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창원-
dc.contributor.author조경하-
dc.creator조경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8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show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laryngeal features in the Korean phoneme classification, to clarify that the laryngeal sound forms one independent category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at the setting of the laryngeal features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relation to the two above. In setting up the function of voice articulation in the laryngeal part, the thought that accurate and actual observations on voice must be the groundwork serves as background. This is because the feature cannot be set temporarily to explain the phonological phenomena but should agree with the existence, and the features should be set to harmonize with physical existence. This thesis sets the laryngeal features based on the natural character criteria of the phoneme: that it be a necessity when distinguishing sounds, the natural class of sound should be reasonable and lastly that the phonological phenomena be appropriately described. This thesis will clarify that laryngeal features form independent areas, some category of sound should be properly classified into laryngeal sound and features as laryngeal feature and laryngeal sound category are related to the phoneme category, by accepting the hypothesis that several features related to each other can form one unit and can be grouped in the functional unit in the upper part. Chapter 2 is information to help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 larynx as the basic task for setting laryngeal features in Korean, that is, the structure of vocal cords and larynx as well as functions of muscles and cartilage acting on adjustment of sound in the larynx, preparing the foundation for setting the laryngeal features. This thesis sets the laryngeal features of Korean based on the theory of Halle & Stevens(1971) who first raised the possibility that laryngeal features can function as an independent category. I took into consideration the size of the glottis in rela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obstruent, then set it as a feature and selected the latter of the acoustic feature and the articulate feature. Difference found in terms of sound was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 in the articulate process. By introducing ‘[spread glottis]’ ‘[constricted glottis]’, laryngeal feature set with glottal width, Lax, Tense and Aspirated are classified. [+spread glottis] was given to abducted sound than neutral position and [+constricted glottis] feature to adducted sound. Since glottis is wide open for aspirate series of Korean, it has [+spread glottis] feature and Tense is adducted of glottis has [+constricted glottis] feature at opening of closure.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tense of Korean only with ‘[spread glottis]’, ‘[constricted glottis]’ proposed based on glottal width. As in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tension of vocal cords work importantly on articulation of the tense sound. It shows [tense] by giving [+stiff vocal cords] to the feature where tightening at the upper and lower end of vocal cords as a different feature to use instead of [tense] which is difficult to define physically. It reflects the tensioning of muscles adjusting and supervising larynx. Since closure duration, frequency or pitch are the features caused by tensioning, not the essential aspects of such sounds, it was not selected. In this case, it may