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김민경-
dc.creator김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8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873-
dc.description.abstract아동학대는 아동의 전 생애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이를 신속히 발견하고 개입하는 것은 아동의 건강한 발달과 전 생애에 매우 중요하다. 2000년 7월 개정된 아동복지법에서는 신고의무자의 규정을 두어, 직무상 아동이 학대받은 것을 알게 된 때에는 즉시 아동보호전문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초·중등교원은 아동학대 발견 시, 신고를 해야 할 의무가 있는 신고의무자로 아동들이 가정 이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에 있는 학대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개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 활성화 및 인식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의 행위 및 신고에 대한 인식, 교사의 아동학대 발견 경험에 대해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의 16개의 중학교 교사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지역적 균형을 위해 서울을 11개의 지역청으로 나눈 후, 각 지역청별로 한 개의 학교를 임의 표집 하였고, 그 중 5개의 지역청은 2개의 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총 16학교에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총 415부의 설문지를 배부한 후, 350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대상과 목적에 맞지 않는 설문지 6부를 제외하고 총 344부의 응답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들은 아동학대의 행위에 대하여 매우 높은 수준의 인식수중을 가지고 있었다. 구체적인 학대의 행위에서는,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행위를 가하는 신체적 학대와 성적 학대의 유형이 정서적학대나 방임, 훈육에 비해 인식수준이 높았다. 둘째, 중학교 교사 중 본인이 신고의무자임을 알고 있는 교사는 47.4%로 절반도 되지 않았지만, 신고의무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아동학대를 신고한 신고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체 응답자의 1.7%로 나타났다. 아동학대를 발견했을 때, 신고할 수 있는 기관을 알고 있는 교사도 전체 응답자의 32.0%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교사가 또한 아동학대를 발견했을 때, 신고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39.2%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신고의무자임을 알고 있는 교사는 절반도 되지 않아 기본적인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신고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응답자의 39.2%가 신고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인식을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아동학대를 발견하고 신고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학교 교사가 본인이 신고의무자임을 알지 못하고, 신고를 할 수 있는 기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 그리고 신고의 필요성을 심각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동에게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현상으로 이를 해결하기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셋째, 중학교 교사 중, 아동학대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교사는 전체 4.1%로, 소수의 교사만이 교육에 참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의 기회가 없어서 교육에 참석하지 못한 응답자가 44.7%로 조사되었지만, 교육을 받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교육을 받지 않은 응답자도 14.3%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교육에 대하여 평균 이하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교육의 욕구도 평균이하로 낮았다. 지난 일 년 동안 응답한 중학교 교사 중 9.0%만 학대받은 아동을 발견한 경험이 있어, 학대를 발견하는 비율이 통계보다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교사에 대한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은 아동학대 사례의 발견과 신고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훈련으로 중학교 교사들은 반드시 기본적인 지식의 습득을 위해 교육을 받아야한다. 중학교 교사들이 정규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아동학대의 발견율도 발생비율보다 매우 낮은데 이는 아동학대의 신고에 대한 인식의 부재와 교육의 부재가 아동학대를 발견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중학교 교사는 아동학대의 행위에 관해서는 매우 높은 인식을 가진 반면, 신고의무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교사가 많았다. 또한 신고를 해본 경험이 있는 교사도 매우 소수였으며, 신고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낮은 인식을 보였다. 대부분의 교사가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들이 신고의무에 대하여 심각하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적 배경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시급히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이 신고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수 있는 정책적 법안을 입안하려는 노력 역시 매우 필요하다. 이밖에 전문적으로 아동학대의 신고와 개입에 관여할 수 있는 학교사회사업가의 배치와 교사에 대한 교육과 아동에 대한 서비스를 줄 수 있는 아동학대전문기관의 증설 역시 매우 시급히 해결해야할 것이다.;Child abuse makes a huge impact on a child’s entire life. Being concerned about solving this problem, reporting to authorities and intervening are essential issues. However; Korean families have not given significant attention to this issue because Child abuse has not been considered a serious domestic crime. Korea modified the law for child abuse in 2000. According to the Child Welfare Law, the staffs of Middle schools have an obligation to report Child abuse. They have to report immediately to the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 or a police officer when the child abuse case has been discovered. Middle school teachers may have higher possibilities of early detection of child abuse since school is public place where children most likely spend their daytim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activating the child abuse report by surveying the recognition of child abuse, and the obligatory reports from middle school teachers. Considering about all the regions being covered, Seoul is divided into 11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ccording to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ne school has been chosen from each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5 of the regions have two schools. Three hundred and fifty out of 415 replies were returned from 16 middle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behaviors of child abuse is significantly high. Especially, the teachers have highly recognized physical and sexual abuse. However, understandings of emotional abuse, neglect and discipline were relatively lower than direct abuse such as physical and sexual abuse. Secondly, it shows that 47.4% of middle school teachers are aware that they are the obligatory reporters for child abuse. But most of them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obligatory reporting system. Of middle school teachers, 1.4% of middle school teachers had actual experiences of reporting child abuse. Middle school teachers also do not think it is quite necessary to report when they have the abused case. Thirdly, the majority of middle school teachers have never been educated about child abuse and their obligation to report child abuse. Only 4.1% teachers have been professionally educated about child abuse; the major cause of this lack is that most teachers do no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access this education. Also they didn't realize that they need to be trained for both finding the abused child and reporting. In the middle schools, 9.0%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have detected child abuse in the past one year, but only 3.2% of detectors have reported. In conclusion, although the majority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have a positive consideration when they are facing child abuse, but taking action about it has barely happened. Nearly half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have the recognition that they are the obligatory reporter. Most of middle school teachers haven’t had a chance to be trained about child abu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6 Ⅱ. 이론적 배경 = 7 1. 아동학대의 고찰 = 7 2. 중학교 연령 아동의 발달적 특성 = 25 3.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 30 Ⅲ. 연구방법 = 33 1. 연구대상 = 33 2. 자료수집 방법 = 35 3. 연구 질문 = 36 4. 조사도구 = 37 Ⅳ. 연구결과 = 40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 40 2. 중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 = 45 3. 중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무에 대한 이해 = 50 4. 중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 경험 = 60 5. 중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관련 교육 = 63 6. 중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사례 발견 경험 = 69 Ⅴ. 결론 = 71 1. 연구결과 요약 = 71 2. 실천적 함의 = 76 3. 연구의 한계 = 82 4.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83 참고문헌 = 84 부록<설문지> = 94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50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hild Abuse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dc.creator.othernameKim, Min-Kyeong-
dc.format.pageⅵ, 105-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