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봉희-
dc.contributor.author임정은-
dc.creator임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02-
dc.description.abstract『備邊司謄錄』은 조선시대 備邊司라는 기구에서 그들의 회의 내용을 기록한 사료로서 『朝鮮王朝實錄』 편찬에 1차 사료로 이용이 된 가치 있는 사료이다. 이 사료에는 備邊司에서 행한 모든 직무 사항에 대한 내용들이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를 통해 조선 중, 후기의 군사업무를 비롯하여 정치, 경제, 행정, 외교 등 다양한 정황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備邊司謄錄』의 편찬 배경과 형태, 그리고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고, 『朝鮮王朝實錄』과의 기사 비교를 통해 『備邊司謄錄』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備邊司謄錄』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備邊司謄錄』은 備邊司에서 개최한 籌坐와 궁에 입궐하여 개최한 賓坐의 회의에서 낭청이 입회하여 매일의 회의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여기에는 회의 내용뿐만 아니라 업무 처리 및 보고, 왕이 下敎한 내용들을 모두 기재하였다. 현재 규장각에 光海君 9年(1617)부터 高宗 29年(1892)까지 276年間의 筆寫本 謄錄 총 273冊이 소장되어 있다. 그 형태를 보면, 보통 44×31.4㎝의 크기로, 그 분량은 1년에 한 책을 기본으로 책 당 평균 150장 정도이다. 서명은 ‘備局’, ‘備局 上’, ‘備邊司’, ‘備邊司 上’, ‘政府 上’ 등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단지 책 표지에만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필사본임에도 불구하고 界線과 魚尾가 존재하였으며, 版心에는 冊題나 冊數 표시 없이 어미만 간략히 기재되어 있다. 둘째, 『備邊司謄錄』의 체제는 크게 座目과 記事로 구성되어 있다. 좌목에는 備邊司를 구성하고 있는 관원들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목록을 통해 집권 세력의 변화 등 시대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좌목 다음에 실리는 기사의 경우 備邊司의 모든 회의, 업무 내용을 기재하여 『謄錄類抄』, 『萬機要覽』, 『高宗實錄』 등 세 사료에서 언급한 備邊司의 직무보다 備邊司의 업무 사항을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기사는 기재방식에 있어 기사의 날짜와 기사 내용상의 날짜가 일치하지 않으며, 중요한 사건에 대해서는 그 기사가 반복적으로 기재되고, 또한 기사 내용에는 회의에서 논해진 事目, 節目, 別單이 수록되어 있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셋째, 光海君代와 肅宗代의 『備邊司謄錄』의 기사를 『朝鮮王朝實錄』의 기사와 특정사건을 통해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朝鮮王朝實錄』에만 기재되어 있는 고유 기사는 왕실과 관련 된 정치적인 내용이며, 『備邊司謄錄』의 경우에는 군사적인 업무 내용을 비롯하여 무역과 재정 관련 기사들이 고유 기사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사료의 공통기사로는 그 시대의 중대 사안으로 徵兵이나 良役變通 등의 기사가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공통 기사를 통해 『備邊司謄錄』이 『朝鮮王朝實錄』 작성 시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시대마다 이용 된 부분이 다르게 나타났다. 光海君代의 경우 군사적인 전문 기관으로서 備邊司에서 의견을 제시한 부분에 있어서는 그들의 의견이 그대로 『朝鮮王朝實錄』에 기재되었으며, 肅宗代의 경우에는 備邊司의 업무가 증가함에 따라 두 사료의 공통 기사가 증가하였지만, 이 공통 기사가 모두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備邊司謄錄』의 내용이 『朝鮮王朝實錄』에 요약되어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기사 비교를 통해 『備邊司謄錄』의 사료적 가치를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備邊司謄錄』은 『朝鮮王朝實錄』에 비해 재정이나 무역 등과 같이 조선시대의 사회․경제적인 내용이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조선시대의 사회상을 살펴보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공통기사를 통해 한 사료에 자세히 나와 있는 부분은 다른 한 사료에는 요약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사건에 대한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두 사료를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備邊司謄錄』은 후대에 어떠한 수정, 보완 작업도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객관성과 진실성이 뛰어난 사료라고 할 수 있다.;The Bibyeonsa-Deungnok(備邊司謄錄) is the records of the Bibyeonsa Defense Council, a government agency during the Joseon Dynasty. It's used to compile the Joseo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the major official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e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the journals of the Royal Secretariat, and the Ilseongnok(日省錄), the daily reflection of the king. The Bibyeonsa-Deungnok encompasses details related to national politics, public administration, the economy, international trade, the military, and events of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ations, general structures, and major contents, to compare with the contents of the Joseonwangjo-sillok in order to ascertain the value of the Bibyeonsa-Deungnok.