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唐詩畵譜』와 朝鮮後期 繪畵

Title
『唐詩畵譜』와 朝鮮後期 繪畵
Other Titles
『Tangsihwabo』 and the painting of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진보라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당시화보』는 萬曆年間(1573~1620)에 安徽省 徽州府 新安 출신인 黃鳳池가 杭州에 위치한 集雅齋에서 발간한 화보로서 『오언당시화보』·『칠언당시화보』·『육언당시화보』로 구성되어 있다. 唐詩와 그림을 동시에 감상하기 위해 출판된 이 화보는 앞면에는 당시를, 그 뒤에는 그 시를 바탕으로 도해된 그림이 수록되어 있다. 『당시화보』는 오랜 문학과 회화 결합의 역사를 배경으로 제작되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시문학과의 관련성이 매우 높다. 이미 東漢 桓帝 때 『詩經』을 제재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으며 문인화의 흥기 이후 시구에 의거해 그림을 그리는 詩意圖가 많이 제작되었다. 특히 明末에는 蘇州를 중심으로 당시를 제재로 그린 당시의도가 크게 유행하였는데 이는 『당시화보』출판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중국의 판화술 역시 『당시화보』의 제작배경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隋代(581~617)에서 唐代(618~906) 초기에 걸쳐 시작된 중국목판화의 전통은 宋代(960~1279)와 元代(1271~1368)의 발전기를 거쳐 明代(1368~1661)에 이르러 황금기를 맞는다. 축적된 판화기술을 바탕으로 명대에는 판화제작이 크게 유행하여 각종 소설과 희곡의 출판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당시화보』는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하게 된 것이다. 『당시화보』를 편찬한 황봉지는 명말의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항주로 이주하여 자신의 書房인 집아재에서 상업적 이득을 목적으로 각종 서적을 출판하였다. 오늘날 서점의 일종인 서방에서 황봉지가 『당시화보』를 편찬했다는 것은 이 책이 당시 충분히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동시에 의미한다. 특히 황봉지는 당대 名士들에게 화보의 서문과 발문을 맡겨 화보의 가치를 더욱 높였으며 직접 시를 고른 뒤 당대 유명한 삽화가들에게 삽화의 도해를 의뢰하였다. 『당시화보』를 구성하고 있는 『오언당시화보』·『칠언당시화보』·『육언당시화보』는 각 화보별 성격이 크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다. 실려있는 그림들은 대부분이 인물이 강조된 산수인물화이다. 삽화가는 시 속에 표현된 시인의 감정이나 시의 분위기를 인물을 통해서 표현한 것으로 보이는데 시 속의 話者를 대신해 산수 속의 인물이 시의 내용을 전달해 주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기법적인 면과 주제적인 면에서 浙派와 吳派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당시화보』에 실린 삽화들을 살펴보면 어부도의 비중이 크며 여성이 주인공인 삽화들이 다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산수화에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것은 당대 미인화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당시화보』가 상업적인 기획물로서 등장했다는 점을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명말에 이렇게 제작된 『당시화보』는 조선에 발간시점과 큰 시간차 없이 수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당시화보』와 관련한 기록들이 대부분 18C에 집중되어 있고 정확한 전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으로 조선에 언제 유입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늦어도 17C에는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강세황도 직접 『당시화보』를 소장하고 즐겨 보았던 것으로 보아 유입된 이후 상당히 활발히 이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화보의 유입과 이용에 관한 내용은 조선시대 남겨진 실제 작품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당시화보』속에서 시와 그림이 함께 어우러져 완성된 형태는 合壁帖의 제작과 유행에 영향을 주었다. 물론 그림과 글씨가 하나로 어우러져 제작된 것은 명대에 이미 전형화 되었던 것이다. 다만 조선 후기 합벽첩의 제작이 크게 증가한 것은 시서화 겸비의 풍조 속에서 형식화 된 것으로 이런 형식의 유행에 『당시화보』가 일조했다고 생각된다. 직접 『당시화보』를 소장하고 감상했던 尹德熙를 비롯하여 尹愹, 李昉運 등 조선후기 많은 화가들이 합벽첩을 제작했던 사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당시화보』의 화면구성법을 이용한 조선시대 회화 작품들도 다수 있다. 특히 『당시화보』와 동일한 주제를 그린 작품들에서는 화면의 구성도 모두 동일하게 보여 『당시화보』를 활용하여 작품을 많이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사군자와 관폭의 주제를 그릴 때 유사한 구성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본다면 하나의 정형화된 구성을 통해 화제를 이해하고 받아들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산수인물화에 등장하는 인물과 경물의 표현들은 다소 정형화된 도상들임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의 원형을 『당시화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인물과 경물의 표현은 조선후기에 화보가 수용되기 시작하면서 다소 정형화되고 도식화되어 습관적으로 삽입되기 시작하는데 다양한 동작의 인물들과 소나 학, 말 등의 동물 표현 등을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조선시대 화가들은 화보의 임모를 통해 각종 표현방법을 익혔는데 『당시화보』역시 각종 화법의 기법서로서 이용되었다. 진경산수의 대가인 정선의 작품에서 활용된 각종 산수표현 등이 『당시화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런 표현방법은 이후 제작된 많은 회화들에서 이용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정설로 여겨져 왔던 중국 화보와 조선후기 남종화의 확산과의 연관성이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화보』의 삽화를 분석해보면 그 구성과 표현법에 있어 절파적 특성이 가장 두드러지며 이는 조선에 『당시화보』가 유입되면서 남종화의 확산에 영향을 준 것이 아니라 조선중기 이후 절파의 정착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Tangsihwabo(唐詩畵譜)』, published in Jibajae(集雅齋) of Hang-ju( 杭州)province in the Late Ming Dynasty, is a picture album created by Hwang Bong-ji(黃鳳池) from Sin-an(新安) province. The album is composed of 『O-eon-Tangsihwabo(五言唐詩畵譜)』, 『Chil-eon-Tangsihwabo(七言唐詩畵譜)』, and 『Yuk-eon-Tangsihwabo(六言唐詩畵譜)』. The purpose of the album was to enjoy Tangsi(唐詩, Poetry of Tang Dynasty) and a picture at the same time. Each page of the album has Tangsi poetry on the front and a Tangsi picture on the back. 