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이무경-
dc.creator이무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8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81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미술사에서 오랫동안 타자로서 소외되었던 여성들이 스스로 예술가라는 이름으로 집단적으로 등장했던 1930년대 초현실주의 후반기의 여성초현실주의자들 중 한 사람인 레오노르 휘니(Leonor Fini, 1908-1996)의 지배적 여성이미지에 대한 고찰이다. 휘니는 아버지의 부재와 어머니와의 지나친 친밀감, 부친의 납치 위협으로 인해 어린 시절 남아로 변장하고 지내야 했던 가정사적 배경과 함께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프랑스 등을 아우르는 다양한 인종적 배경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개인적 배경은 전통을 부정하고 새로운 질서를 요구하는 다다정신을 이어받은 초현실주의 예술의 특성과도 맞아떨어지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1930년대 중반에 고향인 이탈리아를 떠나 파리로 건너온 휘니는 다른 여성예술가들처럼 개인적이고 사적으로 많은 초현실주의자들과 교류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그녀 역시 다른 여성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처럼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1896~1966)이 이끄는 초현실주의 그룹의 가부장적 위계질서에 실망해 스스로 초현실주의에 가담하는 것을 거부했다. 비록 초현실주의가 과거 어떤 미술사조보다도 여성을 중요한 위치에 두었다고는 하지만, 여성예술가들은 남성예술가들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소외당했던 것이 사실이었다. 브르통을 중심으로 한 남성 초현실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여성들은 창조의 영감을 제공하는 뮤즈의 역할을 할 뿐이었다. 본고에서는 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여성의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그 흐름 속에서 남성 초현실주의자들의 여성관은 어떠했는지 우선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가운데 1930년대부터 등장하는 여성 초현실주의자들의 한 사람인 휘니가 자신의 작품 속에서 표현하고 있는 지배적 여성의 이미지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여성을 창조적 영감을 주는 원천으로 여겼던 ‘뮤즈(muse)’나 ‘아이같은 여성’을 가리키는 팜므 앙팡(femme enfant)과 같은 ‘이상화된 초현실주의 여성상’을 살펴보겠다. 이와 함께 19세기 문학과 미술 등 여러 분야에서 즐겨 다루었던 소재가 된 파괴적 여성상인 팜므 파탈(femme fatale)이 초현실주의 미술과 어떻게 결합되는지 알아볼 것이다. 공포와 파괴의 주체로서의 여성상인 팜므 파탈의 답습은 초현실주의가 여성에 대해 취하고 있는 양가적인 면을 드러나게 한다. 인간해방을 기치로 내건 초현실주의 역시, 여성을 표현함에 있어서 각자의 개성을 가진 존재가 아닌, 어떠한 정형화된 여인상으로 구분해 표현한 서구 미술의 오랜 전통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위와 같이 초현실주의 미술의 일반적인 여성상을 개괄한 후, 창조성과 신성을 지닌 여신으로서의 여성과 공포와 파괴의 주체로서의 팜므 파탈의 이미지가 나타나는 작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는 달리, 1930년대부터 등장하는 일군의 젊은 여성예술가들은 남성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제공하는 뮤즈가 아닌 주체적 여성상을 여신의 이미지로 구현해 간다. 레오노라 캐링턴(Leonora Carrington, 1917~), 프리다 카로(Frada Kahlo, 1910~1954), 레미디오스 바로(Remedios Varo, 1913~) 등의 작품에서 이러한 것들을 확인할 수 있다. 휘니 역시 그들 중 한 사람이었다. 이어서 휘니의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지배적 여성이미지의 등장 배경에 관해 조사해 보고자 한다. 휘니의 개인적인 성장배경, 그리고 파리에 온 이후 초현실주의자 및 여성 예술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드러나는 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휘니는 스스로 초현실주의자가 아니라고 선언했지만, 휘니의 작품 속에 드러난 지배적 여성이미지들은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초현실주의의 삶과 죽음의 통합처럼 상반된 것의 통합은 그녀의 작품 속에서 창조적이면서도 파괴적인 이미지를 함께 가지고 있는 지배적 여성이미지로 표출된다. 휘니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지배적 여성이미지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파리에 오기 전까지 고향에서 제작한 작품들에서는 이태리 형이상학파의 영향을 받은 느낌이 강하며 여성의 주체적 이미지가 특별히 강하게 드러나지는 않았다. 다만 남성보다는 여성의 이미지에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였고, 여성들의 이미지에서 훗날 보여주는 지배적 여성이미지를 엿볼 수 있는 팜므 파탈과 같은 매혹적 이미지가 드러남을 알 수 있다. 파리에서 초현실주의자들과 교류를 시작한 이래, 휘니는 남성은 배제한 채, 주로 아름다운 외모를 지닌 지배적 이미지의 여성들을 화폭에 담았다. 창조적이며 신성을 담은 여신이나 여사제와 같은 긍정적 이미지, 죽음의 이미지와 연결된 공포적이며 파괴적 이미지의 스핑크스와 마녀, 그리고 남성을 상대로 한 가학적인 성적 느낌을 풍기는 이미지들이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남성 초현실주의자들의 작품과는 확연히 구분되며, 다른 초현실주의 여성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여성이미지보다도 훨씬 강렬한 지배적 여성상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공포와 죽음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부정적 여성 이미지에서조차도 상반된 것을 연결시키는 초현실주의의 논의를 자기화해 재생적 이미지를 보여준다. 성적인 표현에서조차도 휘니는 금기를 넘어섰다. 여성에게는 금기시된 가학적 성표현조차도 당시 여성예술가로서는 유일하게 거리낌 없이 표현했다. 따라서 휘니는 초현실주의 이론들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 여성 초현실주의 예술가 중에서도 가장 앞서가는 지배적이고 창조적인 여성의 이미지를 창조했다. 나아가 인간해방을 내건 초현실주의가 남성 중심적으로 표현한 여성상을 통해 드러낸 한계마저도 자신의 방식으로 극복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owerful female images of Leonor Fini(1908-1996), one of female surrealists who appeared in the 1930's, the age of the late surrealism. That phase marked the appearance of a group of female artists in the realm of art. Before the period, women had been regarded as outsiders in the long history of art. Fini has such family backgrounds as growing up under a single mother, a resultant over-dependence on her mother, and a disguise in her childhood as a boy to thwart her father's threat to kidnap. Her background includes a mixed blood of Italy, Argentina and France. Those personal backgrounds harmoniously match with the traits of urrealism succeeding Dadaism which denied the tradition and demanded a new order. In the middle 1930's, Fini left Italy, where she had been raised, for Paris. As other women artists did, she individually and personally associated with many surrealists. But, like other female surrealists, she declined to join a group of surrealists headed by André Breton(1896~1966), out of disappointment in a male-dominant hierarchy of the group. Although we may well say that surrealism put more emphasis on women than any other preceding trends in art, it is true that female artists were isolated in the movement of surrealism as dominated by males. For a group of male surrealists led by Breton, women were regarded only as playing a role of the muse who inspired creativity. This thesis starts with the analysis on how the images of female changed in the trends of art history, and what was the concept of female held by male surrrealists in connection with changing trends of the art. Among other things, the thesis reviews specifically the powerful image of female as portrayed in Fini's works by Fini, who is one of the leading female surrealists representing the 1930's.