be criticized for inefficiency since 4 features are used for 3 categories of phonemes. However, it is required to have the feature set for 2 standards of tension of vocal cord and size of glottis in order to properly capture the features of closed sound. Features of normal sound, Tense sound and aspirated sound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using the laryngeal features ‘[spread glottis]’, ‘[constricted glottis]’, ‘[stiff vocal cords]’ ‘[slack vocal cords]’ set in this thesis. Chapter 3 sets the laryngeal features and gives phonemic position through observation on vocal features of ‘ㅎ’ and ‘ㆆ’ that can be classified into laryngeal sound in Korean. Review on precedent studies and spectrogram on actual voices were used for observation on phonetic character. Glottis was opened wide during the articulation of ‘ㅎ’ and has no specific articulate position fixed in the mouth. It can be checked through strong noise in the spectrogram when concentrated on the formant frequency of the following vowel. Through this results of this experiment, ‘ㅎ’ was seen as the sound that has only laryngeal node, not the supralaryngeal node. Most researchers consent to separate setting of laryngeal node. It is because of the independence that this feature showed in phonological phenomena. ‘ㅎ’ is indicated [SG] only on laryngeal node and is the category that does not have supralaryngeal node. Category of sound that does not have supralaryngeal node reflecting articulation in the oral cavity was classified as laryngeal sound. In addition, glottal stop ‘?’ was set as phoneme of modern Korean because of the setting of the underlying form of irregular verbs, restructuring trend of dialect, existence in combination relation with aspect of simplicity of grammar description. Since ‘?’ has no articulation on the oral cavity, it does not have any supralaryngeal node, but is the sound that has only the laryngeal node. It is specified as feature of [CG] in that closure of glottis occurs in the articulation. ‘ㅎ(h)’ and ‘ㆆ(?)’ belong to the same laryngeal sound and they form natural class. Forming of natural class by laryngeal sound was supported through example of restructuring into laryngeal sound shown in the dialect and changes of consonant cluster of ㅂ series. Chapter 4 reviewed various kinds of phonemic phenomenon ‘ㅎ’ is engaged in with phonemic position as laryngeal sound classification. It prepared the ways to explain such features with one framework using the laryngeal sound category that laryngeal node has only as well as unique vocal features of ‘ㅎ’, ‘ㅎ’ was classified to have laryngeal node with specified laryngeal features and without supralaryngeal node. Specified feature is [+spread glottis]. Various phonological process should be gone through for ‘ㅎ’ without supralaryngeal node to be realized as a sound. The process of spreading its own laryngeal node and receive supralaryngeal node from adjacent sound is the aspiration. Such aspiration is realized only when it is lax sound, that is, laryngeal node of adjacent sound is not specified. It experiences neutralization when [+SG] feature with 'ㅎ’ cannot be spreaded and cannot obtain licensing from supralaryngeal node since there is no aspirate in the system. Since ‘ㅅ’ and ‘ㄴ’ do not have aspirate in the system when the following constant is ‘ㅅ’ or ‘ㄴ’, the confluence of intersection may not occur. In this case, it receives the position measure of neighboring articulation measure as it remains at the position of syllable coda. As a result of neutralization, since connection line of laryngeal node is deleted, [SG] feature of ‘ㅎ’ cannot be realized at the syllable