『Tangsihwabo』 is a combination of classic literature, art and with poetry especially. The history of combining literature with art dates back to the Later Han Dynasty. During this period, the pictures were drawn based on 『Shih ching(詩經)』. After the rise in popularity of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Siyido(詩意圖), a painting accord with poetry, were produced many. Tangsiyido(唐詩意圖) gained great popularity in the So-ju(蘇州) province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which may have had a great effect on producing 『Tangsihwabo』. The prosperity of China's print manufacturing can also be one of the reasons of producing 『Tangsihwabo』. China's wood-block print manufacturing, which first started during the Sui and early Tang Dynasty, finally reached its golden moment in Ming Dynasty. This advance allowed many novels and plays to be printed efficiently, facilitating the reproduction of 『Tangsihwabo』. After moving to Hang-ju province, Hwang Bong-ji not only produced 『Tangsihwabo』, but also produced various kinds of books strictly for financial purposes. Seobang(書房) is what is known as today's bookstore. By selling 『Tangsihwabo』 at Seobang, Hwang Bong-ji demonstrated that the book was very profitable and popular. Hwang Bong-ji even increased the value of the album by entrusting prefaces and epilogues to distinguished persons, asking illustrations to the famous illustrators. 『O-eon-Tangsihwabo』, 『Chil-eon-Tangsihwabo』, and 『Yuk-eon-Tangsihwabo』, which compose 『Tangsihwabo』, have no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in each album. The pictures in the album are mostly a man-oriented landscape. An illustrator looks like he tried to express the impression he got from Tangsi by placing a man in the picture, hoping this man would deliver depth meaning of Tangsi. On the other hand, influence of the Zhe School(浙派) and the Wu School(吳派) can easily found on the subject matter as well as the techniques. Fisherman Paintings take a great deal on the entire album. 『Tangshiwabo』 also contains women appearing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Landscape paintings. Such depiction may have effected by widely eared popularity of Beautiful Woman Picture of the time. Such characteristic tells us that 『Tangsihwabo』 came out as commercialized publications. Choson accepted various publications and albums from China while maintaining close relationship with her. However, all the records about 『Tangsihwabo』 are generally focused on the 18th century and the exact introduction of 『Tangsihwabo』 is also unknown. Nevertheless, it is presumed that 『Tangsihwabo』 may have first been introduced to Choson in the 17th century. The fact that Gang sehwang(姜世晃) himself owned 『Tangsihwabo』 and enjoyed it indicates that the album had been widely used after its introduction to Choson. Such records can also be verified from actual works from the Choson Dynasty. 『Tangsihwabo』's style combines poetry with a painting had a great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wide-use of Hab-byeokchub(合壁帖). Even though, such style has long been typified since Ming Dynasty, Hab-byeokchub's manufacturing increased during the Late Choson can be verified through the fact that the artists from Late Choson Dynasty who owned 『Tangsihwabo』 themselves such as Yun deokheui(尹德熙), Yun yong(尹愹), and Lee bangwun(李昉運) actually participated in making of Hab-byeokchub. In the Choson Dynasty, many paintings were portrayed to 『Tangsihwabo』. Such paintings also share the same subject matter with 『Tangsihwabo』. This demonstrates that 『Tangsihwabo』 has widely been recognized and used by many artists of the Choson Dynasty. The prototype of iconographic image of a man and the natural features of the season appearing in Choson Dynasty's landscape can also be detected from 『Tangsihwabo』. The various representations of men and animals such as a cow, a crane, a horse and etc, standardized and schematized artists' own habitual styles used in the paintings since the picture album was introduced in the Late Choson Dynasty from China In Choson Dynasty, it was custom for the artists to train their artistic techniques by copying from other famous artists' works as well as by using 『Tangsihwabo』 as a textbook for other various art techniques. The techniques which Jeong seon(鄭敾) used in his landscape paintings were also based on 『Tangsihwabo』's. This is important because such techniques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many other artists and the artists will apply them as another prototype of painting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an established theory that China's picture album, which consisted Chinese paintings of the Southern School's distribution should be re-examined for the following reason. 『Tangsihwabo』's paintings show more of the Zhe School's style in its composition and representation. Therefore, 『Tangsihwabo』 facilitated more in the settlement of paintings of the Zhe School than in the distribution of Chinese paintings of the Southern School after its introduction in Choson Dy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