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조수민-
dc.creator조수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8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888-
dc.description.abstract사회복지사는 일차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내면화한다. 특히, 학교 교육 중 실습 경험을 통하여 전문가로서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실습이 중요한 하나의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둘의 관계성을 밝히고자 한 연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며 그 둘의 관계성을 밝히고자 한 연구에서들도 실습의 주요 요인 중 그 일부만을 변수로 선정하여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성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습경험이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 획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하는 것과 더불어 구체적으로 실습의 주요 요인들이라고 밝혀지고 있는 수퍼비전 요인, 실습 기관 요인, 수퍼바이지 개인 요인, 학교 요인들과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 획득과의 관계성 여부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실습 교육에 있어서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질문은 첫째,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실습 요인과 학생들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학생들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실습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실습을 마친 학부생 중 임의표본추출을 통해 선정된 22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13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종합적 결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 정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요인에 대한 결과는 수퍼바이저와의 관계, 수퍼비전, 기관 만족도,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 모두 중간 수준으로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실습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 및 전공에 대한 학생과 부모님의 만족도 모두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기관 실습 수퍼바이저로부터 받는 수퍼비전 정도, 수퍼바이저와 실습생간의 관계, 기관 만족도,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 역시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과 중간 수준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실습 관련 요인 중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습 시기와 부모님의 전공만족도, 그 외에 실습 과제에 대한 충실 정도, 수퍼바이저로부터 받은 수퍼비전 정도 그리고 수퍼비전의 정규성 여부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지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인 실습 경험과 학생들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 혼란과의 관련성을 밝혔다. 둘째, 학생들이 정체성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습 교육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실습 지도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기관을 학생들이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와 수퍼비전 시간, 지도 내용, 과제 등에 관한 학생과 수퍼바이저간의 실습 계약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실습 교육에 있어서 수퍼바이저의 역할뿐만 아니라 기관 및 학교의 역할 분담도 중요하다. 다섯째, 실습 전에 학교에서 학생들의 실습 준비 상태에 대한 상담 및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Social workers internaliz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primarily through school education. Especially, through experience in practice education, they could understand, accept, and develop the professionalism in social work. Despite practic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attaining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ven if this type of research exists, only part of variables in practice was included in order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practice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Thu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isclose crucial factor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practice education, by explor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achieve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factors of supervision, practice institution, individual factor of supervisee, and school. Furtherm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ractice experience affected student?fs professional identity. Main study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of students who have practice experience? Secon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practice factors and students?f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Third, what is main practice factor significantly influencing on students?f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222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do and they completed their practice course. The method used wa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and data obtained from 136 studen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of students who have practice experience was found to be low. In the results of practice factors, students, in general, were seen to experience moderat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ractice, in all factors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ee, supervision, satisfaction with practice institu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practice course. Second, student?fs attitude in practic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and parents with their major was see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In addition, the level of supervision from supervisee of institution practice, the relation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satisfaction with practice institu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practice course were see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at the moderate level. Third, of factors relating practice, factors influencing significantly on students?f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were found to be period of practice, parent?f satisfaction level with major, along with faithfulness to practice assignment, the degree of supervision form supervisee, and regularity of supervision. Practical implication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students?f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confusion and negative practice experiences. Second, in order to minimize students?f social work professional identity confusion, it is required to present alternative measures to overcome it, as well as to improve their practice settings. Third, it pointed out that systems for students to select capable institution for practice by themselves and contracts of practice to set supervision time, instruction, and assignment are required. Fourth, it pointed out that roles of institution and school, as well as a role of supervisor in practice education are important. Fifth, it presented that school needs to provide students with consultation and education addressing student?f preparedness for practice before participating in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제 1장 서론 = 1 제 1절 문제제기 = 1 제 2절 연구목적 = 3 제 3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5 1. 연구의 의의 = 5 2. 연구의 한계 = 5 제 2장 문헌고찰 = 6 제 1절 전문직 정체성 = 6 1. 전문직 = 6 2. 정체성의 개념 = 8 3. 사회복지에서의 전문직 정체성 = 9 1) 사회복지에서의 전문직 정체성의 개념 = 9 2) 학생들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1 제 2절 사회복지 실습 = 12 1. 사회복지 실습의 개념 = 12 2. 실습 교육의 목적 = 12 3. 실습의 주요 구성 요인 = 15 1) 개인 요인 = 15 2) 수퍼비젼 요인 = 16 3) 기관 요인 = 22 4) 학교 요인 = 23 제 3절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과 실습 요인의 관계성 = 24 제 3장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 27 제 1절 연구모형 및 가설 = 27 1. 연구 모형 = 27 2. 연구 질문 = 28 제 2절 연구방법 = 29 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29 2. 연구절차 = 29 3. 측정도구 = 29 4. 척도의 신뢰도 검증 = 32 5. 분석방법 = 33 제 4장 연구결과 및 해석 = 34 제 1절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34 1. 실습생의 일반적인 특성 = 34 2. 실습 수퍼바이저 및 수퍼비전의 일반적 특성 = 38 3. 학교 실습수업 및 실습 교수와 관련된 일반적 특성 = 40 제 2절 실습요인 및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의 기술 분석결과 = 42 제 3절 실습 요인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 = 45 제 4절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회귀분석 = 47 제 5장 결론 및 제언 = 52 제 1절 연구 결과 및 함의 = 52 제 2절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55 참고문헌 = 57 부록 1. 독립변수들간의 상관관계 = 63 부록 2. 설문지 = 64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14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실습경험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ractice education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identify of social work among students-
dc.creator.othernameCho, Soo-Min-
dc.format.pagev, 79-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