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deals with the 'surrealistic ideal image of female' such as the 'muse' regarded as a source of creative inspiration, and the 'femme enfant' indicating a baby-like woman. The thesis also analyses how the 'femme fatale', the destructive image of female which was a favorite subject of literature, art and other areas in the nineteenth century, became coupled with surrealism. The fact that surrealism sticked to the image of femme fatale, a subject of fear and destruction, reveals the inconsistent aspect of surrealism in the concept of females. That is, despite the motto of human liberation, surrealism could not overcome the tradition in the Western art to express women in certain stereotyped images, not as human beings with individual attributes. After generally covering such universal images of female in the surrealistic art, the thesis goes on to works which express the image of female as a goddess with creativity and a divine nature and which reveal the image of femme fatale, a subject of fear and destruction. In contrast, a group of young female artists emerging in the 1930's, tried to embody the image of female with independent identity, not as the muse in a role of inspiring male artists with creativity. We can ascertain such efforts by female artists in works by Leonora Carrington, Frada Kahlo, Remedios Varo, and others. Fini was one of the artists representing that trend. Next, the thesis delineates the backgrounds of Fini, with a focus on how the powerful image of female found in Fini's works came to emerge in her life. We can see that her personal backgrounds in childhood and her association with surrealists and female artists in Paris explain to a great extent how her image of female was formed. In spite of her strong affirmation that she was not a urrealist, the powerful image of female contained in her works undeniably shows that she was influenced by surrealism. Especially, just as a surrealistic integration of life and death, the synthesis of opposite things was depicted in Fini's works as the powerful image of female with both reative and destructive images. A detailed analysis shows the change in the images of female in her works. Early works done in hometown, before she came to Paris, appear to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by Italian pittura metafisica, and do not expose any particular emphasis on the image of women with their own identity. Her early works, however, paid more attention to the image of female than to that of male, and her female images contained the femme fatale with an ingredient of the powerful image of female found in her later works. After Fini started associating with surrealists in Paris, she portrayed in her works mainly women in a powerful image with a beautiful appearance, exclusive of any males. Her works include the positive image of a goddess or a female priest with creative and divine natures, the fearful and destructive image of a sphinx or a sorceress, and the image with a sexual implication of sadism toward men. Such images characterize her works, as clearly distinct from those of male surrealists. The image of female manifested in her works is more powerful than the images included in works of any other female surrealists. Even in a possibly negative image of female, relating to the image of fear and death, Fini succeeded in showing the reviving image, through internalizing the surrealistic dialogue of coupling the opposite subjects. Also in sexual expression, she overcame the boundary of taboo. It is only Fini, among the female artists at the age, that displayed, without restraint, sadistic sexual expressions, which belonged to a forbidden area for women. Thus, by internalizing of surrealist discussions on her own, she could create the powerful and creative image of female, which can entitle her a leading avant-courier among female surrealists. Finally the thesis concludes that Fini conquered in her own way the boundaries of surrealism, which exclaimed human liberation but failed to surmount the male-focused image of fema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초현실주의 미술에 나타난 여성상 = 6 A. 창조성과 신성을 지닌 뮤즈로서의 여성 = 11 B. 공포와 파괴의 힘을 지닌 '팜므 파탈' = 16 III.휘니 작품속의 지배적 여성이미지의 등장 배경 = 20 Iv. 모티브 별로 접근한 지배적 여성 이미지 = 29 A. 창조와 신성의 주체로서의 여성 = 32 1)여신 = 32 2)여사제 = 41 B.공포와 파괴의 수행자로서의 여성 = 45 1)스핑크스 = 45 2)마녀 = 51 V. 결론 = 58 참고문헌 = 61 도판목록 = 68 도판 = 71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906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레오노르 휘니의 작품에 나타난 지배적 여성이미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owerful female images of Leonor Fini-
dc.creator.othernameLee, Moo-Kyoung-
dc.format.pagevii, 90-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