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이정수-
dc.creator이정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6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2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22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청소년 우울의 선행요인을 알아내기 위한 연구들(Armsden & Greenberg, 1987; Kernis, Greannemann & Mathis, 1991)이 많이 수행되고 있는데 이들 연구들은 자아 존중감을 우울의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보고하였다. 한편, 자아 존중감과 우울은 청소년이 형성한 애착의 질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어( 오송희, 1998; Koback & Screery, 1988) 청소년의 애착이 자아 존중감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임임이 또한 증명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이들 변인들 사이의 단선적인 관계나 상대적 영향력만을 보았다. 따라서 청소년의 어머니 및 또래 애착, 자아 존중감, 우울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많이 없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과 애착간의 구조모형을 가정하여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어머니 및 또래 애착, 자아 존중감의 상대적인 인과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우울, 자아 존중감과 애착간의 구조모형을 설정하였다. 청소년의 어머니 및 또래 애착과 자아 존중감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애착은 자아 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을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형 설정을 통하여 청소년의 애착, 자아 존중감, 우울들의 구조적 관계와 이들 변인들간의 상대적인 인과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아 존중감이 청소년의 어머니 및 또래 애착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463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및 또래 애착 척도, 자아 존중감 척도,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측정 변수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측정 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설정,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한 후 인과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어머니 및 또래 애착과 자아 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어머니 및 또래 애착과 우울, 자아 존중감과 우울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어머니 및 또래 애착, 자아 존중감이 우울을 예측하는 상대적 영향력을 보기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는 또래 애착은 우울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지 못했다. 반면 어머니 애착과 자아 존중감은 우울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어머니 애착, 또래 애착, 자아 존중감, 우울간의 구조적 모형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 애착과 우울 사이를 자아 존중감이 부분 매개하는 모형이 지지되었으며 또래 애착도 자아 존중감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이에 직․간접 효과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어머니 및 또래 애착은 자아 존중감과 우울에 직접효과를 나타내었고 우울에는 자아 존중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나타내었다. 또한 자아 존중감은 우울에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변인들 간의 인과효과를 살펴보면, 어머니 애착, 자아 존중감, 또래 애착의 순으로 인과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의 우울에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 존중감, 또래 애착, 어머니 애착의 순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생각해보면, 자아 존중감이 낮을수록, 어머니와 또래 대한 애착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은 높으며, 이중 자아 존중감이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와 또래에 대한 높은 애착은 직접적으로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지만, 동시에 자아 존중감을 높게 하여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가짐을 알 수 있다.;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four variables mot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It also demonst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self- estee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s established through an individual survey conducted among 463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attending two middle schools located within the Kyung-k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specifically designed that used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Revised Version(IPPA-R), Self-liking/Self-competence Scale-Revised Version(SCLS-R) and Chi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then analyz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causal relationship by AMOS 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Intercorrelations for all variables used as indica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olescent's mother and peer attachment were associated positively with self-esteem and negatively with depression. Also self-esteem were associated negatively with depression. However, in multiple regressio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were not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both adolescent's mother attachment and self-esteem have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2.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was proven that adolescent's mother and peer attachmen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dolescent's mother and peer attachmen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with self-esteem serving as a mediator The total effect on adolescent's depression is most significant in the order of mother attachment,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depression is most significant in the order of self-esteem, mot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lower the adoelscnet's mother and peer attachment, the lower the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depression. Moreover,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high level of adoloscent's mother and peer attachment not only decreases the depression level of an adolescent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does so by increasing his or her self-este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가설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애착 = 4 1. 애착의 개념 = 4 2. 청소년기의 애착 = 6 B. 자아존중감 = 9 C. 우울 = 11 1. 우울의 개념 = 11 2. 청소년기의 우울 = 12 D. 애착, 자아존중감, 그리고 우울간의 관계 = 14 1. 애착과 자아존중감 = 14 2. 애착과 우울 = 16 3. 자아존중감과 우울 = 17 Ⅲ. 연구 방법 = 19 A. 연구 대상 = 19 B. 연구 도구 = 19 1. 부모 애착 측정 도구 = 19 2. 또래 애착 측정 도구 = 21 3.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 = 22 4. 우울 측정 도구 = 23 C. 연구 모형 = 25 D. 연구 절차 = 25 E. 자료 분석 = 26 Ⅳ. 연구 결과 = 27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및 상관 = 27 1. 주요 변인들의 차이 분석 = 27 2. 주요 변인들의 관계 분석 = 28 B. 어머니 애팍, 또래 애착, 자아존중감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 29 1. 구조모형 설정 및 적합도 분석 = 29 2. 구조모형 = 34 3. 모형의 모수추정치 분석 = 35 4. 모형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분석 = 38 Ⅴ. 결론 = 40 A. 결과 요약 및 논의 = 40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1 부록 = 59 영문초록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74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이 중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Mother and Peer Attachment on Adolescent's Depression-
dc.creator.othernameLee, Jeong Soo-
dc.format.pageⅷ, 70-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