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포털사이트의 음악분야 디렉토리 설계에 관한 연구

Title
포털사이트의 음악분야 디렉토리 설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sign of Directory for Music in Portal Sites
Authors
윤혜선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directory of music in portal sites. This directory which comes from comparing web resources can improve retrieval efficiency. This paper consists of the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portal sites. The literature research included the definition, features and the value of web resources as library collection. Concepts of the portal sites, factors and utility of the directory of portal sites were analyzed. The idea of literature classification(KDC and DDC) was applied to the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development in music part. The most portal sites currently in common use offer indeed music as middle ranked items in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but do not systematically organize information. Also, following not the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eory, but the casual class structure for the most part, the portal sites do not provide users with any satisfactory search resul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esirable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of portal sites which connect upper and lower relations among subjects by classifying systematically numerous web resources, and which enable users to find the very wanted materials without any unnecessary effort by collecting relevant subject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es and analysis with portal sites were performed. First, literature researches made it possible to describe theoretical background by investigating previous researches and to examine web resources's principles, characteristics, and value as library resources and to examine directory's characteristics and usefulnes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lacks logicalness compared to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cheme, having itself based on the interest of people who need information of the related fields.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to solve the problems and limit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rules. First, in principle, the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is designed within the range of high and middle classified items, considering the changes in web environment and music. Second, the developments in science or knowledge should be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As new facts are constantly discovered and disappeared in music, classified item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fully such changes. Third, the developments of new terms or media should be fully allowed for. Fourth, in consideration of specialty in web environment, the classification scheme should be designed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appearance of terms or media never consider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classification scheme. Based upon those design rules, the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for music is proposed. The eleven items of , , , , , , , , , , are developed as high ranked. As the first highly ranked item, including generality of music is selected. The second and third items are respectively , , in accordance with literature classification scheme. In the items like , , , , , , , their subitems are selected centering around those shown in portal sites. The middle ranked item is arranged in a alphabetical order. If the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for music is improved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users are expected to effectively search music-related information. Accordingly, a study of classification scheme of web resources and directory classification scheme of portal sites must be kept up.;방대한 웹정보원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쉽고 정확하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포털사이트에서도 검색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모든 분야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류하기 때문에 특정분야의 전문검색을 원하는 이용자는 만족할 만한 검색결과를 얻지 못한다. 이에 포털사이트의 디렉토리 구조 및 그 구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상에서 이용률이 높은 주제인 음악분야를 중심으로 국내외 6개의 포털사이트를 선정하고 각 포털사이트에서의 음악분야 디렉토리를 비교 분석하여 정보검색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새로운 디렉토리 분류체계를 설계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하여 웹정보원의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동향과 분석 방법을 고찰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해 웹정보원과 포털사이트의 디렉토리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 국내 포털사이트는 ‘랭키보고서’를 토대로 포털 검색 서비스 부문에서 이용률이 높은 4개 포털사이트를 선정하였고, 국외포털사이트는 디렉토리 중심으로 발전해 온 Yahoo!와 국내에서 이용률이 높은 Google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6개 포털사이트의 디렉토리 분류체계를 계층구조와 주제접근 측면에서 분석하고 문제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음악분야 디렉토리를 설계하였다. 기존 포털사이트의 음악분야 디렉토리 분류체계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포털사이트가 국외 포털사이트 보다 목의 항목 수는 적지만 국내외 포털사이트 모두 이용률이 높은 항목을 상위 항목에 배정하였다. 둘째, 문헌분류체계와 같은 표준화된 분류기준이 아닌 포털사이트들마다 각기 다른 분류기준에 의하여 주제를 분류하여 이용자에게 디렉토리 검색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셋째, 국내 포털사이트에서는 다른 주제에 분류되어 있어 음악분야에는 없는 항목들이 국외 포털사이트에서는 목 항목에 배정되어 있어 국외 포털사이트의 목의 항목 수가 국내 포털사이트보다 약 2배 정도 많다. 넷째, 디렉토리 분류체계의 참조링크(@)는 문헌분류체계의 상관색인(Relative Index)과 비슷한 의미로 주어진 주제와 가장 적합한 항목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많은 항목에 사용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계층관계를 혼동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포털사이트의 음악분야 디렉토리 분류체계는 다음의 원칙에 따라 설계하였다. 첫째, 음악분야 디렉토리의 새로운 분류체계 설계시 대분류(類), 중분류(綱)까지 항목을 전개하였다. 현재 디렉토리의 목 항목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여러 항목에 중복되어 링크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항목 전개를 중분류까지만 하였다. 둘째, 학문이나 지식의 발전을 고려하였다. 학문이나 지식은 끊임없이 발전하므로 이를 반영해야만 한다. 음악분야도 새로운 정보의 추가와 삭제가 계속 이루어지므로 분류체계 설계시 이러한 변화들을 고려하여 분류항목을 설계하였다. 셋째, 새로운 용어나 매체발달을 고려하였다. 기존의 문헌분류체계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새로운 용어 또는 매체가 인터넷의 출현과 함께 등장하면서 이용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므로 디렉토리 분류체계 설계시 상위 항목에 배정하여 이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터넷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였다. 인터넷 사용이 활성화되면서 기관, 단체, 학회 등도 인터넷을 통한 활동이 많아지고 있고 양질의 웹정보원도 함께 제공하고 있어 이용자들이 쉽게 관련 자료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이상의 설계원칙에 기초하여 제안한 포털사이트의 음악분야 디렉토리 분류체계의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털사이트의 음악분야 디렉토리를 구성하기 위하여 국내 포털사이트, 국외 포털사이트, 국내외 포털사이트로 구분하여 각 포털사이트의 디렉토리 항목을 분석하고 새로운 디렉토리 분류체계에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였다. 둘째, 디렉토리의 분류체계의 항목분석을 바탕으로 11개의 대분류 항목과 46개의 중분류 항목으로 구성된 음악분야 디렉토리 분류체계를 설계하였다. 대분류는 포털사이트의 구성 형식을 사용하여 주제 부분과 형식 부분으로 나누어서 항목을 선정하였다. 중분류도 대분류를 두 부분으로 나눈 기준을 토대로 하여 항목을 선정하였고, 배열은 가나다순으로 하였다. 디렉토리는 이용자가 특정한 주제 분야에 관련된 정보를 찾거나 원하는 정보의 검색에 적합한 키워드들이 모호할 경우에 유용하다. 그리고 이용자는 디렉토리를 통하여 검색 및 주제별 브라우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디렉토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