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Bibyeonsa-Deungnok was written in the daily meeting held in the Jujwa(籌坐), the Bibyonsa and the Binjwa(賓坐), the Royal Palace. It contains meeting minutes and archives, with particular focus on orders and decrees by the king. These records are currently preserved in Gyujanggak and amount to 273 hand-written books spanning a 276-year period from 1617(the ninth year of King Gwanghaegun’s reign) to 1892(the twenty-nin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One year’s records of the Bibyeonsa-Deungnok are over 150 pages on average and measures 44 cm by 31.4 cm. Titles of the Deungnok vary. There are gyeseon(界線) and eomi(魚尾) in spite of manuscripts. The Pansim(版心) folded part of paper is simple, as there are no titles or volume numbers. Second, the Bibyeonsa-Deungnok is composed of the Jwamok(座目) and the Gisa(記事). The Jwamok(座目) is a list of official and, as such, indicates changes of the party in power. The Gisa(記事) accounts daily meeting minutes and archives of the Bibyeonsa. Meanwhile, job specifications of Bibyeonsa are mentioned in the Deungnogyucho(謄錄類抄), the Mangiyoram(萬機要覽), and the Gojongsillok(高宗實錄). but the actual contents of Bibyeonsa-Deungnok include more than just job descriptions. The Gisa has three characteristics: (1) different date between each Gisa and the contents, (2) repetition of Gisa for important subjects, and (3) special list, such as the Samok(事目), the Jeolmok(節目), and the Byeoldan(別單), which are types of provisions decided in each meeting.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s between the Bibyeonsa- Deungnok and the Joseonwangjo-sillok during the Gwanghaegun period (1617~1618) and the Sukjong period(1674∼1720), it can be observed the following. Unique contents recorded in the Joseonwangjo-sillok are only political accidents related to the Royal Families. on the other hand, the Bibyeonsa- Deungnok includes only domestic and foreign trade, finance and the military. In the common contents, the Jingbyeong(徵兵) and the Yangyeok-byeontong(良役變通) list important cases of the times. The Bibyeonsa-Deungnok is able to confirm the factors used in the editing of the Joseonwangjo-sillok through these common contents. During the Gwanghaegun period, the common contents recorded in the Deungnok appeared as it is to a true record in the Joseonwangjo-sillok, and during the Sukjong period, common contents increased as works of the Bibyonsa increased, but contents of the Deungnok were summarized in the Joseonwangjo-Sillok, The factors used in the editing of the Joseonwangjo-sillok here, are opinions that the Bibyonsa presented as a special organization for the military. Through these analyses of the Bibyeonsa-Deungnok, we find the Deungnok to be more specific regarding social and economic events than the Sillok, and the information got from common contents is different even though they were recorded in same meeting, so when looking to analyze all aspects of an event, both materials can be exami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C. 선행연구 = 6 II.『備邊司謄錄』의 편찬 배경 = 9 A. 편찬기관 = 9 B. 편찬과정과 목적 = 12 Ⅲ.『備邊司謄錄』의 분석 = 17 A. 형태 = 17 B. 체제와 내용 = 26 Ⅳ.『朝鮮王朝實錄』과의 비교 = 60 A. 광해군대의 기사비교 = 61 B. 숙종대의 기사비교 = 85 C. 사료적 가치 = 113 Ⅴ. 결론 = 118 참고문헌 = 124 ABSTRACT =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266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備邊司謄錄의 書誌學的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Bibyonsa-Deungnok(備邊司謄錄)-
dc.creator.othernameLim, Jung Eun-
dc.format.pageⅵ, 130-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