coda. Chapter 5 critically review precedent studies on tensification of Korean and clarified the mechanism of tensification. It shows that laryngeal features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understanding of phenomenon. On the various causes such as the arguments that tense and aspirated sound show substantially longer closure duration, tense and aspirated sound are not shown as the syllable coda, voicing are not applied between sonorants, process of forming compound words, partial duplication and stress, the hypothesis of regarding Korean tense as overlapped consonant due to the cause shown below. First, such analysis cannot explain the reason, natural and productive process of post-obstruent tensification. It cannot provide any vocal motive of distributing new feature [CG] to the geminate consonant. Second, there is a question whether tense between vowels is regarded as a geminate consonant. Even if this hypothesis is based on the phonetic facts that tense sound between vowels is longer than lax sound, it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e conclusion that tense between vowels is the geminate consonant. Third, hypothesis of geminate consonant can explain the tensification when same consonants continue, bu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tensification that occurs in continuous different consonants. In particular, tense is realized despite [CG] feature cannot be caused since concept of closure duration that increased in neutralized stops and fricatives. This thesis does not consent to the opinion of regarding tensification as the spreading of [constricted glottis] feature. When examining larynx adjustment of syllable coda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larynx fiberscope, glottis is closely opened at the same time of the closure of articulation. When articulation closure is formed there is a close abduction of arytenoid cartilage and it is observed to continue for short period of time. It showed the results that glottal constriction does not accompany closure of syllable final unreleased sound. In this regard, [CG] feature cannot be introduced as a detrimental factor of tensification. Existence of Tense in frictional sound ‘ㅅ’ showing wide glottal width can be also evidence that essence of tensification is not the spreading of [constricted glottis] feature. ‘ㅆ’ shown as a result of tensification is also the sound in which glottis is not adducted. This thesis gives the [+Stiff vocal cords] feature to the syllable final unreleased based on the fact that increase in activity of tyroarytenoid muscles is observed at the time of closure of syllabus coda as a result of electromyogram, the timing and degree of suppression of vocalis activity, degree and time when vocalis activity starts again, and the similarity with the case of ‘syllable final unreleased +syllable onset lax’ or the case of tense of syllable onset. Then, automatic tensification explained that [+Stiff vocal cords] feature of syllable final unreleased is spread to the initial sound of following syllable.;본 연구는 국어의 음소 분류에 후두 자질(Laryngeal Features)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국어에 있어서 후두음이 독자적인 하나의 부류를 이루며, 후두 자질의 설정이 이들이 관여하는 음운 현상의 이해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후두 부위의 조음 작용을 자질로 설정하는 데 있어서 일차적으로 음성에 대한 정확하고 실제적인 관찰에 기초해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자질이 음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실체와 일치해야 하며, 자질들은 물리적인 존재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분절음들을 구별하는 데 꼭 필요한 것이어야 하고, 분절음들의 자연 부류를 정당하게 특징지어 줄 수 있어야 하며, 음운 현상을 합당하게 기술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음운 자질 설정의 기준을 바탕으로 후두 자질을 설정하였다. 