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클럽하우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역할,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Title
클럽하우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역할,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Social Role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participate Clubhouse
Authors
배은미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live well in the community after leaving hospital, and to review how the help of a clubhouse that is one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is related to their living. To this aim, the social role of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who use a clubhous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and the feature of their use of the clubhouse were reviewed. That is, the date of use(number of the date of going to work), period of us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ervice, and awareness on the service environment and social role,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were survey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were researched. The social role of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who use a clubhouse was 2.74 as a result of the study, thus,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were shown to be inactive in playing a social role. When reviewing their social role by sub-area, 55 members who portrayed a role of employee responded to a survey, and the average value was 3.82, which is a higher than 3 that means ‘they played an employee role once a month’ and lower than 4 that means ‘they played an employee role several times a month’. As for their role of independent self, it was 3.41 which is a bit lower score, as it means ‘they played a role of independent self several times a month’. As for their role as a community member, it was proven 2.17 which is relatively very low, as it means ‘they played a community member role several times a year’. As for their sick role, the better it was, the lower the score was. And the score was proven 2.20 which is a quite positive value since this means that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played a sick role ‘several times a year’, which is relatively low.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was proven 2.02, which means the moderat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b-area of satisfaction with life, the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proven the highest, posting 2.24. Then, the satisfac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was the second highest, posting 2.23. The satisfaction with awareness on friend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 and financial condition were proven relatively low, posting 1.78 and 1.83 respectively.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eatures of their use of institutions, social role, and satisfaction with life trough a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 social rol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wareness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ß=-231). When reviewing the relationship by sub-area, the role of independent self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xperience of getting a job(ß= .205), and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wareness on an atmosphere(ß= -.176). Also, the sick rol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eriod of using the organization(ß= .219), and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on in unit works(ß= -.270).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experience of getting a job(ß= -.186), 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unit activities(ß= .179). In the sub-area, friend and interpersonal relation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period of using the organization(ß= -.196), and awareness on an atmosphere(ß= .153)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unit works(ß= .166) were proven to be components that had a positive influence. The degree of clothing, eating, and financial condi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tion in unit works(ß=.234), and the satisfaction with job and daily schedul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xperience of getting a job(ß= -.217), 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unit works(ß= .166). The proposal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experience of getting a job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 independent role of social roles, ye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with job and daily schedule which are sub-areas of satisfaction with life. Since not all members who got a job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survey. However,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getting a job is a stressful experience since they had no such experience before. Therefore, it needs to support them mentally, emotionally, and back them up in actual works. Furthermore, it would be crucial to develop work places where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can work in comfort, as well as tasks that they are willing to do. Second, in term of the type of their job,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was proven higher when they pursued studies. The pursuit of study will be a new opportunity to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who did not complete a regular schools curriculum due to early onset of the symptoms, and also be a preparatory period for getting a better job. If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go onto higher education or they are in the course of receiving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it will be important to actively support them so that they may maintain their study without interruption. Third, the participation in the unit work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general and sub-area, yet, i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social role in general and sick role of sub-area. The clubhouse is featured wi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unit activity of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who are members of the clubhouse as an independent person. It needs to create an atmosphere where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by selecting what they want instead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 dependent manner.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further discuss howpeople with mentally illnes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unit work. Fourth,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live as a member of society instead of living alone just like other people. A social role can be done individually, yet, there are many social roles that need to be done with others. The role of people with mentally illness as a community member was proven relatively low, and it needs to attempt a program that allows them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so that they can play diverse roles in the community.;본 연구의 목적은 퇴원 후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잘 살아가고 있는지, 이들을 돕는 지역사회정신보건 프로그램 중 클럽하우스에서의 도움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클럽하우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 역할과 삶에 대한 만족도가 어떠한지, 기관을 이용하는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즉, 클럽하우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의 이용일수(출근일수), 이용기간, 서비스의 참여정도, 서비스 환경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역할,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각각의 관계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클럽하우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역할은 2.74로 나타나서 사회적 역할을 많이 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역할을 하위영역별로 보면 업무상의 역할의 경우 일을 하였던 회원 55명이 응답을 하였고 평균 3.82로 ‘한달에 한번 한다’의 3점 보다는 높고 ‘한달에 몇 번 한다’의 4점 보다는 약간 낮은 값이었다. 독립된 자신의 역할을 조금 낮아서 3.41로 나와서 이 역시 ‘한달에 몇 번 하는’ 정도로 나왔다. 지역사회일원으로서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많이 낮은 2.17로 나와서 평균적으로 ‘일년에 몇 번 정도한다’고 응답하였다. 환자로서의 역할은 낮은 점수가 좋은 것으로 2.20으로 역시 ‘일년에 몇 번 하는’ 것으로 비교적 적게 하는 것으로 긍정적인 값으로 나왔다. 삶의 만족은 2.02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간정도의 만족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삶의 만족에 대한 하위영역 가운데 가장 만족도가 높은 영역은 주거환경에 대한 삶의 만족도가 2.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신체 및 정신건강에 대한 만족으로 2.23으로 나타났다. 친구 및 대인관계의·식·경제정도 대한 만족이 각각 1.78, 1.83으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분석으로 기관이용특성과 사회적 역할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역할과는 분위기 환경에 대한 인지(ß=-231)와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독립적인 자신의 역할과 취업경험의 유무(ß= .205)와는 정적인 관계가, 분위기인식(ß= -.176)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고, 환자로서의 역할과는 기관이용기간(ß= .219)과는 정적인 관계가, 부서업무참여(ß= -.270)와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과 취업경험 유무(ß= -.186)와는 부적인 관계가, 부서활동에 참여하는 정도(ß= .179)와는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하위영역에서는 친구 및 대인관계에서 기관이용기간(ß= -.196)은 부적인 영향을, 분위기 인식(ß= .153)과 부서업무참여 정도(ß= .166)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의·식·경제정도와는 부서업무 참여(ß=.234)가 정적인 관계에 있었고 직업 및 하루일과에 대한 만족도와는 취업경험의 유무(ß= -.217)가 부적인 영향력이 있었고 부서업무참여 정도(ß= .166)는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으로는 첫째, 취업의 경험이 사회적 역할 중 독립적인 역할에는 정적인 관계이지만 삶의 만족도 중 하위 영역인 직업 및 하루 일과에 대한 만족도에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취업을 한 모든 회원이 설문에 참여한 것이 아니므로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정신장애인들이 취업을 경험하게 되는 것은 해보지 않았던 일을 하게 되는 스트레스 상황이므로 취업을 하는 정신장애인의 심리적, 정서적 및 실제적인 업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서 정신장애인들이 편안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있는 취업장,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업무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둘째, 취업의 유형으로 보면 학업을 하고 있는 경우의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을 하는 것은 초발 연령이 어려 정규 학업을 마치지 못한 정신장애인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며 좀 더 나은 취업을 할 수 있는 준비도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정신장애인들이 학업을 준비하여 상급학교에 진학하거나 정규 학업과정에 있다면 학업을 계속 잘 유지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셋째, 부서업무 참여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과 하위영역에는 긍정적 영향을, 전반적인 사회적 역할과 하위영역 중 중 환자의 역할 영역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클럽하우스의 특징은 회원인 정신장애인이 주체적인 한 사람으로 자발적으로 부서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정신장애인들이 의존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좋아하는 일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업무를 개발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더 정착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정신장애인과 자발적으로 부서업무에 참여할 수 있는 점에 대해 더 함께 논의 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정신장애인은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혼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간다. 사회적 역할은 혼자서 하는 것도 있지만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것도 많다.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하는 역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는데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보다 더 많이 시도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