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서주연-
dc.creator서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18-
dc.description.abstractAs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fleeing to South Korea have been increasing sharply, it seems that their social adaptation have been focused in academic ways of approaching the matter. However, among previous studies on the issues of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re have not been any approaches related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caused by their past traumatic experience. So,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coming into Korean society with still having the traumatic events and past experience - arrest, chase, torture, violence, rape - that they have experienced as the whole process of escaping the home country, it is mostly needed to cover from PTSD to their successful adaptation in South Korea. Thus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PTS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alyzing the different level of social adaptation caused by PTSD. Additionally, it is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cluding such as demographic matters(sex, age, offi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family, job, incom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financial situation), individual background in North Korea(education, past-residence in Pyung-yang) and characteristics about how they entered into this country(the length of staying in foreign country and in South Korea). With the result of these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 effective back-up system for successful social adaptation as an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view. The target group of this study is North Korean defectors above the age of 18 and have been staying in South Korea at least 3 months after protection period from government since 1990.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irect contact with an organization caring and serv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it took thirteen days, from the 1st of April to the 30th of that month, year 2006. 145 survey papers were collected among 150 and 133 answ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non-responded and insincere answers. The major concept of this study was measured by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 and 'Traumatic Symptoms Scale'. For the analysis, SPSS-Win 12.0 was used and some other tests such as reliability test, technology test, frequency test, t-test, ANOVA, correlation test and recurrence test were effectively applied.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ly, the average of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 level was somewhat low, 35.47. Among the subordinate items, the average of 'family seeking behavior' and 'difficulties in coping with resource' were relatively low, 1.47 and 1.13 respectively. And such items as 'gregariousness', 'relationship seeking behavior', 'external relationship appreciation', 'social compliance' and ' vainness' rated over 2.00, which were quite high. Secondly, the average of symptom level of PTSD was 39.14, ranging from 17 to 59. It seems lower than the average from the previous analysis(Kyungsook-choi, 2002), however, it is a lot higher than the average among non-PTSD groups. Thirdly, as a result of being measured by PTSD scale, 45.1% was PTSD danger group and 54.9% was PTSD non-danger group among the entire North Korean defectors, so, almost half of the candidates were open to the threat of PTSD. Besides, the result that the social adaptation level of PTSD danger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non-danger group suggests clos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PTSD. Finally, the factors which affect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 were sex, job, satisfaction level of financial situation and PTSD symptom level, and especially PTSD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of their social adaptation. To sum up, these results imply PTSD can b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daptation in the South Korea to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some idea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it is needed to systemize mental health care institution when they first arrive in South Korean society. At the first stage of being in a new environment, they need a help from mental health care team including psychiatrist, social welfare expert, counselor, governmental officer who can effectively and immediately cope with mental problems they might have in South Korea. So, the expert team should be settled as an initial organization for supporting social adaptation. Secondly, an afterward caring system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a local community.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mental health care team and run the organization continuously, afterward caring system is important for practically managing their mental problems in real local community. Thirdly, as a foundation fo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t is needed to build an organizational system in cooperation with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groups. The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not only depending on the existing physical support but also psycho-social basis, because it ranges so widely that the government cannot solve the matter by themselves. Finally, diversified approaches should be made to induce social concerns on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ir hardships in adapting South Korean society. For instance, through various media and the press, making campaign for sharing the problems and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ducing participation of government and private is strongly recommended. In addition, it is needed to approach the problem more in a positive way rather than showing negative