여기에 서로 관련이 있는 몇 개의 자질들이 하나의 단위를 형성하여 상위의 기능적 단위로 묶일 수 있다는 가정을 받아들여 후두 자질들이 독자적 영역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이고, 어떤 음의 부류들은 후두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며, 이들이 관여하는 음운 현상에 후두 자질과 후두음 부류로서의 특징이 관여하게 됨을 밝혔다. 2장에서는 국어에 후두 자질을 설정하기 위한 기본 작업으로 후두의 생리적 기능에 대한 이해, 즉 후두의 구조와 성대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고 후두에서의 음의 조절에 작용하는 연골과 근육의 기능을 이해함으로써 후두 자질 설정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후두 자질이 독자적인 부류로 기능할 수 있음을 처음 제기한 Halle & Stevens(1971)의 이론을 바탕으로 국어의 후두 자질을 설정하였다. 성문의 크기가 국어 장애음의 분류에 관여한다고 보아 이를 자질로 설정하였는데 음향적 자질과 조음적 자질 중에 후자를 선택하였다. 음향적으로 드러난 차이는 근본적으로 조음 과정에서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성문의 크기를 기준으로 설정된 후두 자질인 ‘성문 확장성([spread glottis])’과 ‘성문 협착성([constricted glottis])’을 도입하여 평음과 경음, 유기음을 분류하였는데 성대가 중립 위치보다 외전(abduction)된 음에 [+spread glottis]를, 내전(adduction)된 음에 [+constricted glottis] 자질을 부여하였다. 국어의 유기음 계열은 성대가 넓게 열려 있으므로 [+spread glottis] 자질을 가지고, 폐쇄의 개방 시 성문의 내전되는 경음은 [+constricted glottis] 자질을 가진다. 그러나 성문의 크기(성문 열림도)를 기준으로 제안된 ‘[spread glottis]’, ‘[constricted glottis]’만으로 국어의 경음을 설명하기엔 부족함이 있다. 전통적인 분류에서처럼 경음의 조음에는 성대의 긴장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물리적으로 정의하기 어려운 [tense] 대신에 사용할 다른 자질로 성대의 위쪽과 아래쪽 끝부분의 당김이 증가하는 자질에 ‘성대 경직성([+stiff vocal cords])’ 자질을 부여하여 긴장성([tense])을 나타내기로 한다. 후두를 관장하고 조절하는 근육들에 의해 긴장성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것이다. 폐쇄 지속 시간(closure duration)이나 주파수, 피치 등은 긴장성 때문에 야기된 특징이지 이 자체가 이 음들의 본질적인 측면이라고 볼 수는 없기 때문에 택하지 않았다. 이 경우 세 가지 음소의 분류에 4가지 자질을 사용함으로써 대단히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으나 국어의 폐쇄음들의 특징을 적절히 포착하기 위해서는 성문의 크기와 성대의 긴장도라는 두 가지 기준에서 설정된 자질이 꼭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 설정한 후두 자질 ‘[spread glottis]’, ‘[constricted glottis]’, ‘[stiff vocal cords]’ ‘[slack vocal cords]’로 평음과 경음, 유기음의 자질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3장에서는 국어에서 후두음 부류로 묶일 수 있는 ‘ㅎ’과 ‘ㆆ’의 음성적 특징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이들의 후두 자질을 설정하고 음운론적 지위를 부여하였다. 음성적 특징에 대한 관찰에는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와 실제 음성에 대한 스펙트로그램 분석이 이용되었다. ‘ㅎ’은 조음 과정 중에 성문이 넓게 열려 있으며 구강 내에 고정된 특정한 조음 위치를 가지지 않는데 이는 스펙트로그램에 나타나는 강한 기 소음이 후행 모음의 포먼트 주파수 대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실험 결과를 토대로 ‘ㅎ’은 후두 마디(Laryngeal node)만을 가지고 후두 상위마디(Supralaryngeal node)는 가지지 않는 음으로 보았다. 후두 마디를 따로 설정한 것에는 대다수의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는 바인데 그것은 이 자질들이 음운 과정에서 보이는 독자성 때문이다. ‘ㅎ’은 후두 마디에 [SG]만 표기되고, 후두 상위 마디를 가지지 않는 부류이며 구강에서의 조음 작용을 반영하는 후두 상위 마디를 가지지 않는 이러한 음의 부류를 후두음으로 분류하였다. 또, 문법 기술의 간결성이라는 측면과 결합 관계에서의 존재, 방언의 재구조화 경향, 불규칙 동사의 기저형 설정에서의 필요성 등을 이유로 성문 폐쇄음 ‘?’를 현대국어의 음소로 설정하였다. ‘?’는 구강에서의 조음 작용이 없으므로 후두 상위 마디를 가지지 않고 후두 마디만을 가진 음이며 조음 과정에 성문의 폐쇄가 일어난다는 점에서 [CG]의 자질로 명세된다. ‘ㅎ(h)’와 ‘ㆆ(?)’는 동일하게 후두음에 속하며 이들은 자연 부류를 이룬다. 표시(representation)의 측면에서 이 두 음소는 자연 부류의 조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으나 실제 언어 상황에서 후두음 부류로 설정된 ‘ㅎ’과 ‘ㆆ’이 자연 부류를 이룸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필요하다. 이에 언어의 변화 과정에서 ‘ㅎ(h)’과 ‘ㆆ(?)’이 보이는 유기적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중세국어에서 ㅂ계 어두 자음군을 가졌던 단어들이 후대 방언형에 경음 혹은 유기음으로 다르게 남아 있는 예들과 어간의 재구조화 방향이 후두음을 말음으로 가지는 쪽으로 일어나는 여러 방언의 예들을 통해 후두 마디의 존재, 즉 자연 부류로서의 후두음 부류의 존재를 입증하였다. 4장에서는 후두음 부류로 음운론적 지위를 부여받은 ‘ㅎ’이 관여하는 다양한 음운 현상을 검토하였는데 ‘ㅎ’이 가지는 독특한 음성적 특징과 후두 마디만을 가지는 후두음 부류라는 특성으로 이 현상들을 하나의 틀로 아울러서 설명할 수 있는 길을 마련했다. ‘ㅎ’은 후두 자질이 명세된 후두 마디만을 가지고 후두 상위 마디는 가지지 않는 후두음의 부류로 규정되었으며 명세된 자질은 [+spread glottis]이다. 후두 상위 마디를 가지지 않은 ‘ㅎ’이 음성으로 실현되려면 다양한 음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그 자신의 후두 마디를 확산시켜 인접음으로부터 후두 상위 마디를 받는 과정이 바로 유기음화이다. 