에서 개연성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道岬寺가 육지와 바닷가가 모두 가까운 영암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日月天子가 중앙 인물로 등장한 데에는 당시 기후적인 요소도 작용했다고 추정한다. 핵심어: The Virginia Museum of Fine Arts, 神衆幀, 天龍幀, 帝釋幀, 帝釋天龍幀, 道岬寺, 觀音普薩 32 應身幀, 道岬寺 解脫門, 道岬寺 文殊普賢 木彫 童子像, 日月天子, 龍王, 龍, 萬亨;A Korean Buddhist painting was donated to the Virginia Museum of Fine Arts in Richmond, VA, USA in the early April, 2005.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nd exhibitions about Korean Buddhist paintings so far. Yet, since this Buddhist painting of VMFA, which is a sort of Heavenly guardian paintings, is undisclosed and considered as a unique work by its icons and its styles, this thesis would study when and how it was painted and who was the painter. At first, guardian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defined and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ir icons and their typ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hird chapter, the general introduction and the iconic features of each character on the Heavenly guardian painting of VMFA, which is going to be called “Dogapsa(道岬寺) painting”, were presented. On the fourth chapter, 15 Heavenly guardian paintings painted during the 18th century were inspected whether there have been any similar backgrounds or works with Dogapsa painting. Yet, it was concluded that Dogapsa painting was the only one with the Sun and the Moon emperor at the center. Therefore, a new type of Heavenly guardian painting, called “Heavenly guardian painting with the Sun and the Moon emperor”, was produced. Furthermore, the painter, “ManHyung(萬亨)”, was also featured at this chapter. First of all, representative painters such as Sasin(思信), Euhgeum(義謙) and GeungChuk(亘陟) during the 18th century in Jollanamdo and their styles were presented to discriminate from Manhyung’s styles. And an Indra painting of NungGasa (凌駕寺) dated 1730 and painted by Manhyung was discovered after examining painters’ names of the present Buddhist paintings. It helped to determine that Dogapsa painting was made in 1740 and what Manhyung’s styles were. Those are, in short, tender and bright colors, soft shades of green and red, smaller figures to be proportioned to the screen and not decorated but neat and humble ornament expression. It is significant that Dogapsa painting has a center figure, the Sun and the Moon emperor, which has not been seen in any other Heavenly guardian paintings which set that Dogapsa painting’s iconography gives different criteria. Furthermore, it could be possible to notice Manhyung’s style owing to Dogapsa painting’s discovery with NungGasa painting. This thesis mainly discussed about Dogasa painting that was disclosed for a long time. That is to say, the thesis was to introduce Dogapsa painting and to research about the place and the date that it was produced on. Keywords : The Virginia Museum of Fine Arts, Dogapsa painting, Guardian paintings, Heavenly guardian paintings, Indra paintings, Dogapsa, Avalokitesvara of Dogapsa, The Sun and the Moon Emperor, Dragon King, Dragon, ManHyung(painter of VMFA Dogapsa Pai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