aspects of their life such as focusing on female workers in the sex trade. From now on, the following studies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table and generalized sources for research, complementation of cross-section analysis, in-depth approach of traumatic symptoms and varied types of North Korean defectors groups. Therefore, continuous concerns and academic studies should be made to successfully arrange and settl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the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is society.;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입국 증가와 더불어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내에서의 적응 문제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사회연계망의 재구조화로 인한 대인관계 측면의 어려움, 경제적 차원에서의 어려움, 심리적인 측면의 어려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이들이 남한으로 입국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외상적 사건의 영향은 남한 입국 이후의 성공적인 적응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과거 경험, 즉 식량난, 폭력에의 노출, 탈출 등의 파국적인 상황은 외상적 사건으로 볼 수 있으며, 그대로 방치될 경우 외상후스트레스로 이어져 향후 남한사회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현행 북한이탈주민 정착과정에서의 정부 지원은 물질적․제도적 지원이 중심이 되어 왔으며,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을 다룬 기존 연구 역시 대부분이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실태, 현황, 문제 파악이나 적응․부적응 요인 등에 관한 기초적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사회적응에 관한 탐색적 차원의 연구로서 이들의 적응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정도를 살펴보고, 둘째, PTSD 위험군 여부에 따른 사회적응의 차이를 비교ㆍ분석하며, 셋째, PTSD 증상수준을 중심으로 배경변인을 포함한 주요변수들이 이들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입국시기를 기준으로 1990년 이후 남한으로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정부의 보호관리 과정이 끝난 이후 남한 사회에서 생활한 기간이 최소한 3개월 이상인 18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눈덩이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선정된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6년 4월 1일에서 4월 30일까지 30일 간에 걸쳐 북한이탈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에 직접 접촉하여 사전 동의를 얻어 진행하였으며, 133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전반적인 사회적응 정도가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 항목에서는 ‘가족관계 추구 행위’와 ‘자원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사교성’, ‘관계 추구 행위’, ‘외적 관계에 대한 평가’, ‘사회 적응도’, ‘외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등의 항목은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PTSD 증상수준의 평균은 39.14로 최소 17점에서 최대 59점까지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에 따라 PTSD 위험군 여부를 파악한 결과, 전체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45.1%가 PTSD 위험군으로, 54.9%가 PTSD 비위험군으로 나타나 조사대상 중 절반에 가까운 인구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PTSD 위험군 여부에 따른 사회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PTSD 위험군이 PTSD 비위험군에 비해 사회적응 정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PTSD가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직업유무, 경제상태만족도, PTSD 증상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TSD 증상수준이 다른 변수에 비해 남한사회 적응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남한사회 적응에 PTSD 증상수준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을 위한 입국 초기 정신건강 개입체계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사후관리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을 위한 기반으로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공동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과 이들의 사회적응 문제에 대한 사회 내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후속 연구는 안정적이고 일반화된 자료의 확보, 횡단적 분석에 대한 보완, 외상적 경험에 대한 심층적 접근의 한계 보완, 다양화되는 북한이탈주민 집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을 위한 전문적인 개입체계가 마련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 5 C. 연구의 의의와 한계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및 현황 = 8 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 8 2.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특성 = 9 3. 북한이탈주민의 탈북 경로 및 관련 체계 = 12 4.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 14 1) 정착단계별 과정과 지원제도 = 14 2) 북한이탈주민 지원단체의 활동 = 20 3) 현행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의 문제점 = 23 B.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 25 1. 적응의 개념 = 25 2. 적응 이론 : 태도변용에 관한 기능이론의 적용 = 28 1) 태도변용이론 = 28 2) 태도변용에 관한 기능이론과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 29 3.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에 관한 선행연구 = 33 1) 적응실태에 관한 연구 = 33 2) 적응의 측면을 세분화한 연구 = 34 3)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35 C.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 37 1. 외상(trauma)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의 개념 = 37 2.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적응에 관한 선행연구 = 39 Ⅲ. 연구방법 = 42 A. 조사대상 및 표본추출 = 42 B.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42 C. 연구도구 = 43 1. 사회적응 척도 = 43 2.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척도 = 45 3. 일반적 배경변인 = 47 D. 자료처리 및 통계 분석 = 49 Ⅳ. 연구 결과 = 50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50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50 2. 조사대상자의 북한 내 사회경제적 배경 = 56 3. 조사대상자의 입국관련 특성 = 58 B.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 61 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정도 = 61 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수준 = 64 C. 북한이탈주민의 특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 = 66 1. 북한이탈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 = 66 2. 북한 내 사회경제적 배경과 사회적응과의 관계 = 71 3. 입국관련 특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 = 72 4. PTSD 위험군 여부와 사회적응과의 관계 = 74 D.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 76 E.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9 1. 북한이탈주민의 PTSD 증상수준의 사회적응에 대한 영향 = 79 2.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회귀분석 = 80 Ⅴ. 결론 = 83 A. 연구결과의 요약 = 83 B. 함의 = 86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91 참고문헌 = 93 부록 1(설문지) = 101 부록 2(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진단기준) = 111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87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ocial Adaptation-
dc.creator.othernameSeo, Ju-yun-
dc.format.pageⅹ, 11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