이 유기음화는 인접음의 후두 마디가 명세되지 않은 경우, 즉 평음일 경우에만 실현되고, 체계 내에 유기음이 존재하지 않아 ‘ㅎ’이 가진 [+SG] 자질이 다음 음절로 확산될 수 없어서 후두상위 마디의 승인을 받을 수 없을 때 중화가 일어난다. 후행 자음이 ‘ㅅ’ 또는 ‘ㄴ’일 때 ‘ㅅ’과 ‘ㄴ’은 체계 내에 유기음을 가지지 않으므로 교점의 합류가 일어날 수 없고 이 경우 음절말음의 위치에 남아 이웃 분절음의 위치 마디를 받게 되는 것이다. 중화의 결과 후두 마디의 연결선은 삭제되므로 음절말에서는 ‘ㅎ’의 [SG] 자질이 실현될 수 없다. 5장에서는 국어의 경음화 현상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경음화 현상의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는데 이 현상의 이해에도 후두 자질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경음과 유기음이 평음보다 현저히 긴 폐쇄지속시간을 보인다는 점, 경음과 유기음이 음절 말음(syllable coda)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공명음 사이에서 유성음화 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 합성어 형성 과정, 부분 중첩, 강세 등 여러 음운 현상의 설명에 효율적이라는 점 등을 이유로 국어의 경음을 중복자음으로 보는 견해는 이 가설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진다고 보아 받아들이지 않는다. 첫째, 이러한 분석은 장애음 뒤 경음화 현상이 음성적으로 자연스럽고 생산적인 과정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 중복자음에 새로운 자질 [CG]를 배당하는 아무런 음성적 동기도 제공하지 못한다. 둘째, 모음 사이의 경음이 중복자음으로 취급되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이 가설이 모음 사이의 경음이 모음 사이의 평음보다 길다고 하는 음성적 사실에 기반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모음 사이의 경음이 중복자음이라는 결론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셋째, 중복자음 가설은 동일 자음의 연속일 때의 경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은 가능하나 서로 다른 자음의 연속에서 일어나는 경음화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특히 중화된 폐쇄음과 마찰음의 연속에서는 늘어난 폐쇄 지속 시간이라는 개념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CG] 자질을 유발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경음화가 실현된다는 점이다. 경음화 현상을 ‘성문 협착성([constricted glottis])’ 자질의 확산으로 보는 견해에 대해서도 동의하지 않는다. 후두 내시경 관찰 결과 음절말 미파음의 후두 조절을 살펴보면 조음 폐쇄와 거의 동시에 성문이 근소하게 열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음 폐쇄가 형성되면 바로 피열 연골(披裂軟骨)의 근소한 외전이 있고 그것이 단시간 지속됨이 관찰되는데 이는 음절말 미파 폐쇄음에 성문 폐쇄가 동반되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기에 경음화의 결정적 인자로 [CG] 자질을 도입할 수는 없다. 넓은 성문 열림도를 보여주는 마찰음 ‘ㅅ’에 경음이 존재하는 것도 경음화의 본질이 [constricted glottis] 자질의 확산이 아니라는 증거가 될 수 있다. 경음화의 결과로 나타난 ‘ㅆ’도 성문이 내전되지 않은 음이다. 본고는 근전도 측정 결과 음절말 미파음의 폐쇄 시점에서 갑상피열근의 활동 증가가 측정된 점, 성대근의 활동 억제의 정도와 시점, 그리고 성대근의 활동이 다시 시작되는 정도와 시점도 ‘음절말 폐쇄음+평음’ 연쇄의 경우와 음절초 경음의 경우가 유사한 점 등을 근거로 음절말 미파음에 ‘성대 경직성([+Stiff vocal cords])’ 자질을 부여하였다. 그러면 자동적 경음화 현상은 음절말 미파음이 가진 [+Stiff vocal cords] 자질이 후행 음절의 초성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사 = 3 C. 이론적 배경 = 7 D. 논의의 구성 = 14 Ⅱ. 국어의 후두 자질 = 15 A. 후두 자질 = 15 1. 후두의 기능과 생리적 특성 = 15 2. 후두 자질의 이해 = 22 B. 장애음의 분류와 후두 자질 = 33 1. 후두 자질 설정의 필요성 = 33 2. 장애음의 음성적 특성 = 39 3. 국어를 위한 후두 자질의 제안 = 52 Ⅲ. 후두음의 음성학과 음운론 = 62 A. ‘ㅎ(h)’의 음성학과 음운론 = 62 1. ‘ㅎ(h)’의 음성적 특징 = 62 2. ‘ㅎ(h)’의 음운론적 지위 = 76 B. ‘ㆆ(?)’의 음성학과 음운론 = 92 1. ‘ㆆ(?)’의 음성적 특징 = 92 2. ‘ㆆ(?)’의 음운론적 지위 = 95 C. 후두음과 자연 부류 = 106 1. ㅂ계 어두 자음군의 변화 방향과 후두음 = 106 2. 재구조화의 유형 = 116 Ⅳ. [성문 확장성(Spread Glottis)] 자질과 음운 현상 = 126 A. 약화ㆍ탈락 = 128 B. 중화 = 137 C. 유기음화 = 144 1. 유기음화의 환경 = 144 2. 유기음화 규칙 = 149 Ⅴ. [성대 경직성(Stiff Vocal Cords)] 자질과 음운 현상 = 158 A. 미파화와 후두 자질 = 158 1. 중화와 미파화 = 158 2. 음절말 미파음의 후두 자질 = 170 B. 자동적 경음화 = 181 1. 경음화와 ‘성문 협착성[Constricted Glottis]’ 자질 = 184 2. 중복자음 가설의 검토 = 189 3. 경음화 현상의 기술과 규칙 = 194 C. 비자동적 경음화 = 201 1. 용언 어간말 비음 뒤 = 201 2. 관형사형 어미 ‘-ㄹ’ 뒤 = 205 3. 사잇소리 = 212 Ⅵ. 결론 = 229 참고문헌 = 235 Abstract = 2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925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어의 후두 자질과 음운 현상-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aryngeal Features and the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in Korean-
dc.creator.othernameCho, Kyung-ha-
dc.format.pageⅸ, 254-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