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주식수익률이 소득계층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Title
주식수익률이 소득계층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tock Return’s Effect on Consumption by Income Group : Empirical Evidence from Non-linear Estimation
Authors
최문정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세완
Abstract
It has been known that consumption depends on labor income and financial wealth. As a component of financial assets, a stock is referred to have wealth effect on consumption. That means stock market rally should have an important stimulative effect on consumption. This effect could be attributable to either of two factors. First, link between stock prices and consumption is the wealth effect; that is changes in share values cause changes in consumption by relaxing the budget constraints that households face. Second, stock prices may rise in anticipation of strong economic activity, including consumer spending. In this case, changes in stock market values are not a source of subsequent changes in consumption, but merely an indicator that subsequent changes are expected. In this paper, we will distinguish these two factors using assumption that the majority of stock ownerships belong to high income households rather than middle and low income households. By dividing households into three income groups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ption and stock return in each group, we can find which factor works stronger in overall wealth effect.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in high income group turns out significantly positive, we can conclude that the sheer wealth effect takes a large part in overall wealth effect. Otherwise, the latter view of stock prices as a leading indicator can be given more weight.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at showed nonlinear characteristics in time series data such as consumption and stock prices, we employ the 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 (STAR) model to investigate potential nonlinearities in stock return and consumption. Additionally, through the nonlinear Granger causality test between consumption change rate of each income group and stock return, we can find whether stock return causes changes of consumption in each group. According to our results in estimation of the STAR models, consumption time series of three income groups and stock return time series have nonlinear properties and STAR models showed improved goodness of fit comparing with that of linear AR models. Also, Nonlinear Granger causality test explained that the middle and low income groups’ consump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stock return changes while the high income group’s is not. Therefore, we can infer that effect of stock return as a leading indicator is significantly dominant in the overall wealth effect of stock return on consumption whereas pure wealth effect can hardly be supported.;본 논문에서는 소득층별 소비증가율과 주식수익률의 관계를 비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소비와 주식수익률의 관계에 대해서는 주식자산의 가치변동이 부의 효과에 의해 소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주식 소유한 가계가 부의 증가로 인해 소비를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주식 자산을 보유한 가계의 소비에만 적용될 수 있는 설명이다. 반면 이러한 부의 효과 외에 주가는 경기 선행지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미래의 임금과 소득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 경우에는 주식 비보유 가계의 소비도 주식수익률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경제 전반에 나타나는 주가 변동에 의한 소비 변화는 순수한 부의 효과와 주가의 경기 선행지표 역할의 두 가지 서로 다른 효과가 함께 나타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효과를 분리해 봄으로써 넓은 의미의 부의 효과로 보여지는 주가변동으로 인한 소비변화가 두 경로 중 어떤 쪽을 통해 더 강하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나 가계의 주식보유 여부를 반영하는 자료의 부족으로 고소득층일수록 주식보유비율이 높다는 가정을 도입한다. 이 가정을 바탕으로 고, 중, 저소득층별 소비와 주식수익률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순수한 부의 효과와 주가의 경기선행지표 역할을 나누어 보도록 하겠다. 소득층별 소비와 주식수익률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들과 차별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주가와 소비 시계열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비선형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여러 기존 연구에서 주가나 소비와 같은 시계열 변수들이 주기를 가지고 부드러운 국면 전환을 하는 비선형성을 가질 수 있다는 근거가 제시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국면전환을 하는 시계열의 비선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질 주가수익률과 소득층별 실질 소비증가율을 평활전이자기회귀모형(STAR Model)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소득층별 소비증가율과 주가수익률 간의 비선형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통하여 변수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본다. 분석 결과 선형 AR 모형을 전제로 했을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비선형 STAR 모형을 전제로 하였을 때는 부의 효과가 나타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STAR 모형의 적합도가 선형 AR 모형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소득층별 비선형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에서는 고소득층의 소비증가율은 주가수익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 저소득층의 소비증가율은 주가수익률에 의해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부의 효과 내에서 순수한 부의 효과보다는 주가의 경기선행지표 역할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